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악의이해와감상] 『기악곡과 성악곡』에 대하여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음악의이해와감상] 『기악곡과 성악곡』에 대하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기악곡
단악장 형식의 곡
다악장 형식의 곡

2.성악곡의 종류

본문내용

음악의 이해와 감상.
<1.기악곡>
<<단악장 형식의 곡>>
1.광시곡(Rhapsody) : 자유로운 형식의 기악곡이다. 대개는 민속적 또는 서사적인 성격을 지니게 된다. 리스트,랄로,드보르자크,에네스쿠,바르토크 등의 작품에는 피아노 또는 관현악으로 된 랩소디가 있다. 또한, 브람스도 발라드풍으로 된 피아노 곡인 랩소디를 만들었으며, 특이한 예로는 거슈윈의 ‘랩소디 인 블루’를 들 수 있다. - 리스트 : 헝가리 광시곡 제1번.
2.즉흥곡(Impromptu) : 낭만파 시대에 성행했던 기악 소품의 하나이다. 작곡자의 마음 속에 언뜻 떠오른 악상에 즉흥적 요소를 넣어 자유롭게 다듬어 만든 악곡으로, 빠르게 약동하는 부분과 서정적으로 노래하는 부분을 대립시키는 것이 보통이다. 17세기에는 즉흥시 또는 막간에 연주하는 것을 가리켰고, 낭만파 음악에서는 자유로운 형식으로 씌어진 성격적 소곡(Characteristic piece)의 표제로서 씌었다. 그것들은 즉흥적인 요소가 있기는 하지만, 즉흥적으로 만들어진 것은 결코 아니다. - 슈베르트 : 즉흥곡 제 4번 내림 가장조 Op.90-4
3.환상곡(Fantasy) : 형식에 얽매이지 않고 악상이 펼쳐지는 대로 작곡된 악곡을 가리키는데, 그 내용은 시대에 따라 다르다. - 쇼팽 : 즉흥 환상곡.
4.야상곡(Noctrune) : 낭만파 시대의 악곡이다. 아일랜드의 작곡가 존 필드에 의해 처음 시작되었는데, 쇼팽에 의해서 예술적 향기가 높은 악곡으로 승화되었다. 반드시 밤을 상징하는 음악이라고는 할 수 없으나 속도가 느리고 표현력 있는 멜로디가 펼침화음으로 반주되어 몽상적인 분위기를 묘사한다. 겹세도막 형식으로 되어 있다. - 쇼팽 : 야상곡 제 2번.
5.카프리스(Caprice) : 카프리치오라고도 하며 기상곡 또는 광상곡으로 번역된다. 19세기 작곡가들에 의해 많이 작곡된 유쾌하고 기지에 넘치는 기악 소품.-파카니니 : 카프리스 13번.
6.행진곡(March) : 군대 또는 집단을 질서바르게 행진시키기 위한 실용음악. 거기서 더 나아가 그와 같은 정경을 묘사한 예술적 음악도 가리킨다. 실용음악으로서의 행진곡은 단순 명쾌한 리듬과 규칙적인 프레이즈로 되는 것이 원칙이다. 형식은 주제부-트리오-주제부의 겹세도막 형식이 가장 일반적이다. 주로 4박자나 2박자(빠른6/8박자 포함)를 사용하며 사용 목적에 따라 군대행진곡,결혼행진곡,장송행진곡,개선행진곡,축전행진곡 등 여러 가지로 불린다. (바그너 : 결혼행진곡 , 멘델스죤 : 축혼행진곡 , 베르디 : ‘아이다’중에서 개선행진곡 , 수자 : 성조기여 영원하라.)
7. 스케르쪼(Scherzo) - 베토벤이 메뉴엣 대신에 소나타, 교향곡, 4중주곡 등의 제 3악장에서 썼던 3박자의 쾌활하고 익살스러운 곡, 보통은 스케르쪼 -트리오- 스케르쪼의 겹세도막 형식이다. 쇼팽과 브람스에서는 어두운 성격의 스케르쪼와 서정적인 트리오로 이루어 졌으며, 바르크 시대에는 가벼운 오락적 성악곡을 가리키기도 했다. - 쇼팽: 스케르쪼 제2번.
8.로망스(Romance) - 로망스는 원래 음유시인들이 부르던 서정적인 이야기식으로 된 가곡을 말한다. 근래 들어서는 그러한 사랑의 감정을 담은 서정적인 기악곡을 가리킨다. - 베토벤 : 로망스 제2번 바장조.
9.바가텔(Bagatelle) - 보통 피아노곡에 사용되엇던 소품을 가리킨다. 19세기 성격적 소품의 시초이다.
10.무언가(song without Words) - <가사가 없는 노래>라는 뜻인데, 가곡과 같은 스타일의 피아노곡에 대해 멘델스죤이 쓰기 시작한 명칭이다. 낭만파 음악 특유의 산물인데, 로맨틱한 피아노곡의 중요한 것이다. - 멘델스죤 : 무언가 “봄노래”
11.유모레스크(Humoresque) - 19세기의 한 기악곡에 붙여진 이름인데, 유머가 있고 얼마간 희롱기가 있는 성격의 곡. - 드보르작 : 유모레스크.
12.연습곡(Etude) - 연주 기교의 습득을 목적으로 씌어진 곡. 한 연습곡은 보통 스케일(scale : 음계), 아르페지오(분산화음), 옥타브, 더블스토핑, 트릴 등의 어느 한 기교를 위해 씌여진다. 매우 부분적인 것에서부터 아주 어려운 기교의 연주회용 연습곡까지 잇다. 특히 쇼팽이나 리스트는 단순한 기교적 연습이 아닌 예술성 높고 시적인 내용의 연습곡을 작곡 하였다. 보통 세도막 형식을 취하고 있고 간혹 론도 형식을 사용한 것도 있다. - 리스트 : 고난도 연습곡 제4번 <마제파>op. 19-2
13.간주곡(Intermezzo) - 극이나 오페라의 막간에 연주되는 기악곡을 가리키는데 시대에 따라 여러 의미로 사용되었다. - 비제 : 카르멘 조곡 1번중에서 “간주곡”
14.발라드(Ballad) - 원래 영국의 통속적 가곡. 본래 무도가였는데 13세기에 들어와서 무도의 성격이 없어지고 역사적, 풍자적, 종교적 요소를 가진 가벼운 독창곡이 되었다. 본래는 성악곡의 형식으로 줄거리가 있는 서사시에 의한 가곡을 뜻하는 말이었으나, 쇼팽과 브람스는 성격적 소품으로 된 피아노 곡에 발라드란 이름을 썼다. 19세기 영국 상류 사회에서 유행되었던 센티멘탈한 가곡. 빅토리언 송(Victorian song)이라고도 한다. 슈베르트, 쇼팽, 브람스의 곡에서는 3부형식의 피아노곡에 사용되기도 하엿다. 또 파퓰러 송 가운데서 감상적인 러브송을 가리키기도 한다. 성악의 발라드로서는 뢰베(Loewe)가 대표적이다. - 쇼팽 : 발라드 제4번 바단조.
15.토카타(Toccata) - 건반악기의 즉흥적인 연주에서 발상한 건반악곡. 모든 손가락을 다 놀리는 두터운 화음과 매우 빠른 패시지를 구사하며 즉흥에 의례 따르기 마련인 자유분방함을 그 특징으로 한다. 초창기의 토카타는 두터운 화음과 그에 섞인 음계적 패시지만으로서 이루어
  • 가격1,3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09.11.30
  • 저작시기2009.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6359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