목차
Ⅰ. 지질과 지질대사
Ⅱ. 지질과 지질성질
1. 용해성
2. 유화(Emulsification)
3. 녹는점
4. 가수분해
5. 첨가반응(이중 결합의 반응)
1) 수소의 첨가
2) 산소의 첨가
3) 산패(Rancidity)
Ⅲ. 지질과 콜레스테롤
1. 총콜레스테롤(TC)
2. 저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LDL-C)
3. 고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HDL-C)
4. 중성지방(TG)
Ⅳ. 지질과 지단백
1. 지단백이란
2. 역할
1) 몸을 형성하는 세포와 세포막을 구성하는 주요 성분이 된다
2) 각 장기 기관의 작용이나 몸의 상태를 정상으로 유지하는 호르몬을 합성하는 재료가 된다
3) 음식물의 소화 흡수에 필요한 담즙산의 원료가 된다
4) 비타민 D합성를 합성한다
3. 지단백의 분류
4. 지단백의 대사
1) 지질의 소화와 수송
2) 지질의 소화와 흡수
3) 지질의 수송과 지단백질의 대사
Ⅴ. 지질과 건강
1. 근력(Muscular strength)
2. 유연성(Flexibility)
3. 근지구력(Muscular endurance)
4. 심폐지구력(Cardiorespiratory endurance)
5. 신체조성(Body composition)
Ⅵ. 지질과 산모의 DHA섭취
Ⅶ. 지질과 운동
1. 운동과 중성지방(TG)
2. 운동과 TC / HDL-C(C-Ratio) 비율
Ⅷ. 지질과 경락마사지 및 걷기운동
1. 체중
2. 체지방율
3. WHR
4. BMI
5. 총 콜레스테롤 농도
6. 중성지방 농도
Ⅸ. 지질과 태극권
참고문헌
Ⅱ. 지질과 지질성질
1. 용해성
2. 유화(Emulsification)
3. 녹는점
4. 가수분해
5. 첨가반응(이중 결합의 반응)
1) 수소의 첨가
2) 산소의 첨가
3) 산패(Rancidity)
Ⅲ. 지질과 콜레스테롤
1. 총콜레스테롤(TC)
2. 저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LDL-C)
3. 고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HDL-C)
4. 중성지방(TG)
Ⅳ. 지질과 지단백
1. 지단백이란
2. 역할
1) 몸을 형성하는 세포와 세포막을 구성하는 주요 성분이 된다
2) 각 장기 기관의 작용이나 몸의 상태를 정상으로 유지하는 호르몬을 합성하는 재료가 된다
3) 음식물의 소화 흡수에 필요한 담즙산의 원료가 된다
4) 비타민 D합성를 합성한다
3. 지단백의 분류
4. 지단백의 대사
1) 지질의 소화와 수송
2) 지질의 소화와 흡수
3) 지질의 수송과 지단백질의 대사
Ⅴ. 지질과 건강
1. 근력(Muscular strength)
2. 유연성(Flexibility)
3. 근지구력(Muscular endurance)
4. 심폐지구력(Cardiorespiratory endurance)
5. 신체조성(Body composition)
Ⅵ. 지질과 산모의 DHA섭취
Ⅶ. 지질과 운동
1. 운동과 중성지방(TG)
2. 운동과 TC / HDL-C(C-Ratio) 비율
Ⅷ. 지질과 경락마사지 및 걷기운동
1. 체중
2. 체지방율
3. WHR
4. BMI
5. 총 콜레스테롤 농도
6. 중성지방 농도
Ⅸ. 지질과 태극권
참고문헌
본문내용
t를 이용하여 사후검증을 실시한 결과 생활체조 집단이 p<.05 수준에서 비운동집단보다 높은 향상을 보여 준 것으로 나타났다.
유연성의 사전 측정치는 태극권집단 13.38±1.55 생활체조집단 15.13±1.62 비운동집단 13.88±1.85로 나타나 변량분석을 실시한 결과 F=2.31로 p>.05 수준에서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후 측정치는 태극권집단 15.25±1.81 생활체조집단 16.31±1.67 비운동집단 13.81±1.46으로 나타나 변량분석을 실시한 결과 F=4.60으로 p<.05 수준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구체적인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scheffe-test를 이용하여 사후검증을 실시한 결과 생활체조 집단이 p<.05 수준에서 비운동집단보다 높은 향상을 보여 준 것으로 나타났다.
