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지질과 지질분류
1. 단순지질(simple lipids)
1) 중성지방(Neutral fat, Glyceride, Triglyceride)
2) 왁스
3) 콜레스테롤 에르테르
2. 복합지질(Compound lipids)
1) 인지질(Pospholipid)
2) 당지질(Glycolipide, Cerebroside)
3) 황지질(Sulfolipid)
4) 단백지질(Proteolipid)
3. 유도지질(Derived lipids)
1) 지방산(Fatty acid)
2) 고급 알코올
3) 탄화수소
4) 비타민 D, E, K
Ⅱ. 지질과 혈중지질성분
1. 총 콜레스테롤(Total Cholesterol)
2. 중성지방(TG : Triglyceride)
Ⅲ. 지질과 혈중지질대사
Ⅳ. 지질과 지질성질
1. 용해성
2. 유화(Emulsification)
3. 녹는점
4. 가수분해
5. 첨가반응(이중 결합의 반응)
1) 수소의 첨가
2) 산소의 첨가
6. 산패(Rancidity)
1) 가수 분해형 산패(Hydrolytic rancidity)
2) 케톤형 산패(Ketonic rancidity)
3) 산화형 산패(Oxidative rancidity)
Ⅴ. 지질과 콜레스테롤변화
1. 총콜레스테롤(TC)농도의 변화
2. 저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LDL-C) 농도의 변화
3. 고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HDL-C) 농도의 변화
4. 중성지방(TG) 농도의 변화
Ⅵ. 지질과 운동
1. 운동과 중성지방(TG)
2. 운동과 TC / HDL-C(C-Ratio) 비율
Ⅶ. 지질과 태극권
Ⅷ. 지질과 산모의 혈액, 모유 및 DHA섭취
1. 연구대상의 일반특성
2. 식이섭취
3. 산모의 혈장 및 모유의 지질함량
4. 혈장 및 모유의 지방산 조성
5. 어유보충의 양과 기간에 따른 DHA 함량의 변화
Ⅸ. 지질과 경락마사지
1. 준비 단계
2. 바르는 단계
3. 마사지 단계
1) 비 경락 마사지
2) 위 경락 마사지
3) 신 경락 마사지
4) 방광 경락 마사지
5) 독맥 경락 마사지
6) 임맥 경락 마사지
7) 마무리 단계
4. 운동 부하 방법
5. 측정 종목 및 방법
1) 신장
2) 체중
3) 복위
4) 둔위
5) 피하지방 두께
6) BMI 및 WHR
7) 혈중 지질 성분 분석
Ⅹ. 지질과 식이요법
참고문헌
1. 단순지질(simple lipids)
1) 중성지방(Neutral fat, Glyceride, Triglyceride)
2) 왁스
3) 콜레스테롤 에르테르
2. 복합지질(Compound lipids)
1) 인지질(Pospholipid)
2) 당지질(Glycolipide, Cerebroside)
3) 황지질(Sulfolipid)
4) 단백지질(Proteolipid)
3. 유도지질(Derived lipids)
1) 지방산(Fatty acid)
2) 고급 알코올
3) 탄화수소
4) 비타민 D, E, K
Ⅱ. 지질과 혈중지질성분
1. 총 콜레스테롤(Total Cholesterol)
2. 중성지방(TG : Triglyceride)
Ⅲ. 지질과 혈중지질대사
Ⅳ. 지질과 지질성질
1. 용해성
2. 유화(Emulsification)
3. 녹는점
4. 가수분해
5. 첨가반응(이중 결합의 반응)
1) 수소의 첨가
