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고장 탐구(내고장 탐구)와 문화재(장도장), 문화재(강정일당 묘역), 문화재(옹징군 대청면), 문화재(광양 궁시장), 우리고장 탐구(내고장 탐구)와 문화예술(장산 들노래), 문화예술(건축물), 문화지역(영흥도)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우리고장 탐구(내고장 탐구)와 문화재(장도장), 문화재(강정일당 묘역), 문화재(옹징군 대청면), 문화재(광양 궁시장), 우리고장 탐구(내고장 탐구)와 문화예술(장산 들노래), 문화예술(건축물), 문화지역(영흥도) 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우리고장 탐구(내고장 탐구)와 문화재(장도장)
1. 지정 번호
2. 기능 보유자
3. 위치
4. 장도장
5. 장도의 제작 과정
6. 장도의 사용법

Ⅱ. 우리고장 탐구(내고장 탐구)와 문화재(강정일당 묘역)
1. 개방
2. 문의처
3. 규모
1) 높이
2) 둘레
3) 보호구역
4. 소유자

Ⅲ. 우리고장 탐구(내고장 탐구)와 문화재(옹징군 대청면)
1. 지정번호
2. 지정연도
3. 소재지
4. 크기
5. 종류

Ⅳ. 우리고장 탐구(내고장 탐구)와 문화재(광양 궁시장)
1. 개요
1) 문화재 이름
2) 기능 보유자
2. 광양 궁시장
1) 궁시와 김기선생의 외길을 바르게 이해하도록 함
2) 궁시의 특징을 체득
3) 궁시 만드는 공정을 바르게 지도
4) 궁시장 체험 학습

Ⅴ. 우리고장 탐구(내고장 탐구)와 문화예술(장산 들노래)
1. 장산 들노래가락 채보하기
2. 풍물놀이 장단
3. 문화유산으로서의 장산 들노래

Ⅵ. 우리고장 탐구(내고장 탐구)와 문화예술(건축물)
1. 궁궐
2. 사찰
3. 향교와 서원
4. 주택

Ⅶ. 우리고장 탐구(내고장 탐구)와 문화지역(영흥도)

