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개요
Ⅱ. 현대소설의 성격
1. 산문성
2. 허구성
3. 예술성
4. 진실성
5. 서사성
Ⅲ. 현대소설의 분류
1. 분량에 따른 분류
2. 소재에 따른 분류
3. 주제에 따른 분류
4. 미적 가치에 따른 분류
5. 표현의 초점
6. 사조에 따른 분류
Ⅳ. 현대소설의 갈래
1. 길이상 갈래
1) 장편 소설
2) 중편 소설
3) 단편 소설
4) 꽁트(Conte)
2. 시대상 갈래(우리 나라)
1) 고대 소설
2) 신소설
3) 근대 소설 : 이광수의 [무정] 이후 지금까지 발표된 소설
3. 내용상 갈래
1) 역사 소설
2) 탐정 소설
3) 애정 소설(연애 소설, 염정 소설)
4) 해양 소설
5) 계몽 소설
6) 전쟁 소설
4. 예술성에 따른 분류
1) 순수 소설
2) 대중 소설(통속 소설)
Ⅴ. 현대소설의 구성
1. 직선적 구성
2. 복합적 구성
3. 병렬식 구성
4. 액자형 구성
Ⅵ. 현대소설의 전개
참고문헌
Ⅱ. 현대소설의 성격
1. 산문성
2. 허구성
3. 예술성
4. 진실성
5. 서사성
Ⅲ. 현대소설의 분류
1. 분량에 따른 분류
2. 소재에 따른 분류
3. 주제에 따른 분류
4. 미적 가치에 따른 분류
5. 표현의 초점
6. 사조에 따른 분류
Ⅳ. 현대소설의 갈래
1. 길이상 갈래
1) 장편 소설
2) 중편 소설
3) 단편 소설
4) 꽁트(Conte)
2. 시대상 갈래(우리 나라)
1) 고대 소설
2) 신소설
3) 근대 소설 : 이광수의 [무정] 이후 지금까지 발표된 소설
3. 내용상 갈래
1) 역사 소설
2) 탐정 소설
3) 애정 소설(연애 소설, 염정 소설)
4) 해양 소설
5) 계몽 소설
6) 전쟁 소설
4. 예술성에 따른 분류
1) 순수 소설
2) 대중 소설(통속 소설)
Ⅴ. 현대소설의 구성
1. 직선적 구성
2. 복합적 구성
3. 병렬식 구성
4. 액자형 구성
Ⅵ. 현대소설의 전개
참고문헌
본문내용
성되고 자연이 주는 공포라는 주제 의식을 가능케 한다.
구성은 또한 사건 전개에 논리성을 부여한다. 돌발적인 사건이나 행동은 복선을 사용하여 이를 합리화시킴으로써 리얼리티를 획득하게 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작품은 통일성을 얻게 되고, 구성은 주제를 구현하는 데 기여하게 된다. 결국 구성의 궁극적 목적은 주제의 효과적인 구현에 있다.
1. 직선적 구성
구성의 유형 중 가장 단순한 방식이다. 어느 한 사건이 일어나면 그 사건을 이어 연속적으로 다른 사건이 이어진다. \'A→B→C\' 식으로 단일 사건이 추적되고 있다. 이 형태는 이야기에 통일성을 줌으로써 사건 진행 과정이 명료하게 드러나지만 단순성을 면치 못한다. 그 예로 김동인의 \'감자\'를 들 수 있다.
2. 복합적 구성
하나의 사건이 진행되는 중에 새로운 다른 사건이 일어나 먼저 사건에 결합되어 진행되다가 또 다른 사건이 일어나면서 앞선 사건들에 연결되어 이야기가 엮어지는 형태가 되는데, 이를 복합적 구성이라 한다.
이는 삶을 총체적으로 드러내고자 하는 장편에서 많이 볼 수 있다. 여러 개의 사건이 연결되지만 그 사건들은 주제를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위해 긴밀한 연락과 질서를 유지하고 있어서 하나의 이야기로 묶여진다. 그 예로 이광수의 \'무정\'이나 채만식의 \'탁류\'를 들 수 있다.
3. 병렬식 구성
여러 사건이 각각 독립적으로 진행되면서 하나의 완결된 이야기로 되어 있는 것을 병렬식 구성이라고 하는데 이와 같은 유형은 흥미 본위의 로망(roman)적인 소설에 많이 있다.
하나의 에피소드 속에는 단계적 발전이 있지만 그 에피소드들은 전체의 이야기 속에 부분으로 포함되어 있을 뿐이다. 그러므로 이야기끼리의 긴밀한 연락과 상관성은 적은 편이다. 그 예로 박태원의 \'천변 풍경\'을 들 수 있다.
4. 액자형 구성
작가가 직접 서술, 묘사하는 것이 아니라 남의 체험이나 사건을 서술하는 형태를 말한다. 하나의 이야기 속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이야기가 포함되어 내부 이야기와 외부 이야기로 분리된다.
