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21일
째 가장 많이 분비
2) 월경 전 4일부터 분비량이
감소
3) 월경 2일 쯤 완전히 저하
→ 자궁내막의 착상을 준비,
임신유지를 위한 준비
2. 시상하부호르몬
: GnRH, TRH, PIH, CRH, 등
3. 뇌하수체호르몬
- 전엽 : GH, FSH, LH, ACTH
- 후엽 : ADH, oxytocin, vasopre
-ssin
내분비계
1. 태반호르몬
- 태반배출 → 호르몬 감소
- 태반락토젠 : 24시간 내 감소
- 분만 1주, 임신검사 시 음성
- Progesterone : 태반만출 후 저하 → 7일 최저
- Estrogen 감소
2. 뇌하수체 ( 난소호르몬 )
- 수유부 : 분만 후 6주까지 Prolactin 상승
- 비수유부 : 2주 이내에 회복
- 난포자극호르몬치는 비/수유부 모두 동일
3. 기타호르몬
- 산욕초기 시 성장호르몬 감소
→ 항인슐린 요소 감소
→ 공복시 혈당이 낮음
- 산욕초기 시 갑상선 기능평가가 어려움
- 분만 후 7~14일간 기초대사율 상승
< 참고문헌 >
1. 이경혜 외(2004), 여성건강간호학2, 현문사, pp. 183~193
2. 이경혜 외(2004), 여성건강간호학1, 현문사, pp. 102~135
째 가장 많이 분비
2) 월경 전 4일부터 분비량이
감소
3) 월경 2일 쯤 완전히 저하
→ 자궁내막의 착상을 준비,
임신유지를 위한 준비
2. 시상하부호르몬
: GnRH, TRH, PIH, CRH, 등
3. 뇌하수체호르몬
- 전엽 : GH, FSH, LH, ACTH
- 후엽 : ADH, oxytocin, vasopre
-ssin
내분비계
1. 태반호르몬
- 태반배출 → 호르몬 감소
- 태반락토젠 : 24시간 내 감소
- 분만 1주, 임신검사 시 음성
- Progesterone : 태반만출 후 저하 → 7일 최저
- Estrogen 감소
2. 뇌하수체 ( 난소호르몬 )
- 수유부 : 분만 후 6주까지 Prolactin 상승
- 비수유부 : 2주 이내에 회복
- 난포자극호르몬치는 비/수유부 모두 동일
3. 기타호르몬
- 산욕초기 시 성장호르몬 감소
→ 항인슐린 요소 감소
→ 공복시 혈당이 낮음
- 산욕초기 시 갑상선 기능평가가 어려움
- 분만 후 7~14일간 기초대사율 상승
< 참고문헌 >
1. 이경혜 외(2004), 여성건강간호학2, 현문사, pp. 183~193
2. 이경혜 외(2004), 여성건강간호학1, 현문사, pp. 102~135
추천자료
남성과 여성의 생식기 구조와 기능 및 월경주기 배란주기와 생리적인 관계
한국의 모성보호법에 대한 이해와 문제점 분석 및 해결방안 (출산휴가, 생리휴가, 육아휴직 ...
인간의 출생 전, 후의 호흡기계의 생리적 변화
자궁&난소& 골반의 해부 생리
자궁근종 (Uterine Myoma)병태생리
모성케이스스터디(산욕기간호)
탄수화물, 단백질, 지방의 생리적 기능이 유아 및 아동의 성장발달에 미치는 연관성을 기술
[모성간호]분만생리
영아기 영양(영아의신체성장, 영아의생리발달, 영아의각종유즙, 이유보충식, 영아영양문제, ...
★ 성인간호학 - 당뇨병 ( 당뇨병의 병태생리,당뇨병의 원인, 당뇨병의 종류, 당뇨병의 진단기...
[성인간호] 방광염 cystitis_병태생리 및 간호중재
[성인간호]중증근무력증 Myasthenia Gravis 병태생리
[성인간호] 만성 신부전 Chronic Kidney Disease 병태생리+간호중재
[간호학] 당뇨 병태생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