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비에트연방(소련, 러시아)과 북한의 정치관계, 소비에트연방(소련, 러시아)과 북한의 교역변화, 소비에트연방(소련, 러시아)과 북한의 페레스트로이카, 소비에트연방(소련, 러시아)과 북한의 소련붕괴 분석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소비에트연방(소련, 러시아)과 북한의 정치관계, 소비에트연방(소련, 러시아)과 북한의 교역변화, 소비에트연방(소련, 러시아)과 북한의 페레스트로이카, 소비에트연방(소련, 러시아)과 북한의 소련붕괴 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소비에트연방(소련, 러시아)과 북한의 정치관계

Ⅲ. 소비에트연방(소련, 러시아)과 북한의 교역변화
1. 1960년대
2. 1970년대
3. 1970년대 후반
4. 1980년대
5. 1980년대 중반이후
6. 1989년~1990년

Ⅳ. 소비에트연방(소련, 러시아)과 북한의 페레스트로이카

Ⅴ. 소비에트연방(소련, 러시아)과 북한의 소련붕괴

Ⅵ.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능케 했다.
특히 김일성의 모스크바 방문 이후 소련과 북한과의 군사협력은 보다 확대되었다. 다양한 군사용품 공급과 군사 전문가들로 구성된 사절단 교환과 함께 소련의 태평양 군대과 북한 해군의 통수부 간의 우호적인 관계가 성립되었다. 원산에 소련 군함의 방문이 있었고, 블라지보스톡에 북한 군함 방문이 있었다. 이에 소련 군함의 북한 방문은 1961년 소련-북한 조약 체결 기념행사로 정해졌으며, 북한 군함 방문은 한국독립기념일로 정해졌다.
소련 대표로의 M.S. 고르바쵸프의 방문과 함께 소련과 북한간의 관계는 하락을 맞이했다. 북한 정부는 “페레스트로이카”와 “공표” 정책을 비판적으로 받아들였고, 북한으로의 이러한 정책 이전 가능성에 대해 매우 부정적으로 대했다.
북한의 소련과의 관계, 그 다음으로 러시아와의 관계(러시아는 자신의 대외 정치를 다시 목표로 삼길 원해 남한과의 접근으로 넘어갔다)에 있어 좋지 않은 수정을 가했다. 소련과 남한과의 특별 관계 성립은 소련-북한 관계의 냉담을 초래했다. 모스크바와 평양간의 모든 관계는 중단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북한의 요청에 따라 조약 유효기간은 다음 5년 간으로 연장되어 북한측이 이 문서에 부여한 큰 의미에 관해 객관적으로 증명해 주었다.
러시아 원료, 기술 원조 및 연료를 제외하고 소련의 원조로 건설된 십여 개의 북한 산업체들이 계속해서 유지되었다. 이들의 공동 경영은 업체들이 보상을 토대로 건설되었고, 소련에 생산 제품의 60-80%을 공급하도록 규정되었기 때문에 러시아 경제에도 이익을 가져다 줄 수 있었다. 그렇기 때문에 양측은 자신의 의도를 과시하지 않으며 서로간의 새로운 정치경제 관계를 모색하게 되었다는 것은 놀랄만한 사실이 아니다.
러시아측은 대화 조정에 첫 발을 내딛어야 했다. 러시아 외무부 차관 G. 꾸나제가 북한 외무부와의 협의를 진행하기 위해 러시아 대통령 특별 대표의 자격으로 평양을 방문했다. 북한 외교관들과의 만남에서 G. 꾸나제는 러시아 정부가 소련-북한 조약을 “러시아와 북한의 상호 유리한 파트너 및 선린관계를 계속하기 위한” 토대로 간주하고 있다고 발표했다. 그와 동시에 G. 꾸나제는 러시아에 의한 북한과의 군사협력 중단에 관해 북한 외교관들에게 알렸다. 그래서 평양에서는 부정적으로 인식되었으며, 다음 협상 단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게 되었다.
협상에서는 북한의 원자에너지 국제협회에서 탈퇴하려는 의도에 관한 문제가 언급되었다. 북한이 “이는 북한의 내부 일이다”라는 사실을 토대로 한 이 문제를 토론하는 것을 원하지 않았던 점은 러시아 대표를 안정시키지 못했다. 양측은 또한 소련의 부채와 제품 공급에 대한 북한의 채무 지불 일시중단의 원인에 관한 문제도 언급했다. 이전 협약에 따라 북한은 지불을 시작해야 했으나, 자신의 의무를 수행하지 않았다. 북한 관리들은 정확한 채무 청산 시기를 제시할 수 없었다. 러시아 외무부에서의 브리핑에서 G. 꾸나제는 자신의 방문을 북한과의 관계에 있어 무르익은 문제점들은 일부라도 해결하지 못한 실패로 평가했다. 러시아 야당 대표들은 북한과의 정치적 대화 회복에 관한 성공적인 시도에 착수했다. 국회 부위원장 A. 벤게롭스끼와 러시아 자유민주당 위원장 V. 쥐르놉스끼로 구성된 자유민주당 사절단이 평양을 방문했다. 같은 해 5월에 지난 3년 동안 처음으로 러시아를 방문한 외교관이었던 이인규 북한 외무부 차관이 모스크바를 방문했다.
9월에 러시아 대통령의 특수 공사 역할을 수행했던 러시아 외무부 차관 A. 빠노프가 평양을 방문했다. 이인규와의 협상에서 A. 빠노프는 북한과의 선린관계를 발전시키고, 러시아 경수로 원자로 공급을 실시하도록 제안하며 핵문제 결정을 조성하려는 러시아의 준비성을 증명했다. 북한사람들은 러시아 원자로에 관심을 나타냈으며, 더욱이 최종 결정은 제네바에서의 미북 협상4이 완료된 후 체택될 것이라고 발표했다.
러시아 극동지방과 북한과의 지역관계 회복은 러시아-북한 관계를 재개시켰다. 하바롭스크 및 연해주 지방 행정부 사절단이 평양을 방문했으며, 방문 목적은 러시아 극동지방의 두 경제 발전 지역의 북한과의 지역 경제 협력의 활성화였다.
러시아 현지사들과 북한대표들의 협상 과정에서 협력 확대 가능성을 연구하기 위해 노동자위원회 설립에 관한 조서가 체결되었다. 또한 공동 프로젝트, 특히 하바롭스크 지방 업체의 “라진-선봉” 자유무역경제지역의 기반 확대에의 참여, 재봉, 목재 및 어업 분야에서의 공동 생산업체 설립의 실현 전망이 검토되었다. 북한측은 “
  • 가격6,5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13.07.25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6571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