참고문헌

본문내용

장도의 제작 과정
6. 장도의 사용법
Ⅱ. 우리고장 탐구(내고장 탐구)와 문화재(강정일당 묘역)
1. 개방
2. 문의처
3. 규모
1) 높이
2) 둘레
3) 보호구역
4. 소유자
Ⅲ. 우리고장 탐구(내고장 탐구)와 문화재(옹징군 대청면)
1. 지정번호
2. 지정연도
3. 소재지
4. 크기
5. 종류
Ⅳ. 우리고장 탐구(내고장 탐구)와 문화재(광양 궁시장)
1. 개요
1) 문화재 이름
2) 기능 보유자
2. 광양 궁시장
1) 궁시와 김기선생의 외길을 바르게 이해하도록 함
2) 궁시의 특징을 체득
3) 궁시 만드는 공정을 바르게 지도
4) 궁시장 체험 학습
Ⅴ. 우리고장 탐구(내고장 탐구)와 문화예술(장산 들노래)
1. 장산 들노래가락 채보하기
2. 풍물놀이 장단
3. 문화유산으로서의 장산 들노래
Ⅵ. 우리고장 탐구(내고장 탐구)와 문화예술(건축물)
1. 궁궐
2. 사찰
3. 향교와 서원
4. 주택
Ⅶ. 우리고장 탐구(내고장 탐구)와 문화지역(영흥도)
참고문헌
Ⅰ. 우리고장 탐구(내고장 탐구)와 문화재(장도장)
1. 지정 번호
중요무형문화재 제 60호
2. 기능 보유자
박용기(1931년 6월 19일생)
3. 위치
광양시 광양읍 구산리 385
4. 장도장
패도는 사대부와 부녀자들이 호신용으로 패용했던 길이 10~20cm 가량의 작은 칼을 말한다. 선비들은 지신의 충절을 이 패도로 지켰고, 부녀자들은 유사시에 자신의 정절을 지키려는 상징으로 해왔는데 후대에 와서는 하나의 장식용으로도 활용되었기 때문에 장도(粧刀)라고 불리어지게 된 것이다.
광양이 패도의 본고장이 된 것은 고려 초부터 전란이 사화를 피해 이곳에 피신해온 선비들이 자신의 충절을 표시하기 위해 이를 손수 만들어 패용했고 자손들에게 그 기술을 익히게 했기 때문이다. 그래서 부녀자들은 어지러운 전란이나 난세를 당했을 때 자신의 정절을 지키기 위해서 가슴속 깊이 간직한 패도로 자결한 예가「동국신속삼강행실」등에서 볼 수가 있다.
패도 제작은 도제들에 의해 전승되어 오다가 근세 조선 말엽에 광양읍 칠성리에 살던 장익성 씨가 계승하였고 현재는 박용기씨(중요 무형문화재 제 60호) 부자에 의해 계승되고 있다.
5. 장도의 제작 과정
총 23단계의 공정을 거쳐 만들어지는 패도는 칼날과 칼집, 칼 손잡이로 연결되는 끝에 꽃무늬 장식을 하고 있으며 칼날은 주로 강철을, 칼자루나 칼집은 먹감나무, 대추나무, 매나무, 서각, 상아 등을 사용한다.
6. 장도의 사용법
1) 먼저 장도의 매듭을 들었을 때 쳐진 쪽이 칼집이고 위가 칼자루가 된다. 칼을 뽑을 때는 칼자루를 쥐고 엄지손가락으로 고리 부분을 천천히 밀어낸다.
2) 칼을 칼집에 다시 넣을 때는 칼등이 고리 쪽으로 향하도록 하고 자연스럽게 밀어 넣는다.
3) 칼을 사용하고 나면 반드시 부드러운 헝겊으로 고루 잘 닦은 다음 칼집에 넣는다.
Ⅱ. 우리고장 탐구(내고장 탐구)와 문화재(강정일당 묘역)
강정일당(1772-1832)은 조선 후기 여류문인이자 서화가이다. 호는 정일당이며 강희맹의 후손으로 제천에서 태어났다. 어려서부터 남달리 총명하였고 효성 또한 지극하였다 정일당은 20세에 출가한 뒤 집이 가난하여 삯바느질로 생계를 유지하면서 남편을 도와 함께 공부하였다.
경서에 두루 통하였으며 시문에 뛰어나 당시에 명성이 높았다.
강정일당은 전국 향토문화연구 발표대회에서 새로운 여인상으로 밝혀졌으며 성남시에서는 ‘강정일고부상’제도를 마련하여 그 뜻을 기리고 있다. 저서로는 <정일당 유고>와 시문집 1권 등이 있는데 대부분 수양이나 도학적 내용을 담고 있다.
강정일당의 묘소는 향토문화재 제1호로 지정되었으며, 수정구 금토동 청계산 중턱에 위치하고 있다.
1. 개방
연중 개방, 무료, 사당 및 묘역 정비로 답사 여건이 많이 나아졌음
2. 문의처
성남시청 문화체육담당관실(031-729-3210-5)
3. 규모
1) 높이
1.5m
2) 둘레
15.5m
3) 보호구역
500㎡
4. 소유자
파평윤씨, 28세, 단제공파종회
Ⅲ. 우리고장 탐구(내고장 탐구)와 문화재(옹징군 대청면)
1. 지정번호
천연기념물 제66호
2. 지정연도
1962년
3. 소재지
인천광역시 옹진군 대청면
4. 크기
면적 약 0.25㎢
5. 종류
차나무과 상록교목
면적 약 0.25㎢이다. 대청도 북쪽에서 서쪽으로 경사진 곳에 있는데, 관리가 소홀하여 원상이 파괴되었으며 어린 나무가 몇 그루 있을 뿐이다. 동백나무는 대체로 차나무를 재배할 수 있는 지역까지 자랄 수 있는 온대성 상록활엽수로 전 세계의 식물구계를 설정할 때, 이것을 표지종으로 삼는다. 또한 동백나무는 동박새가 화분을 매개하여 종자가 생기는 조매화의 일종인데, 동박새는 명금류에 속한 조그마한 새로 과거에는 애완조로 많이 길러 왔으나 요즈음에는 거의 기르지 않아 동백나무 숲의 감소와 더불어 동박새도 그 수가 줄어가고 있는 실정이다. 정원의 관상수로도 널리 심는다.
Ⅳ. 우리고장 탐구(내고장 탐구)와 문화재(광양 궁시장)
1. 개요
1) 문화재 이름
광양궁시(화살)
2) 기능 보유자
김기 선생(광양읍 읍내리), 지방 문화재 제 12호
2. 광양 궁시장
1) 궁시와 김기선생의 외길을 바르게 이해하도록 함
o 김기선생은 50년을 외길 보기로 화살과의 인연을 맺은 장인이다.
o 14세 때에 당시 궁시장으로 명성을 날리던 박상준 선생을 만나 화살 제작에 흥미를 갖게 되었다.
o 한 때 절망에 빠져 있을 때 심대(해양죽)를 구하려 여수로 내려온 조명제 궁시장이 그에게 구원이 되었다.
o 선생은 74년부터 제작 활동에 인정을 받게 되었다.
o 이후 여러 분야에서 수많은 상을 받았으며 전통공예 보전 노력을 인정받아 86년에 무형 문화재 지정을 받았다.
2) 궁시의 특징을 체득
o 궁시는 정교하고 섬세하며 강인하다.
o 궁시의 종류는 다양하다.
o 주로 시누대가 쓰이나 그 종류는 다양하다.
o 외적의 침입 시 방어용으로도 쓰인다.
o 궁사들의 정신건강을 위한 스포츠 자료로 많이 활용되고 있다.
3) 궁시 만드는 공정을 바르게 지도
o 소금물에 쪄서 음지에 말린다.
o 중량에 따라 분류한다.
o 굽은 곳을 바로 잡고 마디를 다듬는다.
o 싸리나무를 잘라 시위걸이에 맞게 파낸다.
o
  • 가격6,5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13.07.29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6687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