김동인의 \'배따라기\'를 보면 \'나\'가 대동강변에서 배따라기를 부르는 사람을 만나면서 그에 관련된 이야기를 듣게 된다는 형식을 보여 주는데, 이것이 액자형 구성의 대표적인 예라고 할 수 있다.
겉의 이야기는 보통 1인칭의 시점이 되고, 중심적인 이야기는 3인칭의 이야기로 진행되는데 독자와 작중 현실을 1인칭 서술자가 매개함으로써 실재감을 부여하는 장점이 있다.
Ⅵ. 현대소설의 전개
이 시기에 이룩되고 발표된 소설 가운데 현대소설의 시험작으로 김우진의 <공상문학>, 독립신문에 연재된 <피눈물>등의 작품이 의의를 가진다. 신소설을 현대소설로 바꾸는데 큰 역할을 했다고 평을 듣는 이광수는 재능이 있는 작가였지만, 어울리지 않게 민족의 지도자로 자처하고, 인기를 과신해 작품 창작을 함부로 했으며, 자기 자신을 스스로 높여 민족의 현재와 장래를 짊어지고 있다고 착각한 탓에 수습할 수 없는 파탄을 보였다. 김동인은 이광수의 이상주의를 반대하고 문학은 오직 미를 추구할 따름이며 미의 반대가 되는 추까지 미의 범위 안으로 끌어들여야 한다고 했다. 김소월, 홍사용, 한용운은 시인이면서 소설을 쓰기도 했다. 나도향은 일단 이룬 작품세계가 불만스러우면 주저하지 않고 방향을 바꾸어 사회변화를 집약하는 인간형에 대한 사실주의적인 진단을 하는 데 이르렀다. 현진건은 초기 소설에서 낭만주의의 환상과 비애를 보이기도 하지만 후기에 이르러 현실을 실상대로 인식하려고 애썼다. 염상섭은 탐색의 혼란을 시정을 거치는 동안 여러 방향으로 나아갈 수 있는 가능성을 공존시키면서 장편화의 경향을 초기부터 보였다. 다른 한편으로는 신문 연재 장편소설 작가로서도 꾸준히 활동했다. 대표작으로 <삼대>, <이심> 등이 있다. 주요섭은 빈곤의 문제를 작품에서 주로 다루면서 처참한 빈곤을 냉혹하게 살폈다. 그와는 달리 최서해는 같은 빈곤의 문제를 다루면서도 자연발생적인 투쟁을 보이는 데 그친다는 비판을 받았지만, 하층의 체험을 진실하게 나타낸 거의 유일한 작가라고 할 수 있다.
참고문헌
- 김우종(1998). 한국현대소설사, 성문각
- 김병욱(1992), 한국 현대소설의 시간과 공간 연구, 서강대 박사논문
- 김근호(2010), 현대소설 작가 비평의 문학교육적 실천 모형, 한국어교육학회
- 박건명(1991), 한국현대소설에 나타난 인물유형 연구, 건국어문학
- 송하섭(1989), 한국 현대소설의 서정성 연구, 단대출판부
- 이재선(1991), 현대한국소설사, 민음사
구성은 또한 사건 전개에 논리성을 부여한다. 돌발적인 사건이나 행동은 복선을 사용하여 이를 합리화시킴으로써 리얼리티를 획득하게 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작품은 통일성을 얻게 되고, 구성은 주제를 구현하는 데 기여하게 된다. 결국 구성의 궁극적 목적은 주제의 효과적인 구현에 있다.
1. 직선적 구성
구성의 유형 중 가장 단순한 방식이다. 어느 한 사건이 일어나면 그 사건을 이어 연속적으로 다른 사건이 이어진다. \'A→B→C\' 식으로 단일 사건이 추적되고 있다. 이 형태는 이야기에 통일성을 줌으로써 사건 진행 과정이 명료하게 드러나지만 단순성을 면치 못한다. 그 예로 김동인의 \'감자\'를 들 수 있다.
2. 복합적 구성
하나의 사건이 진행되는 중에 새로운 다른 사건이 일어나 먼저 사건에 결합되어 진행되다가 또 다른 사건이 일어나면서 앞선 사건들에 연결되어 이야기가 엮어지는 형태가 되는데, 이를 복합적 구성이라 한다.
이는 삶을 총체적으로 드러내고자 하는 장편에서 많이 볼 수 있다. 여러 개의 사건이 연결되지만 그 사건들은 주제를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위해 긴밀한 연락과 질서를 유지하고 있어서 하나의 이야기로 묶여진다. 그 예로 이광수의 \'무정\'이나 채만식의 \'탁류\'를 들 수 있다.
3. 병렬식 구성
여러 사건이 각각 독립적으로 진행되면서 하나의 완결된 이야기로 되어 있는 것을 병렬식 구성이라고 하는데 이와 같은 유형은 흥미 본위의 로망(roman)적인 소설에 많이 있다.
