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개요
Ⅱ. 피아노의 개념
Ⅲ. 독일 작곡가 로베르트 슈만의 피아노 협주곡 a단조 작품 54
1. 제 1악장(Allegro affettuoso a단조 4/4박자)
2. 제 2악장(Andante grazioso F장조 2/4박자)
3. 제 3악장(Allegro vivace A장조 3/4박자)
Ⅳ. 오스트리아 작곡가 프란츠 슈베르트의 피아노 트리오 1번 B♭장조 op.99
1. 제 1악장
2. 제 2악장
3. 제 3악장
Ⅴ. 체코 작곡가 얀 루디슬라브 듀섹의 피아노 소나타 Op. 44 고별
Ⅵ. 피아노 조율사
참고문헌
Ⅱ. 피아노의 개념
Ⅲ. 독일 작곡가 로베르트 슈만의 피아노 협주곡 a단조 작품 54
1. 제 1악장(Allegro affettuoso a단조 4/4박자)
2. 제 2악장(Andante grazioso F장조 2/4박자)
3. 제 3악장(Allegro vivace A장조 3/4박자)
Ⅳ. 오스트리아 작곡가 프란츠 슈베르트의 피아노 트리오 1번 B♭장조 op.99
1. 제 1악장
2. 제 2악장
3. 제 3악장
Ⅴ. 체코 작곡가 얀 루디슬라브 듀섹의 피아노 소나타 Op. 44 고별
Ⅵ. 피아노 조율사
참고문헌
본문내용
악장-론도 3악장의 구조가 가장 자주 나타나며 느린 2악장이 미뉴에트로 바뀐 구조도 찾아 볼 수 있다.
듀섹의 소나타 중 4악장 형식으로 되어있는 작품은 세 개에 불과한데 이들은 모두 1800년 이후에 작곡된 후기 작품들이다. 이들은 듀섹의 작품중 음악적으로 가장 난해한 작품들로 분류되며 모두 6도 혹은 반음이 낮춰진 6도(lowered sixth)의 화성 관계를 강조한다는 공통점을 가지고 있다. 특히 Op. 44 고별 소나타는 다른 작품과는 구별되는 독특한 조성 관계를 보여주는 데 이 작품에 대해서는 2.2. 화성 어법에서 보다 상세히 알아보고자 한다. 4악장 형식의 소나타들은 빠른 1악장과 4악장을 가지며 중간 악장으로는 느린 악장과 미뉴에트 악장을 포함한다.
그 당시 이론적으로는 완전히 정립되어 있지 않았지만 제시부, 발전부, 재현부 등으로 나뉘어진 구조와 구조간의 조성 관계 등이 나타나는 소나타 알레그로 형식이 많은 작곡가들에 의해 사용되고 있었는데 이 형식은 듀섹의 피아노 소나타 중 가장 자주 찾아 볼 수 있는 형식이다. 소나타 알레그로 형식은 하이든의 시대에 자주 사용되던 돌림 2부분 형식(Rounded binary)에서 발전된 형식으로 두 가지 다른 조성의 대립이 기본적인 요소이며 제 2주제가 재현부에서 으뜸음조로 재현되어야 한다는 조건을 충족시켜야 한다. 그 외 서주 부분, 연결구, 마침 주제(Closing theme), 코다 등은 부수적인 요소로 간주된다. 듀섹의 이러한 소나타 알레그로 형식의 선호도는 낭만적인 화성 어법이나 짜임새와는 달리 형식면에서 고전적인 형식을 채택하였음을 보여 준다. 빠른 1악장, 느린 중간 악장에서는 A-B-A\' 형식의 악장, 춤곡이 있는 중간 악장에서는 미뉴에트와 트리오를 사용하였다. 그리고 마지막 악장에서는 소나타 알레그로 악장으로 대치된 경우를 제외하고는 모두 론도나 소나타 론도의 고전적인 형식을 갖추고 있다. 듀섹의 피아노 소나타 중 단 2곡을 제외하고는 모두 이 구성을 따른다. Op. 10 No. 2는 느린 1악장을, Op. 70은 2악장에서 미뉴에트 악장형식을, 3악장에서 느린 악장 형식을 채택하였다는 점에서 예외이다.
듀섹의 피아노 소나타에는 전체적인 형식의 관점에서 보았을 때 통일성과 다양성이 결여되어 있다고 할 수 있다. 듀섹의 소나타는 같은 작품의 각 악장간에 뚜렷한 기능적 연관성이 없이 개별적인 악장을 나열만 한 듯하다는 점에서 통일성이 부족하다고 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한 곡을 하나의 작품으로 묶는 구심점이 약하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Op. 44는 예외로 제 1악장 서주 부분의 작은 동기가 씨앗이 되어 전체 악장을 선율적, 리듬적으로 지배한다.
다양성의 관점에서는 그의 소나타 중 절반이 2개의 빠른 악장으로 짝을 이루어 쓰여졌으며 또한 같은 조성으로 이루어졌다는 점에서 템포와 조성간의 대비가 부족하다고 할 수 있다. 또한 듀섹이 피아노 소나타를 작곡할 때 악장의 순서에 있어서 기본적인 틀을 거의 벗어나지 않은 점, 몇 가지 형식만을 반복하여 주로 사용한 점 등도 다양성이 결여되었다고 여겨지는 이유중의 하나이다.
Ⅵ. 피아노 조율사
보통 피아노조율은 조율공구로 현의 장력을 가감하여 바른 음계를 갖도록 하는 작업이며 피아노조정은 타현기구(건반, 액션, 페달)의 동작을 조정공구로 정상운동할 수 있도록 하는 일인데 일반적으로 피아노조율사라고 하면 조정(수리), 조율(음률), 정음(음색)작업을 모두 수행한다.
