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개요
Ⅱ. 국어국문학과
1. 전공필수의 최소화와 전공선택의 최대화
2. 고전문학과 현대문학의 연계
3. 장르간 균형적인 교과목의 개설
4. 전공의 영역 확대
5. 국어국문학과와 국어교육과의 교과과정의 차별화
Ⅲ. 문헌정보학과
Ⅳ. 경영학과
1. 학명으로서의 경영학
2. 한국 경영학의 발달과정
3. 조선시대의 경영학
4. 일제시대의 경영학
5. 8.15해방과 경영학
1) 경영학과의 설치 및 경영대학의 창설
2) 연구소의 설치
6. 경영학의 진전
7. 한국 경영학의 과제
Ⅴ. 경제학과
Ⅵ. 심리학과
1. 연구
2. 심리평가
3. 심리치료
4. 교육
5. 자문
6. 임상심리학자의 미래전망
참고문헌
Ⅱ. 국어국문학과
1. 전공필수의 최소화와 전공선택의 최대화
2. 고전문학과 현대문학의 연계
3. 장르간 균형적인 교과목의 개설
4. 전공의 영역 확대
5. 국어국문학과와 국어교육과의 교과과정의 차별화
Ⅲ. 문헌정보학과
Ⅳ. 경영학과
1. 학명으로서의 경영학
2. 한국 경영학의 발달과정
3. 조선시대의 경영학
4. 일제시대의 경영학
5. 8.15해방과 경영학
1) 경영학과의 설치 및 경영대학의 창설
2) 연구소의 설치
6. 경영학의 진전
7. 한국 경영학의 과제
Ⅴ. 경제학과
Ⅵ. 심리학과
1. 연구
2. 심리평가
3. 심리치료
4. 교육
5. 자문
6. 임상심리학자의 미래전망
참고문헌
본문내용
육학, 서지학, 종교학, 미학 등의 인접학문들과도 연계한 강좌를 개설함으로써 국문학의 깊이와 폭을 심화, 확대할 수 있을 뿐 아니라 국문학의 다양성을 가져올 수 있다.
또한 국어학과 국문학을 무관한 학문으로 생각하는 풍토를 불식하여 양면의 연구를 통합시킴으로써 문체론, 문장론, 운율론 등의 어문학 통합적인 강좌를 마련할 수도 있다.
그리고 국어국문학의 전문적 기능인을 양성하기 위해 실용적이고 응용적인 강좌도 개설해야 한다. 국어음성학, 국어정서법, 방언학, 시창작과 비평, 소설작법, 희곡의 작법과 실제, 시나리오 작법, 비평의 실제, 실용문의 특징과 작법, 예술과 미학 같은 강좌도 순수 이론과목과 함께 개설되어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도록 해야 하고 이론의 점검과 적용을 위해 각종 연습과목을 많이 개설해야 한다.
지역적 특성과 종교적인 특성을 지닌 대학에서는 기독교문학론, 불교문학론, 도교문학론, 동학가사론, 불교가사론, 천주교가사론, 동학과 민중문학론, 규방가사론과 같은 특색있는 과목의 개설이 바람직하다.
5. 국어국문학과와 국어교육과의 교과과정의 차별화
교사 양성이 주목적인 사범대학 국어교육과의 교과과정은 인문대학 국어국문학과의 교과과정과는 분명히 달라야 한다. 사범대학의 교과과정은 교육 내용과 교육 방법을 주로 교육(교수)하는 교과목으로 구성되어야 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국립사범대학 국어교육과의 교과과정을 살펴보면 28-47개 교과목 중에서 2대학이 16개와 13개의 교육관련 교과를 편성하고 있을 뿐, 나머지 대학들은 2-4개 정도가 교육관련 교과이고 그 밖의 90% 이상이 국어, 국문학 관련 교과로 되어 있다. 교육과정 개정시에 사범대학의 교육과정에 교사로서의 자질에 관련된 교육목표를 반영할 수 있도록 교직관련 과목을 설치키로 하고 이 교직관련 과목은 교양과목에 포함시킬 수 없다고 하여 교직과목이라는 제 3의 과목을 만들게 됨으로써 사범대학 교과과정은 일반대학 전공교과로 바뀌는 결과가 되고 말았다. 현재 2-4개의 국어교육 관련 교과목도 국어교육 전공이 아닌 교직과목으로 편성되어 있어서 실질적인 전공과목은 국어국문학과와 다른 바가 거의 없다. 앞으로 국어교육과의 교과과정은 교육관계 교과목으로 완전히 개선되어야 한다. 국어교육 교과목으로는 국어교육원리, 국어교재론, 국문학교육론, 국문학교재론, 읽기지도론, 말하기지도론, 쓰기지도론, 듣기지도론, 국어교육평가론, 국어교육사 등이 개설될 수 있을 것이다.
