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교가 교육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가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 52
  • 53
  • 54
  • 55
  • 56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유교가 교육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가 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문제 제기


유교 유입의 역사적 배경

◎ 유학의 창립 배경
◎ 조선시대 이전의 유학의 발전
 1. 삼국시대의 유학
  1)문자의 도입과 사서의 편찬
  2) 세속오계 : 유교적 실천 규범의 도입
 2. 통일신라 시대의 유학
  1) 유학 교육과 인재양성
  2) 통일신라시대의 유교적 지식인
 3. 고려 시대의 유학
  1) 유교적 통치 이념의 정립
  2) 고려 중기 유학의 부흥
  3) 문인귀족의 학술
  4) 천인상감의 자연관
 4. 고려 유학의 쇠퇴
◎ 조선시대의 유학의 발전
 1. 조선 건국의 배경
 2. 조선 초의 성리학 수용과 불교배척


유교(성리학)의 내용

◎ 조선 전기의 유교
◎ 조선 중기의 유교
◎ 조선 후기의 유교
◎ 한국 유교의 특징 (한국 성리학의 특징)
◎ 유교의 근본이념
 1. 유교의 인간관
 2. 윤리관
 3. 유교윤리의 특징
 4. 유교의 교육관
 5. 성리학 이념과 교육문화의 사회적 성격
◎ 교육제도
 1. 향교(鄕校)
 2. 성균관(成均館)
 3. 경연(經筵)
 3. 서연(書筵)
 4. 사부학당(四部學堂)
 5. 독서당(讀書堂)
 6. 강학(講學)