2) 산소의 첨가
6. 산패(Rancidity)
1) 가수 분해형 산패(Hydrolytic rancidity)
2) 케톤형 산패(Ketonic rancidity)
3) 산화형 산패(Oxidative rancidity)
Ⅴ. 지질과 콜레스테롤변화
1. 총콜레스테롤(TC)농도의 변화
2. 저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LDL-C) 농도의 변화
3. 고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HDL-C) 농도의 변화
4. 중성지방(TG) 농도의 변화
Ⅵ. 지질과 운동
1. 운동과 중성지방(TG)
2. 운동과 TC / HDL-C(C-Ratio) 비율
Ⅶ. 지질과 태극권
Ⅷ. 지질과 산모의 혈액, 모유 및 DHA섭취
1. 연구대상의 일반특성
2. 식이섭취
3. 산모의 혈장 및 모유의 지질함량
4. 혈장 및 모유의 지방산 조성
5. 어유보충의 양과 기간에 따른 DHA 함량의 변화
Ⅸ. 지질과 경락마사지
1. 준비 단계
2. 바르는 단계
3. 마사지 단계
1) 비 경락 마사지
2) 위 경락 마사지
3) 신 경락 마사지
4) 방광 경락 마사지
5) 독맥 경락 마사지
6) 임맥 경락 마사지
7) 마무리 단계
4. 운동 부하 방법
5. 측정 종목 및 방법
1) 신장
2) 체중
3) 복위
4) 둔위
5) 피하지방 두께
6) BMI 및 WHR
7) 혈중 지질 성분 분석
Ⅹ. 지질과 식이요법
참고문헌
본문내용
Cholesterol Education Program, 1988)의 자료에 관상동맥 유발가능성이 높은 위험군으로 고혈압, 흡연, 당뇨병, 관상동맥질환의 가족력, 고콜레스테롤혈증이라 발표했고, 동맥경화의 대표위험인자로 고혈압, 당뇨, 고지혈증, 흡연, 비만으로 알려져 있다.
최근 우리나라 사망원인은 99년 통계청 사인분석을 살펴보면, 뇌혈관질환 1위, 인구 10만 명당 남자 79.3명, 여자 76.7명, 심장질환 2위 10만 명당 남자 47.1명, 여자 36.5명이며, 97년에는 뇌졸중이 10만 명당 74.0명으로 심장질환자의 2배이고 사망 원인률 1위이다. 2위는 심장질환 10만 명당 38.7명이다. 뇌졸중의 4대 위험인자는 당뇨, 고혈압, 심장병, 흡연 등이다. 혈압이 높은 사람은 뇌졸중 발병률이 4~7배 높으며, 심장질환 2~4배, 당뇨병 1.5~3배, 흡연 1.5~3배 높다. 고혈압 환자가 담배를 피우면 뇌졸중 확률이 20배 이상이 높다한다(김종성, 2000).
베를린 심혈관질환 국제심포지엄에서는 의학계 최대과제가 심근경색, 뇌졸중, 심혈관질환 정복이라고 밝혔다. 유럽의 경우 75세 이하 사망자의 40%가 이들 질환이다. “개개인의 특성에 따른 맞춤 치료가 최선책”이라 결론을 도출했다(국제심포지엄, 2000년 5월). 성인병예방을 위해서는 필연적으로 운동과 식이요법이 중요하다. 유산소성운동의 혈중지질의 변화 및 체지방 분해에 따른 선행논문연구에서 유산소성 걷기 운동은 체중감소, 성인병예방, 노화방지, 집중력, 사고력 향상 등 효과를 볼 수 있으며 걷는 중 체지방이 연소되고 걷기로 얻어진 근육은 기초대사량을 높여 다시 지방이 체내에 축적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낸다. 또한 동물성 식품섭취에 편증한 식생활을 오래하면 과잉영양섭취로 고지혈증을 초래하며, 동맥경화로 인한 허혈성심장질환의 발생원인이 된다(이기열, 1995).