Ⅲ. 문헌정보학과
문헌정보학은 전통적인 도서관학에다 학제적인 성격을 지닌 정보학이 결합된 학문으로 공통적으로 문헌정보유통과 이용을 궁극적인 목표로 삼고 있다. 따라서 전통적인 도서관에서는 도서관 업무를 중심으로 문헌이란 도구에 수록된 자료를 가지고 서지적 통제에 의한 서비스제공을 사서가 중심이 되어서 고객에게 봉사하는 업무를 해왔다(최성진 1994).
그러나 정보사회가 되면서 문헌의 소장여부와는 상관이 없는 최신 全文(full text)자료의 내용을, 구축된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고객 스스로가 어디에서나 접근하는 self-service 사회가 도래하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급변하는 상황하에서 문헌정보학의 본질적인 특성을 종합성, 현실적합성, 과학성으로 정리하여 분석하면 다음과 같다(구본영 1996).
종합성은 문헌정보학이 인문과학의 속성을 가지고, 사회과학으로서의 성격도 강하게 띠고 있으며, 아울러 구체적인 실현방법인 자연과학적(응용과학적) 요소를 내포하고 있기에 특정한 문제를 전체와의 연관속에서 접근하고 파악하며, 연구에 있어서도 통합과학이라는 전체적인 틀 속에서 구체적인 문제를 탐구한다는 것이다. 현실적합성은 문헌정보학이 이용자인 인간을 연구대상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인문과학적 속성과, 다양한 유형의 정보를 조직관리하는 기술적인 영역인 자연과학적인 속성을 띠고 있음과 동시에 인간의 정보활동이라는 사회적 현상으로 귀착되는 사회과학적 속성에 의해 실질적인 평가를 받을 수 있게 된다는 것이다. 이런 특성은 그 이론이나 방법 등이 실제의 행위를 나타내게 됨으로 연구방법, 분석과정, 인접 사회과학 분야의 지식습득 등의 능력을 확보하는 것이 선행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또한 문헌정보학은 과학성을 가짐으로써 비로소 강한 학문적인 설득력을 가지게 되는 것이며, 이것은 연구자의 주관적인 자의를 배제함으로써 과학적인 연구가 이루어 져야 한다는 것이다.
문헌정보학은 독특한 학문적인 성격으로 인하여 소속 학문영역이 다양하게 제시되고 있다. 미국의 문헌정보학 교육은 처음에는 기능 또는 기술중심이었지만 이후로는 사회과학적 측면에서 발달하였다. 그러나 학자에 따라서 인문과학, 경험과학, 자연과학, 응용과학, 기술 등에 속한다고 주장하기도 하였다(Dick, 1995). 또한 종합과학, 독자적인 학문영역 등이 주장되기도 하였다.
이러한 다양한 주장은 문헌정보학의 학문적 특성이 확고하지 못하여 정체성이 결여되어 있다는 것을 단적으로 보여주고 있어서 학문의 대열에 서지 못하고 타학문을 위한 보조분야나 예비분야로 생각될 우려가 있고, 학문적사회적 고립을 가져올 우려가 있으므로 학문의 한 영역에 귀납하도록 이론과 체계를 정비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모든 분야를 포함한다는 것은 너무나 일반적이고 추상적이어서 어떤 학문에도 포함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학문의 한 영역에 귀납되도록 이론과 체계를 발전시킬 필요가 있다. 문헌정보학은 과업활동의 궁극적인 이용대상인 인간을 연구대상으로 하여 인간의 본질과 그 소산인 문화를 연고대상으로 한다고 간주한다면 인문과학에 속한다고 할 수 있다. 물론 정보유통과정 및 도서관, 정보자료실 등 정보기관의 발생 등을 사회적, 문화적 현상으로 간주하여 사회과학 혹은 응용과학의 한 영역이라고 주장할 수도 있겠지만, 문헌정보학의 발생원류는 이용자인 인간을 대상으로 하였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문헌정보학은 이용자의 효과적인 기록정보 이용을 대상으로 하는 체계적인 지식 및 기술에 관한 학문이며, 그 과업활동으로 기록정보의 생산, 수집, 자료조직, 보존, 전달까지의 활동이 이루어지고, 그 활동을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기술적인 방법으로 정보학이 활용되었다고 할 수 있다(김
또한 국어학과 국문학을 무관한 학문으로 생각하는 풍토를 불식하여 양면의 연구를 통합시킴으로써 문체론, 문장론, 운율론 등의 어문학 통합적인 강좌를 마련할 수도 있다.