유교와 현대교육문제

◎ 직업교육
◎ 유교의 수직적 교육방식과 입신양명
 유태인은 자녀를 이렇게 키운다
◎ 유교로 인한 현 교육과열의 문제점

본문내용

제기하고 싶은 부분은 우리나라는 왜 수능을 잘 보아서 좋은 대학에 들어가야 성공할 수 있냐는 것이다. 공부를 통해서가 아닌 기술이나 손재주를 이용해서 혹은 창의력을 통해서 가지게 되는 직업은 아직까지는 우리나라에서 흔히 상류층에 속할 수 없다. 공부를 잘하는 의사, 변호사, 판사, 한의사...오로지 학업에 대한 열의만 불태워서 시험이라는 관문을 우수한 성적으로 통과 한 이들만이 이 나라를 이끌어 갈 인재요, 상류층이요, 타인에게 훌륭한 사람들로 인정받고 있는 것이다.
우리는 여기서 현 입시제도로 인한 교육과열이 어디서부터 뿌리를 두고 뻗어 나가게 되었는지 알아 볼 필요가 있다. 이는 우리의 과거 대부분의 생활을 지배했던 유교에서 찾을 수 있다. 삼국시대, 조선시대를 거치면서 유교는 여러 사람에 의해 해석되어 졌고, 유교의 성향이 조금씩 다른 것은 사실이나, 한 가지 확실한 것은 유교로 인해 과거에도 교육의 과열 현상이 나타났다는 것이다. 이 사실은 과거제도가 뒷받침 해준다. 조선시대에 이르러 과거제도의 중요성이 더 커졌기 때문에 조선시대 과거제도의 내용만을 다루기로 했다.
조선시대에 이르러서는 관리의 등용을 위한 과거시험의 중요성이 더하여져 과거를 통하지 않고는 출세의 길이 거의 없어진 셈이었다. 과거와는 구별된 취재, 음직제도 에 의한 문음, 이과, 도시 등이 있었으나, 문과가 가장 어렵고 또 중시되었다. 과거의 응시자격은 수공업자상인무당승려노비서얼을 제외하고는 누구나 응시할 수 있었으나 점차 가문을 중시하는 경향이 나타났고 양반의 자제들은 어릴 때 서당에서 한문의 기초과정을 배운 뒤 8세가 되면 중앙의 사학과 지방의 향에 진학하여 수학한 유생들이 소과(생원과진사과)에 응시하여 합격하면 생원, 진사가 되었다. 생원과 진사는 다시 서울의 최고 학부인 성균관에 진학하였고, 이 성균관의 유생들이 대과에 응시하여 3차에 걸쳐 시험을 보아 갑을병 3과로 나누어 그 등급이 결정되었는데, 갑과의 장원 급제자는 종6품 이상의 참상관으로 임명되고, 병과 합격자는 정9품 이상의 관리로 임명되었다. 무과는 궁술(활)기창(창술)등의 무예와 경서병서 등을 시험과목으로 하였다. 잡과는 사역원, 전의감, 관상감, 형조 등에 근무하는 중인의 자제 중에서 그 분야에 소양이 있는 자들을 해당 관청에서 선발하였다.
위의 내용은 과거제도에 대한 자료를 인터넷으로 찾은 것이다. 위와 같이 조선시대에도 과거제도를 합격해야만 각각 등급별로 벼슬이 주어져 출세의 길을 걷게 됨을 알 수 있다. 이는 현재 수능에 합격해 서울대 법대를 가는 것이 최고라는 인식과 다를 것 이 없는 것이다. 그렇다면 왜 유교가 현 교육 과열을 불러일으킨 것에 과거제도가 연관이 되는가? 그 이유는 과거제도의 시험 과목들이 어려운 유교 경전들 이였기 때문이다.
유교 경전에는 맹자, 순자, 장자가 내세운 것들로 다음과 같은 것 들이 있었다고 한다.
맹자(孟子)는 《시(詩)》 《서(書)》 《춘추(春秋)》를 경이라 하였고, 순자(荀子)는 여기에 《예(禮)》와 《악(樂)》을 추가하였으며, 장자(莊子)는 다시 《역(易)》을 추가하여 그 하나하나에 경(經)을 붙여 《시경(詩經)》 《역경(易經)》 등이라 하게 되었다. 이들 육서(六書)를 육경(六經)이라 하며, 한(漢)나라 때는 육예(六藝)라고도 하였다. 이 중에서 과거제도에 시험과목으로는 ‘초장에 강경(講經), 중장에 시(詩), 부(賦), 표(表), 종장’ 등이 있는데 이 과목들은 매우 어려운 내용을 다루고 있었기 때문에 시험을 준비하는 학생들은 공부에만 매달려 있을 수밖에 없었다. 또한 조선시대에는 과거시험을 준비하기 위한 일종의 학원과 같은 사립학교들이 많이 생겨났었다. 이는 현재 학생들이 수능시험을 준비하기 위해 학원에 다니고 과외를 하는 것과 다를 바가 없다고 본다. 고려시대, 조선시대 과거제도가 성행할 당시의 국교는 유교였다. 유교가 그 시대의 정치, 문화, 교육 등 모든 것을 지배하고 있었기 때문에 그 시대에 출세의 길을 걷기 위해 유교를 알고 실천하는 것은 무엇보다 중요했다. 정리를 해 보면 유교로 인해 과거제도가 더욱 강화되었고, 과거제도의 영향은 오늘날의 수능시험이라는 입시제도와 연관을 맺게 되는 것이다. 과거제도에 합격하면 등급에 따라 벼슬이 주어지게 된다. 그것은 시험 성적에 의해 좌우되는 것이므로 시험을 잘 보아야 보다 더 높은 벼슬을 얻을 수 있는 것이다. 이것 또한 현재 입시제도와 연관이 있다. 오늘날의 상황을 보면, 법대를 나오면 사법고시에 합격을 해야 판사, 검사, 변호사가 될 수 있으므로 꼭 좋은 대학 법대를 나와야 할 필요는 없을 수 도 있다. 그러나 서울대 법대를 나와서 변호사가 된 사람이 지방대 법대를 나온 사람보다 더 출세했다고 사람들이 인정하고 , 본인 스스로도 자신의 성공을 좋은 대학이라는 것에 기준을 두게 된다. 과거에 좋은 성적으로 더 높은 벼슬을 얻는 것이 더 출세했다고 생각하는 것이 바로 그것이다.
서울대를 비롯한 명문대학 출신자들이 사회 모든 부분에 걸쳐 독점적 세력을 형성하고 있다는 사실을 굳이 통계자료를 필요치 않을 만큼 일반적인 이야기이다. 정치, 경제, 관료, 법계를 비롯한 사회 각 분야에서 이들 명문대학들은 독점구조를 형성하고 있다. 특히 서울대의 요직 점유율은 고위직으로 올라갈수록 가히 독점적이라 할 만큼 더욱 높은 수치를 보인다. 이렇게 특정 명문대학 출신들이 사회 고위직에 독점 분포해 있고, 그들의 영향력이 사회 전반에 행사됨에 따라 명문학벌을 갖지 못한 사람들의 삶은 더욱 위축되며 소외되어 간다.
위 의 내용은 학벌위주 사회의 폐단에 대한 한 서평이다. 이 사실은 참으로 안타까운 일이 아닐 수 없다. 여기서 다시 한번 강조되는 것은 명문대를 나와야 출세하므로 모두가 명문대에 가기 위해 교육에 대한 열의를 불태우고 있다는 것이다.
결론적으로, 유교는 공부를 해야만 출세할 수 있다는 논리를 만들어 낼만큼 공부를 매우 중시 여겼고, 그 근거는 과거제도의 시험과목으로 유교경전들이 있었다는 것 이다. 그리고 이 영향은 현재까지 이어져 오늘날 우리들의 성공의 지름길은 공부가 된 것이고, 결국 이는 교육과열 현상을 일으키게 된 것이다.
  • 가격5,000
  • 페이지수56페이지
  • 등록일2013.07.20
  • 저작시기2014.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6349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