하나의 에피소드 속에는 단계적 발전이 있지만 그 에피소드들은 전체의 이야기 속에 부분으로 포함되어 있을 뿐이다. 그러므로 이야기끼리의 긴밀한 연락과 상관성은 적은 편이다. 그 예로 박태원의 \'천변 풍경\'을 들 수 있다.
4. 액자형 구성
작가가 직접 서술, 묘사하는 것이 아니라 남의 체험이나 사건을 서술하는 형태를 말한다. 하나의 이야기 속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이야기가 포함되어 내부 이야기와 외부 이야기로 분리된다.
김동인의 \'배따라기\'를 보면 \'나\'가 대동강변에서 배따라기를 부르는 사람을 만나면서 그에 관련된 이야기를 듣게 된다는 형식을 보여 주는데, 이것이 액자형 구성의 대표적인 예라고 할 수 있다.
겉의 이야기는 보통 1인칭의 시점이 되고, 중심적인 이야기는 3인칭의 이야기로 진행되는데 독자와 작중 현실을 1인칭 서술자가 매개함으로써 실재감을 부여하는 장점이 있다.
Ⅵ. 현대소설의 전개
이 시기에 이룩되고 발표된 소설 가운데 현대소설의 시험작으로 김우진의 <공상문학>, 독립신문에 연재된 <피눈물>등의 작품이 의의를 가진다. 신소설을 현대소설로 바꾸는데 큰 역할을 했다고 평을 듣는 이광수는 재능이 있는 작가였지만, 어울리지 않게 민족의 지도자로 자처하고, 인기를 과신해 작품 창작을 함부로 했으며, 자기 자신을 스스로 높여 민족의 현재와 장래를 짊어지고 있다고 착각한 탓에 수습할 수 없는 파탄을 보였다. 김동인은 이광수의 이상주의를 반대하고 문학은 오직 미를 추구할 따름이며 미의 반대가 되는 추까지 미의 범위 안으로 끌어들여야 한다고 했다. 김소월, 홍사용, 한용운은 시인이면서 소설을 쓰기도 했다. 나도향은 일단 이룬 작품세계가 불만스러우면 주저하지 않고 방향을 바꾸어 사회변화를 집약하는 인간형에 대한 사실주의적인 진단을 하는 데 이르렀다. 현진건은 초기 소설에서 낭만주의의 환상과 비애를 보이기도 하지만 후기에 이르러 현실을 실상대로 인식하려고 애썼다. 염상섭은 탐색의 혼란을 시정을 거치는 동안 여러 방향으로 나아갈 수 있는 가능성을 공존시키면서 장편화의 경향을 초기부터 보였다. 다른 한편으로는 신문 연재 장편소설 작가로서도 꾸준히 활동했다. 대표작으로 <삼대>, <이심> 등이 있다. 주요섭은 빈곤의 문제를 작품에서 주로 다루면서 처참한 빈곤을 냉혹하게 살폈다. 그와는 달리 최서해는 같은 빈곤의 문제를 다루면서도 자연발생적인 투쟁을 보이는 데 그친다는 비판을 받았지만, 하층의 체험을 진실하게 나타낸 거의 유일한 작가라고 할 수 있다.
참고문헌
- 김우종(1998). 한국현대소설사, 성문각
- 김병욱(1992), 한국 현대소설의 시간과 공간 연구, 서강대 박사논문
- 김근호(2010), 현대소설 작가 비평의 문학교육적 실천 모형, 한국어교육학회
- 박건명(1991), 한국현대소설에 나타난 인물유형 연구, 건국어문학
- 송하섭(1989), 한국 현대소설의 서정성 연구, 단대출판부
- 이재선(1991), 현대한국소설사, 민음사
추천자료
- 영국소설에 대하여 : 영국문학사
- 이효석의 문학사적 위치 재정립- 단편소설「도시와 유령」,「오리온과 능금」,「돈(豚)」,「...
- 고전소설과 현대소설의 갈등양상을 통한 문학치료의 가능성
- 문학적 측면에서의 판타지 소설
- 오정희 소설에 나타나는 페미니즘 문학의 기호들에 대한 고찰
- [북한문학의이해]북한 역사소설 높새바람과 황진이의 공통점과 차이점 분석
- [중국문학]명대의 장편소설-서유기
- 소설 교육의 지평 확대 [문학교육의 문제점]
- 태평천하(太平天下) 교과서 분석 _ 채만식 저 (태평천하의 소설적 위치 & 디딤돌 문학, ...
- [문학의이해] 다음 소설 작품 중 한 편을 골라, 교재 123~131쪽을 참고하여 등장인물의 특징...
- 소설, 영화, 만화간의 시점비교분석(매체간이동, 화자와시점, 소설의영화제작, 각색, 대중매...
- [한국현대소설론] 개화기 문학 - 시대개관(개화기, 한국 근대소설의 기점에 관한 견해, 개화...
- [고전문학 교육론] 문학 어떻게 가르칠 것인가 -소설 교육을 중심으로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