그리고 국어국문학의 전문적 기능인을 양성하기 위해 실용적이고 응용적인 강좌도 개설해야 한다. 국어음성학, 국어정서법, 방언학, 시창작과 비평, 소설작법, 희곡의 작법과 실제, 시나리오 작법, 비평의 실제, 실용문의 특징과 작법, 예술과 미학 같은 강좌도 순수 이론과목과 함께 개설되어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도록 해야 하고 이론의 점검과 적용을 위해 각종 연습과목을 많이 개설해야 한다.
지역적 특성과 종교적인 특성을 지닌 대학에서는 기독교문학론, 불교문학론, 도교문학론, 동학가사론, 불교가사론, 천주교가사론, 동학과 민중문학론, 규방가사론과 같은 특색있는 과목의 개설이 바람직하다.
5. 국어국문학과와 국어교육과의 교과과정의 차별화
교사 양성이 주목적인 사범대학 국어교육과의 교과과정은 인문대학 국어국문학과의 교과과정과는 분명히 달라야 한다. 사범대학의 교과과정은 교육 내용과 교육 방법을 주로 교육(교수)하는 교과목으로 구성되어야 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국립사범대학 국어교육과의 교과과정을 살펴보면 28-47개 교과목 중에서 2대학이 16개와 13개의 교육관련 교과를 편성하고 있을 뿐, 나머지 대학들은 2-4개 정도가 교육관련 교과이고 그 밖의 90% 이상이 국어, 국문학 관련 교과로 되어 있다. 교육과정 개정시에 사범대학의 교육과정에 교사로서의 자질에 관련된 교육목표를 반영할 수 있도록 교직관련 과목을 설치키로 하고 이 교직관련 과목은 교양과목에 포함시킬 수 없다고 하여 교직과목이라는 제 3의 과목을 만들게 됨으로써 사범대학 교과과정은 일반대학 전공교과로 바뀌는 결과가 되고 말았다. 현재 2-4개의 국어교육 관련 교과목도 국어교육 전공이 아닌 교직과목으로 편성되어 있어서 실질적인 전공과목은 국어국문학과와 다른 바가 거의 없다. 앞으로 국어교육과의 교과과정은 교육관계 교과목으로 완전히 개선되어야 한다. 국어교육 교과목으로는 국어교육원리, 국어교재론, 국문학교육론, 국문학교재론, 읽기지도론, 말하기지도론, 쓰기지도론, 듣기지도론, 국어교육평가론, 국어교육사 등이 개설될 수 있을 것이다.
Ⅲ. 문헌정보학과
문헌정보학은 전통적인 도서관학에다 학제적인 성격을 지닌 정보학이 결합된 학문으로 공통적으로 문헌정보유통과 이용을 궁극적인 목표로 삼고 있다. 따라서 전통적인 도서관에서는 도서관 업무를 중심으로 문헌이란 도구에 수록된 자료를 가지고 서지적 통제에 의한 서비스제공을 사서가 중심이 되어서 고객에게 봉사하는 업무를 해왔다(최성진 1994).
그러나 정보사회가 되면서 문헌의 소장여부와는 상관이 없는 최신 全文(full text)자료의 내용을, 구축된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고객 스스로가 어디에서나 접근하는 self-service 사회가 도래하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급변하는 상황하에서 문헌정보학의 본질적인 특성을 종합성, 현실적합성, 과학성으로 정리하여 분석하면 다음과 같다(구본영 1996).