조정작업에는 건반, 액션, 페달조정 작업이 있는데 건반조정은 건반의 원활한 움직임과 느껴지는 터치를 좋게 하기 위하여 88개의 건반을 모두 고르게 조정하는 것을 말한다.
조율작업에는 롱
듀섹의 소나타 중 4악장 형식으로 되어있는 작품은 세 개에 불과한데 이들은 모두 1800년 이후에 작곡된 후기 작품들이다. 이들은 듀섹의 작품중 음악적으로 가장 난해한 작품들로 분류되며 모두 6도 혹은 반음이 낮춰진 6도(lowered sixth)의 화성 관계를 강조한다는 공통점을 가지고 있다. 특히 Op. 44 고별 소나타는 다른 작품과는 구별되는 독특한 조성 관계를 보여주는 데 이 작품에 대해서는 2.2. 화성 어법에서 보다 상세히 알아보고자 한다. 4악장 형식의 소나타들은 빠른 1악장과 4악장을 가지며 중간 악장으로는 느린 악장과 미뉴에트 악장을 포함한다.
그 당시 이론적으로는 완전히 정립되어 있지 않았지만 제시부, 발전부, 재현부 등으로 나뉘어진 구조와 구조간의 조성 관계 등이 나타나는 소나타 알레그로 형식이 많은 작곡가들에 의해 사용되고 있었는데 이 형식은 듀섹의 피아노 소나타 중 가장 자주 찾아 볼 수 있는 형식이다. 소나타 알레그로 형식은 하이든의 시대에 자주 사용되던 돌림 2부분 형식(Rounded binary)에서 발전된 형식으로 두 가지 다른 조성의 대립이 기본적인 요소이며 제 2주제가 재현부에서 으뜸음조로 재현되어야 한다는 조건을 충족시켜야 한다. 그 외 서주 부분, 연결구, 마침 주제(Closing theme), 코다 등은 부수적인 요소로 간주된다. 듀섹의 이러한 소나타 알레그로 형식의 선호도는 낭만적인 화성 어법이나 짜임새와는 달리 형식면에서 고전적인 형식을 채택하였음을 보여 준다. 빠른 1악장, 느린 중간 악장에서는 A-B-A\' 형식의 악장, 춤곡이 있는 중간 악장에서는 미뉴에트와 트리오를 사용하였다. 그리고 마지막 악장에서는 소나타 알레그로 악장으로 대치된 경우를 제외하고는 모두 론도나 소나타 론도의 고전적인 형식을 갖추고 있다. 듀섹의 피아노 소나타 중 단 2곡을 제외하고는 모두 이 구성을 따른다. Op. 10 No. 2는 느린 1악장을, Op. 70은 2악장에서 미뉴에트 악장형식을, 3악장에서 느린 악장 형식을 채택하였다는 점에서 예외이다.
듀섹의 피아노 소나타에는 전체적인 형식의 관점에서 보았을 때 통일성과 다양성이 결여되어 있다고 할 수 있다. 듀섹의 소나타는 같은 작품의 각 악장간에 뚜렷한 기능적 연관성이 없이 개별적인 악장을 나열만 한 듯하다는 점에서 통일성이 부족하다고 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한 곡을 하나의 작품으로 묶는 구심점이 약하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Op. 44는 예외로 제 1악장 서주 부분의 작은 동기가 씨앗이 되어 전체 악장을 선율적, 리듬적으로 지배한다.
다양성의 관점에서는 그의 소나타 중 절반이 2개의 빠른 악장으로 짝을 이루어 쓰여졌으며 또한 같은 조성으로 이루어졌다는 점에서 템포와 조성간의 대비가 부족하다고 할 수 있다. 또한 듀섹이 피아노 소나타를 작곡할 때 악장의 순서에 있어서 기본적인 틀을 거의 벗어나지 않은 점, 몇 가지 형식만을 반복하여 주로 사용한 점 등도 다양성이 결여되었다고 여겨지는 이유중의 하나이다.
Ⅵ. 피아노 조율사
보통 피아노조율은 조율공구로 현의 장력을 가감하여 바른 음계를 갖도록 하는 작업이며 피아노조정은 타현기구(건반, 액션, 페달)의 동작을 조정공구로 정상운동할 수 있도록 하는 일인데 일반적으로 피아노조율사라고 하면 조정(수리), 조율(음률), 정음(음색)작업을 모두 수행한다.
조정작업에는 건반, 액션, 페달조정 작업이 있는데 건반조정은 건반의 원활한 움직임과 느껴지는 터치를 좋게 하기 위하여 88개의 건반을 모두 고르게 조정하는 것을 말한다.
조율작업에는 롱
추천자료
[음악] 슈만에 대해
예술 체험기
슈만 가곡의 반주법과 가곡 연구
서양음악의 이해-한경은 독주회를 다녀와서
[예체능] 낭만주의 음악
[음악의이해와감상] 『기악곡과 성악곡』에 대하여
음악과생활[건양대_교양_기말고사]
연주회 감상문
음악감상문 아트센터 소극장에서 열리는 장미화님과 이소진 교수님의 피아노 듀오 연주회
낭만파음악(낭만주의음악) 의의와 장르별특성, 낭만파음악(낭만주의음악) 경향, 낭만파음악(...
낭만파(낭만주의) 음악 정의, 낭만파(낭만주의) 음악 특색, 낭만파(낭만주의) 음악 장르별 특...
낭만주의와 20세기(전체주의)음악사
음악프로젝트 - 봄의 클래식
“19세기 독일가곡”을 읽고 - 독일음악 19세기 독일음악의 특징과 역사 _ 로레인 고렐 지음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