근지구력 사전 측정치는 태극권집단 4.38±1.77 생활체조집단 4.13±1.13 비운동집단 3.38±1.51로 나타나 변량분석을 실시한 결과 F=.98으로서 p>.05 수준에서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후 측정치는 태극권집단 6.00±1.51 생활체조집단 5.38±1.19 비운동집단 3.08±1.06으로 나타나 변량분석을 실시한 결과 F=9.36으로서 p<.01 수준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구체적인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scheffe-test를 이용하여 사후검증을 실시한 결과 태극권집단과 생활체조 집단이 p<.05 수준에서 비운동집단보다 높은 향상을 보여 준 것으로 나타났다.
심폐지구력 사전 측정치는 태극권집단 97.50±5.18 생활체조집단 95.13±4.22 비운동집단 95.63±3.66으로 나타나 변량분석을 실시한 결과 F=.65로 p>.05 수준에서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후 측정치는 태극권집단 90.50±3.51 생활체조집단 88.63±3.93 비운동집단 94.88±4.09로 나타나 변량분석을 실시한 결과 F=5.56으로 p>.05 수준에서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신체조성의 사전 측정치는 태극권집단 30.01±7.28 생활체조집단 32.39±7.31 비운동집단 32.03±6.12로 나타나 변량분석을 실시한 결과 F=.27로 p>.05 수준에서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후 측정치는 태극권집단 26.29±6.17 생활체조집단 26.96±7.99 비운동집단 32.91±7.99로 나타나 변량분석을 실시한 결과 F=1.93으로 p>.05 수준에서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운동실시 전후 집단간 혈중지질에 대한 변량분석 결과는 총콜레스테롤(TC)의 사전 측정치는 사전 태극권집단 162.38±26.58 생활체조집단 145.88±27.02 비운동집단 155.13±24.88로 나타나 변량분석을 실시한 결과 F=.80으로 p>.05 수준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여 주지 않았다. 사후 측정치는 태극권집단 127.50±9.53 생활체조집단 130.63±9.53 비운동집단 161.50±19.73으로 나타나 변량분석을 실시한 결과 F=14.84로 p<.001 수준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구체적인 차이 알아보기 위하여 scheffe-test를 이용하여 사후검증을 실시한 결과 태극권집단이 생활체조 집단과 비운동집단에 비해 p<.05 수준에서 유의하게 낮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중성지방(TG)의 사전 측정치는 태극권집단 139.38±23.76 생활체조집단 126.25±32.93 비운동집단 130.38±23.22로 나타나 변량분석을 실시한 결과 F=.49로 p>.05 수준에서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후 측정치는 태극권집단 117.50±19.52 생활체조집단 105.50±26.49 비운동집단 137.63±19.18로 나타나 변량분석을 실시한 결과 F=4.36으로 p<.05 수준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구체적인 차이 알아보기 위하여 scheffe-test를 이용하여 사후검증을 실시한 결과 생활체조 집단이 p<.05 수준에서 비운동집단보다 유의하게 낮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저밀도지단백(LDL)의 사전 측정치는 태극권집단 80.75±13.02 생활체조집단 68.75±14.12 비운동집단 76.50±9.75로 나타나 변량분석을 실시한 결과 F=1.91로 p>.05 수준에서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후 측정치는 태극권집단 74.75±12.26 생활체조집단 64.25±14.17 비운동집단 80.38±7.67로 나타나 변량분석을 실시한 결과 F=3.92로 p<.05 수준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구체적으로 차이 알아보기 위하여 scheffe-test를 이용하여 사후검증을 실시한 결과 생활체조 집단이 p<.05 수준에서 비운동집단보다 유의하게 낮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고밀도지단백(HDL)의 사전 측정치는 태극권집단 59.13±9.43 