종합성은 문헌정보학이 인문과학의 속성을 가지고, 사회과학으로서의 성격도 강하게 띠고 있으며, 아울러 구체적인 실현방법인 자연과학적(응용과학적) 요소를 내포하고 있기에 특정한 문제를 전체와의 연관속에서 접근하고 파악하며, 연구에 있어서도 통합과학이라는 전체적인 틀 속에서 구체적인 문제를 탐구한다는 것이다. 현실적합성은 문헌정보학이 이용자인 인간을 연구대상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인문과학적 속성과, 다양한 유형의 정보를 조직관리하는 기술적인 영역인 자연과학적인 속성을 띠고 있음과 동시에 인간의 정보활동이라는 사회적 현상으로 귀착되는 사회과학적 속성에 의해 실질적인 평가를 받을 수 있게 된다는 것이다. 이런 특성은 그 이론이나 방법 등이 실제의 행위를 나타내게 됨으로 연구방법, 분석과정, 인접 사회과학 분야의 지식습득 등의 능력을 확보하는 것이 선행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또한 문헌정보학은 과학성을 가짐으로써 비로소 강한 학문적인 설득력을 가지게 되는 것이며, 이것은 연구자의 주관적인 자의를 배제함으로써 과학적인 연구가 이루어 져야 한다는 것이다.
문헌정보학은 독특한 학문적인 성격으로 인하여 소속 학문영역이 다양하게 제시되고 있다. 미국의 문헌정보학 교육은 처음에는 기능 또는 기술중심이었지만 이후로는 사회과학적 측면에서 발달하였다. 그러나 학자에 따라서 인문과학, 경험과학, 자연과학, 응용과학, 기술 등에 속한다고 주장하기도 하였다(Dick, 1995). 또한 종합과학, 독자적인 학문영역 등이 주장되기도 하였다.
이러한 다양한 주장은 문헌정보학의 학문적 특성이 확고하지 못하여 정체성이 결여되어 있다는 것을 단적으로 보여주고 있어서 학문의 대열에 서지 못하고 타학문을 위한 보조분야나 예비분야로 생각될 우려가 있고, 학문적사회적 고립을 가져올 우려가 있으므로 학문의 한 영역에 귀납하도록 이론과 체계를 정비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모든 분야를 포함한다는 것은 너무나 일반적이고 추상적이어서 어떤 학문에도 포함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학문의 한 영역에 귀납되도록 이론과 체계를 발전시킬 필요가 있다. 문헌정보학은 과업활동의 궁극적인 이용대상인 인간을 연구대상으로 하여 인간의 본질과 그 소산인 문화를 연고대상으로 한다고 간주한다면 인문과학에 속한다고 할 수 있다. 물론 정보유통과정 및 도서관, 정보자료실 등 정보기관의 발생 등을 사회적, 문화적 현상으로 간주하여 사회과학 혹은 응용과학의 한 영역이라고 주장할 수도 있겠지만, 문헌정보학의 발생원류는 이용자인 인간을 대상으로 하였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문헌정보학은 이용자의 효과적인 기록정보 이용을 대상으로 하는 체계적인 지식 및 기술에 관한 학문이며, 그 과업활동으로 기록정보의 생산, 수집, 자료조직, 보존, 전달까지의 활동이 이루어지고, 그 활동을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기술적인 방법으로 정보학이 활용되었다고 할 수 있다(김
추천자료
[과학과교육]과학과 ICT(정보통신기술)활용교육의 특징과 필요성, 과학과 ICT(정보통신기술)...
실업계 고등학교 IT(정보기술)인력양성의 실태, 실업계 고등학교 IT(정보기술)인력양성의 교...
(A+, 경영학과, e-비즈니스) 규범적인 프로토콜인 OSI 7-Layer 프로토콜의 7개 계층을 제시 ...
(A+, 경영학과, e-비즈니스) 인터넷 주소체계에 있어서 새로운 개념인 IPng의 의미와 IPv6에 ...
(A+, 경영학과, e-비즈니스) 규범적인 프로토콜인 OSI 7-Layer 프로토콜의 7개 계층을 제시 ...
(A+, 경영학과, e-비즈니스) 인터넷 주소체계에 있어서 새로운 개념인 IPng의 의미와 IPv6에 ...
[농산물유통][도매시장]농산물유통의 활성화, 농산물유통의 유통기구, 농산물유통과 산지유통...
[기업과 사회] (고려대 경영학과) 부산시민과 롯데의 사회적 책임 - CSR기업의 사회적 책임
[금융데이터의 이해 과제물] 방송통신대학교 정보통계학과 금융데이터의 이해
[공공선택론 公共選擇論] 시장실패 (Market Failure) - 신고전파 경제학과 시장실패, 공공재 ...
2017년 2학기 경영학과 주식회사법 기말시험 핵심체크
2017년 2학기 경영학과 금융투자의이해 기말시험 핵심체크
2017년 2학기 경영학과 원가회계 기말시험 핵심체크
2017년 2학기 경영학과 기초거시경제론 기말시험 핵심체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