그러므로 섭식의 식이섬유는 종류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으나 식사중 지질흡수를 억제하는 성질이 있으므로 혈중 콜레스테롤이나 중성지방이 높은 성인병을 예방 및 억제하는데 유효하다 한다(이기열, 1995). 유전적인 것을 제외하고 본태성고혈압은 식사습관에 밀접한 관계가 있다(Fodor.J.G., 1990). 식이섬유가 혈압을 낮춘다는 연구보고에서 pectin(일반야채류와 과일류의 섬유성분)과 algin(해조류, 갈조류섬유성분)을 함유하는 식이는 모두 혈압강화작용을 한다(김종대, 1991). 심혈관 위험인자 선행연구에서 남자 109명, 여자 65명 대상 연구에서 채식자와 비채식자간의 위험인자 수준차이를 분석한 결과 60대에서 혈청총콜레스테롤 수준에서 유의한 차이를 내었으며(p<.05) 최저최고혈압에 있어서도 유의한 차이를 내었다. 비채식자 집단에서 콜레스테롤과 혈압이 유의하게 높았다(김장숙, 1995). 채식은 심혈관질환뿐만 아니라 당뇨병, 고혈압, 비만증 등의 만성퇴행성 질환의 위험도 줄일 수 있다고 보고되고 있다(Burr M.L., 1981 등). 보건복지부 98년 집계 암발생 유형을 보면 대장암은 1987년 2,073건에서 1998년 7,384건, 전립선암은 87년 10대 암에 들지 못했으나 98년엔 남성전체암의 2.7%(1,015건) 8위이고, 대장암은 2.6배 늘었다. 이것은 육류섭취 등 생활습관이 서구화됨에 따라 늘어났다고 보고되었다(보건복지부 암발생 변화추이).
영국왕립연구소 브리티시저널 오브 캔서 최신호에 196명의 남성을 대상으로 전립선암의 발생을 높이는데 역할을 하는 IGF-Ⅰ(인슐린성장인자) 수치를 측정한 결과 채식주의자가 육식을 하는 사람보다 9%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동아일보). 식이가 일부 생화학적 또는 대사적 변화를 통해 호르몬 의존형 암의 위험을 증가시키는 호르몬의 생성과 대사 또는 세포수준에서의 기능을 변화시킬 수 있는 것으로 추론되므로 식이는 중요하게 사료된다.
관상동맥질환도 뚜렷한 생화학 및 호르몬상의 관계가 있는데 식이요법을 통해 암뿐만 아니라 관상동맥질환과 같은 서구질환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의미한다.(Adlercreutz et al, 1990). 서울의대 예방의학교실 안윤욱교수는 전립선암, 유방암, 대장암 등 호르몬과 관련이 있는 암은 달리기 등 유산소성 운동을 규칙적으로 함으로 발생률을 줄일 수 있다고 밝혔다. 일본 요코하마에서 열린 암학회 발표에서 유산소성 능력이 암에 걸릴 위험성정도와 관련이 있다고 발표한 것을 보면 거의 운동을 하지 않는 유산소 능력이 낮은 사람은 하루 1시간 이상 걷는 유산소성능력이 좋은 사람보다 암의 위험도가 2.4배 높다고 하였다(동아일보, 2000년 9월 27일). 하버드의대 리이먼 박사는 3월 25일 연구보고서에서 보통 걷는 속도로 1주일에 1시간만 걸어도 활동을 하지 않는 여성에 비해 심장병 위험이 50% 줄어든다고 발표했다. 이와 같은 연구를 보면 채식과 유산소운동은 성인병 예방은 물론 암까지도 억제 및 예방할 수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지금까지의 선행연구를 보면 정상인과 비교한 채식인들의 콜레스테롤 수치를 보면 정상인이 유의하게 높게 나타난 사실을 발견할 수 있다(송숙자, 1985; 김장숙, 1995). 정상식사를 하는 정상인의 콜레스테롤 농도의 조사분포를 보면 전체성인남자 220명 중 정상군 133명(60.5%), 경제수준군 62명(28.2%), 고콜레스테롤환자군 25명(11.4%)이 차지해 고콜레스테롤의 위험수준인 사람이 39.6%에 달했다(황보진향, 1997).