생활체조집단 53.75±10.90 비운동집단 51.38±8.03으로 나타나 변량분석을 실시한 결과 F=1.39로 p>.05 수준에서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후 측정치는 태극권집단 74.38±6.89 생활체조집단 72.63±10.97 비운동집단 48.25±7.52로 나타나 변량분석을 실시한 결과 F=22.83으로 p<.001 수준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인 차이 알아보기 위하여 scheffe-test를 이용하여 사후검증을 실시한 결과 비운동집단이 태극권 집단과 생활체조집단에 비해 p<.05 수준에서 유의하게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참고문헌
- 권기욱(2001), 태극권 수련이 노인 여성의 건강관련체력과 혈중지질에 미치는 영향, 국민대학교
- 권륜희(2011), 지질대사와 항산화에 대한 발효 삼백초와 비발효 삼백초의 비교평가, 신라대학교
- 박상갑 외 1명(2001), 유산소운동이 고령여성의 혈청지질 및 지단백에 미치는 영향, 동아대학교
- 박원하(2010), 이상지질혈증의 운동요법, 헬스미디어&플랜
- 조여원 외 3명(1996), 수유기에 식이와 함께 섭취한 DHA가 산모의 혈액과 모유의 지질조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영양학회
- 차봉수(2011), 제2형 당뇨병 환자에서 저밀도 지질단백 콜레스테롤의 조절, 메디아미
유연성의 사전 측정치는 태극권집단 13.38±1.55 생활체조집단 15.13±1.62 비운동집단 13.88±1.85로 나타나 변량분석을 실시한 결과 F=2.31로 p>.05 수준에서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후 측정치는 태극권집단 15.25±1.81 생활체조집단 16.31±1.67 비운동집단 13.81±1.46으로 나타나 변량분석을 실시한 결과 F=4.60으로 p<.05 수준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구체적인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scheffe-test를 이용하여 사후검증을 실시한 결과 생활체조 집단이 p<.05 수준에서 비운동집단보다 높은 향상을 보여 준 것으로 나타났다.
근지구력 사전 측정치는 태극권집단 4.38±1.77 생활체조집단 4.13±1.13 비운동집단 3.38±1.51로 나타나 변량분석을 실시한 결과 F=.98으로서 p>.05 수준에서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후 측정치는 태극권집단 6.00±1.51 생활체조집단 5.38±1.19 비운동집단 3.08±1.06으로 나타나 변량분석을 실시한 결과 F=9.36으로서 p<.01 수준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구체적인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scheffe-test를 이용하여 사후검증을 실시한 결과 태극권집단과 생활체조 집단이 p<.05 수준에서 비운동집단보다 높은 향상을 보여 준 것으로 나타났다.
심폐지구력 사전 측정치는 태극권집단 97.50±5.18 생활체조집단 95.13±4.22 비운동집단 95.63±3.66으로 나타나 변량분석을 실시한 결과 F=.65로 p>.05 수준에서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후 측정치는 태극권집단 90.50±3.51 생활체조집단 88.63±3.93 비운동집단 94.88±4.09로 나타나 변량분석을 실시한 결과 F=5.56으로 p>.05 수준에서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신체조성의 사전 측정치는 태극권집단 30.01±7.28 생활체조집단 32.39±7.31 비운동집단 32.03±6.12로 나타나 변량분석을 실시한 결과 F=.27로 p>.05 수준에서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후 측정치는 태극권집단 26.29±6.17 생활체조집단 26.96±7.99 비운동집단 32.91±7.99로 나타나 변량분석을 실시한 결과 F=1.93으로 p>.05 수준에서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운동실시 전후 집단간 혈중지질에 대한 변량분석 결과는 총콜레스테롤(TC)의 사전 측정치는 사전 태극권집단 162.38±26.58 생활체조집단 145.88±27.02 비운동집단 155.13±24.88로 나타나 변량분석을 실시한 결과 F=.80으로 p>.05 수준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여 주지 않았다. 