참고문헌
노성환, 중년여성의 12주 복합운동이 혈중지질 및 호르몬 변화에 미치는 영향, 인제대학교, 2009
박종수, 채식 식이요법과 유산소 운동의 병행이 혈중지질에 미치는 영향, 국민대학교, 2001
조여원 외 3명, 수유기에 식이와 함께 섭취한 DHA가 산모의 혈액과 모유의 지질조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영양학회, 1996
전종귀 외 1명, 유산소 운동이 비만인의 신체구성과 혈중지질대사에 미치는 영향, 충남대학교체육과학연구소, 2002
황대용, 총 콜레스테롤 변화에 따른 체질량지수와 연령의 영향, 서울대학교, 1994
Kim Chong-Gi, 초등학생의 신체조성과 혈중지질성분 비교, 한국체육과학회, 2010
최근 우리나라 사망원인은 99년 통계청 사인분석을 살펴보면, 뇌혈관질환 1위, 인구 10만 명당 남자 79.3명, 여자 76.7명, 심장질환 2위 10만 명당 남자 47.1명, 여자 36.5명이며, 97년에는 뇌졸중이 10만 명당 74.0명으로 심장질환자의 2배이고 사망 원인률 1위이다. 2위는 심장질환 10만 명당 38.7명이다. 뇌졸중의 4대 위험인자는 당뇨, 고혈압, 심장병, 흡연 등이다. 혈압이 높은 사람은 뇌졸중 발병률이 4~7배 높으며, 심장질환 2~4배, 당뇨병 1.5~3배, 흡연 1.5~3배 높다. 고혈압 환자가 담배를 피우면 뇌졸중 확률이 20배 이상이 높다한다(김종성, 2000).
베를린 심혈관질환 국제심포지엄에서는 의학계 최대과제가 심근경색, 뇌졸중, 심혈관질환 정복이라고 밝혔다. 유럽의 경우 75세 이하 사망자의 40%가 이들 질환이다. “개개인의 특성에 따른 맞춤 치료가 최선책”이라 결론을 도출했다(국제심포지엄, 2000년 5월). 성인병예방을 위해서는 필연적으로 운동과 식이요법이 중요하다. 유산소성운동의 혈중지질의 변화 및 체지방 분해에 따른 선행논문연구에서 유산소성 걷기 운동은 체중감소, 성인병예방, 노화방지, 집중력, 사고력 향상 등 효과를 볼 수 있으며 걷는 중 체지방이 연소되고 걷기로 얻어진 근육은 기초대사량을 높여 다시 지방이 체내에 축적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낸다. 또한 동물성 식품섭취에 편증한 식생활을 오래하면 과잉영양섭취로 고지혈증을 초래하며, 동맥경화로 인한 허혈성심장질환의 발생원인이 된다(이기열, 1995).
그러므로 섭식의 식이섬유는 종류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으나 식사중 지질흡수를 억제하는 성질이 있으므로 혈중 콜레스테롤이나 중성지방이 높은 성인병을 예방 및 억제하는데 유효하다 한다(이기열, 1995). 유전적인 것을 제외하고 본태성고혈압은 식사습관에 밀접한 관계가 있다(Fodor.J.G., 1990). 식이섬유가 혈압을 낮춘다는 연구보고에서 pectin(일반야채류와 과일류의 섬유성분)과 algin(해조류, 갈조류섬유성분)을 함유하는 식이는 모두 혈압강화작용을 한다(김종대, 1991). 심혈관 위험인자 선행연구에서 남자 109명, 여자 65명 대상 연구에서 채식자와 비채식자간의 위험인자 수준차이를 분석한 결과 60대에서 혈청총콜레스테롤 수준에서 유의한 차이를 내었으며(p<.05) 최저최고혈압에 있어서도 유의한 차이를 내었다. 비채식자 집단에서 콜레스테롤과 혈압이 유의하게 높았다(김장숙, 1995). 채식은 심혈관질환뿐만 아니라 당뇨병, 고혈압, 비만증 등의 만성퇴행성 질환의 위험도 줄일 수 있다고 보고되고 있다(Burr M.L., 1981 등). 보건복지부 98년 집계 암발생 유형을 보면 대장암은 1987년 2,073건에서 1998년 7,384건, 전립선암은 87년 10대 암에 들지 못했으나 98년엔 남성전체암의 2.7%(1,015건) 8위이고, 대장암은 2.6배 늘었다. 이것은 육류섭취 등 생활습관이 서구화됨에 따라 늘어났다고 보고되었다(보건복지부 암발생 변화추이).