사후 측정치는 태극권집단 127.50±9.53 생활체조집단 130.63±9.53 비운동집단 161.50±19.73으로 나타나 변량분석을 실시한 결과 F=14.84로 p<.001 수준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구체적인 차이 알아보기 위하여 scheffe-test를 이용하여 사후검증을 실시한 결과 태극권집단이 생활체조 집단과 비운동집단에 비해 p<.05 수준에서 유의하게 낮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중성지방(TG)의 사전 측정치는 태극권집단 139.38±23.76 생활체조집단 126.25±32.93 비운동집단 130.38±23.22로 나타나 변량분석을 실시한 결과 F=.49로 p>.05 수준에서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후 측정치는 태극권집단 117.50±19.52 생활체조집단 105.50±26.49 비운동집단 137.63±19.18로 나타나 변량분석을 실시한 결과 F=4.36으로 p<.05 수준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구체적인 차이 알아보기 위하여 scheffe-test를 이용하여 사후검증을 실시한 결과 생활체조 집단이 p<.05 수준에서 비운동집단보다 유의하게 낮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저밀도지단백(LDL)의 사전 측정치는 태극권집단 80.75±13.02 생활체조집단 68.75±14.12 비운동집단 76.50±9.75로 나타나 변량분석을 실시한 결과 F=1.91로 p>.05 수준에서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후 측정치는 태극권집단 74.75±12.26 생활체조집단 64.25±14.17 비운동집단 80.38±7.67로 나타나 변량분석을 실시한 결과 F=3.92로 p<.05 수준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구체적으로 차이 알아보기 위하여 scheffe-test를 이용하여 사후검증을 실시한 결과 생활체조 집단이 p<.05 수준에서 비운동집단보다 유의하게 낮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고밀도지단백(HDL)의 사전 측정치는 태극권집단 59.13±9.43 생활체조집단 53.75±10.90 비운동집단 51.38±8.03으로 나타나 변량분석을 실시한 결과 F=1.39로 p>.05 수준에서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후 측정치는 태극권집단 74.38±6.89 생활체조집단 72.63±10.97 비운동집단 48.25±7.52로 나타나 변량분석을 실시한 결과 F=22.83으로 p<.001 수준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인 차이 알아보기 위하여 scheffe-test를 이용하여 사후검증을 실시한 결과 비운동집단이 태극권 집단과 생활체조집단에 비해 p<.05 수준에서 유의하게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참고문헌
- 권기욱(2001), 태극권 수련이 노인 여성의 건강관련체력과 혈중지질에 미치는 영향, 국민대학교
- 권륜희(2011), 지질대사와 항산화에 대한 발효 삼백초와 비발효 삼백초의 비교평가, 신라대학교
- 박상갑 외 1명(2001), 유산소운동이 고령여성의 혈청지질 및 지단백에 미치는 영향, 동아대학교
- 박원하(2010), 이상지질혈증의 운동요법, 헬스미디어&플랜
- 조여원 외 3명(1996), 수유기에 식이와 함께 섭취한 DHA가 산모의 혈액과 모유의 지질조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영양학회
- 차봉수(2011), 제2형 당뇨병 환자에서 저밀도 지질단백 콜레스테롤의 조절, 메디아미
추천자료
흡연이 혈장의 비타민 C 함량과 지질과산화 및 지질의 농도 변화에 미치는
[지단백][혈중지질대사관리][혈중지질대사][경락마사지]지단백의 구성요소, 지단백의 역할, ...
[혈중지질][대사][건강][경락][유산소운동][식이요법]혈중지질 구성요소, 혈중지질 대사, 혈...
[생리학]단백질 대사와 분자구조 지질, 스테로이드, 콜레스테롤의 역할
[인슐린, 인슐린 분류, 인슐린 작용, 인슐린 신호전달, 인슐린 보관법, 신호전달, 보관법, 당...
[지질, 비만, 지질분류, 혈중지질, 콜레스테롤]지질과 비만, 지질과 지질분류, 지질과 혈중지...
[지질][지질분류]지질과 지질분류, 혈중지질성분, 지질과 혈중지질대사, 지질성질, 지질과 콜...
[신체][몸][신체(몸)와 의미][시상하부][신경계][지질대사][소화기관][임상의학]신체(몸)와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