영국왕립연구소 브리티시저널 오브 캔서 최신호에 196명의 남성을 대상으로 전립선암의 발생을 높이는데 역할을 하는 IGF-Ⅰ(인슐린성장인자) 수치를 측정한 결과 채식주의자가 육식을 하는 사람보다 9%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동아일보). 식이가 일부 생화학적 또는 대사적 변화를 통해 호르몬 의존형 암의 위험을 증가시키는 호르몬의 생성과 대사 또는 세포수준에서의 기능을 변화시킬 수 있는 것으로 추론되므로 식이는 중요하게 사료된다.
관상동맥질환도 뚜렷한 생화학 및 호르몬상의 관계가 있는데 식이요법을 통해 암뿐만 아니라 관상동맥질환과 같은 서구질환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의미한다.(Adlercreutz et al, 1990). 서울의대 예방의학교실 안윤욱교수는 전립선암, 유방암, 대장암 등 호르몬과 관련이 있는 암은 달리기 등 유산소성 운동을 규칙적으로 함으로 발생률을 줄일 수 있다고 밝혔다. 일본 요코하마에서 열린 암학회 발표에서 유산소성 능력이 암에 걸릴 위험성정도와 관련이 있다고 발표한 것을 보면 거의 운동을 하지 않는 유산소 능력이 낮은 사람은 하루 1시간 이상 걷는 유산소성능력이 좋은 사람보다 암의 위험도가 2.4배 높다고 하였다(동아일보, 2000년 9월 27일). 하버드의대 리이먼 박사는 3월 25일 연구보고서에서 보통 걷는 속도로 1주일에 1시간만 걸어도 활동을 하지 않는 여성에 비해 심장병 위험이 50% 줄어든다고 발표했다. 이와 같은 연구를 보면 채식과 유산소운동은 성인병 예방은 물론 암까지도 억제 및 예방할 수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지금까지의 선행연구를 보면 정상인과 비교한 채식인들의 콜레스테롤 수치를 보면 정상인이 유의하게 높게 나타난 사실을 발견할 수 있다(송숙자, 1985; 김장숙, 1995). 정상식사를 하는 정상인의 콜레스테롤 농도의 조사분포를 보면 전체성인남자 220명 중 정상군 133명(60.5%), 경제수준군 62명(28.2%), 고콜레스테롤환자군 25명(11.4%)이 차지해 고콜레스테롤의 위험수준인 사람이 39.6%에 달했다(황보진향, 1997).
참고문헌
노성환, 중년여성의 12주 복합운동이 혈중지질 및 호르몬 변화에 미치는 영향, 인제대학교, 2009
박종수, 채식 식이요법과 유산소 운동의 병행이 혈중지질에 미치는 영향, 국민대학교, 2001
조여원 외 3명, 수유기에 식이와 함께 섭취한 DHA가 산모의 혈액과 모유의 지질조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영양학회, 1996
전종귀 외 1명, 유산소 운동이 비만인의 신체구성과 혈중지질대사에 미치는 영향, 충남대학교체육과학연구소, 2002
황대용, 총 콜레스테롤 변화에 따른 체질량지수와 연령의 영향, 서울대학교, 1994
Kim Chong-Gi, 초등학생의 신체조성과 혈중지질성분 비교, 한국체육과학회, 2010
추천자료
[혈중지질][대사][건강][경락][유산소운동][식이요법]혈중지질 구성요소, 혈중지질 대사, 혈...
지질의_분류
[영양간호] 03장 지질
[지질시대][은생누대][중생대][신생대][현생누대][캄브리아기][쥐라기][백악기]지질시대의 분...
[인슐린, 인슐린 분류, 인슐린 작용, 인슐린 신호전달, 인슐린 보관법, 신호전달, 보관법, 당...
[지질, 지질대사, 지질성질, 콜레스테롤]지질과 지질대사, 지질과 지질성질, 지질과 콜레스테...
[지질]지질과 지질학자, 교수학습방안, 지질조사, 지질과 전남지질조사(전라남도지질조사), ...
[지질, 비만, 지질분류, 혈중지질, 콜레스테롤]지질과 비만, 지질과 지질분류, 지질과 혈중지...
지질의 분류와 기능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