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표준어와 표준발음
1. 표준어와 방언
2. 표준 발음
* 한글 맞춤법
◈ 한글 맞춤법 원리
1. 표준어와 방언
2. 표준 발음
* 한글 맞춤법
◈ 한글 맞춤법 원리
본문내용
역 문화의 통합 기능 등이 있으므로 상대방과 일체감, 소속감과 친근감을 느끼고 싶을 경우에 사용한다.
참고)표준어의 기능
①통일의 기능-표준어는 원활한 의사 소통을 통하여 국민을 하나로 뭉치게 해 주는 한편, 일체감을 느끼게 해 주는 구실을 한다. 그런데 이것은 서로 다른 말을 사용하는 사람들끼리는 거리감을 느끼게 한다는 의미도 되므로 분리의 기능이라고도 할 수 있다. 결국 표준어는 사투리를 쓰는 데서 오는 분리 현상을 막아주면서 하나로 묶어주는 통일의 기능을 한다고 할 수 있다.
②우월의 기능-표준어를 쓰는 사람은 사투리를 사용하는 사람보다 더 배운 사람, 사회적으로 더 우위에 있는 사람임을 드러낸다.
③준거의 기능-표준어는 언어 규범이다. 표준어를 정하여 놓은 대로 사용한다는 것은 결국 규범을 바르게 따르도록 준법 정신을 기르는 일도 된다. 규범을 바르게 따르도록 하는 태도를 길러 주는 구실, 이것이 바로 준거의 기능이다.
2.
ㄱ. 글씨가 완전히 {개발새발( ), 괴발개발(ㅇ), 개발쇠발( )}이구나.
괴발개발→고양이의 발과 개의 발이라는 뜻.
글씨를 함부로 이리저리 갈겨 써 놓은 모양.
ㄴ. 잔치를 {벌렸다( ), 벌였다(ㅇ)}.
벌리다→ ‘둘 사이의 간격을 넓히거나 멀리하다.’
1.두 사이를 떼어서 넓히다. 예)팔을 벌리다. 2.우므러진 것을 펴서 열다.
예)한참 만에 입을 벌렸다. 3.열어서 속의 것을 드러내다. 예)조개껍데기를 벌리다.
벌이다→ 1.일을 베풀어 놓다. 예)잔치를 벌이다. 2.여러 개의 물건을 죽 늘어놓다.
예)상품을 벌여 놓다. 3.(영업을 목적으로) 시설을 차리다. 예)가게를 벌이다.
ㄷ. 대문을 꼭 {잠궜다( ), 잠갔다(ㅇ)}.
잠그다가 기본형→잠가, 잠갔다로 활용
ㄹ. 솔잎으로 술을 {담았다( ), 담갔다(ㅇ), 담궜다( )}.
담그다가 기본형→담가, 담갔다로 활용함.
ㅁ. 훌륭한 교사가 되는 것이 나의 {바램( ), 바람(ㅇ)}이다.
바램→(빛이)바래다의 명사형
바람→바라다(願 )의 명사형
ㅂ. 오는 길에 가게에 {들러(ㅇ),들려( )}과자 좀 사와라.
들러→들르다가 기본형, 들르다→(지나는 길에) 잠깐 거치다.
ㅅ. 부모님 환갑 잔치를 {치렀다(ㅇ), 치뤘다( )}.
치르다가 기본형→치러, 치렀다로 활용함.
ㅇ. 이 자리를 {빌어( ), 빌려(ㅇ)} 감사의 말씀을 드립니다.
빌리다→ 1. (나중에 돌려주기로 하고) 남의 물건을 얻어다가 쓰다. 빌려 오다.
예)빌린 연필을 잃어버렸다.
2. (나중에 도로 받기로 하고) 남에게 물건을 내주어 쓰게 하다. 빌려 주 다. 예)빌린 책을 도로 받다.
3. 남의 도움을 입다. 예)친구의 힘을 빌리다.
4. 어떤 형식이나 사실을 끌어다 쓰다. 예)일기 형식을 빌린 자전적 소설.
5. 어떤 일을 하기 위해 기회를 얻다. 예)이 자리를 빌려 다시 한 번 감 사의 말씀을 드립니다.
ㅈ. 날씨가 {좋을는지(ㅇ), 좋을른지( ), 좋을는지( )} 모르겠다.
-ㄹ는지의 잘못→-ㄹ런지, -ㄹ른지
ㅊ. 아침 {햇볕( ), 햇빛(ㅇ)}이 눈부시다.
햇볕→해에서 내리쬐는 뜨거운 기운. 예)햇빛은 밝고, 햇볕은 따뜻하다.
햇빛→해의 빛. 일광(日光). 예)햇빛은 생명의 근원이다.
ㅋ. 그 사람은 {괴팍하다(ㅇ), 괴퍅하다( )}.
참고)강퍅하다→성미가 깔깔하고 고집이 세다의 뜻.
ㅌ. 그는 아직 {한창(ㅇ), 한참( ) } 일할 나이이다.
한창→1.가장 성한 때. 예)고향에는 지금 수박이 한창이다. 2. 어떤 일이 가장 왕성하게 일어나는 모양. 또는 어떤 상태가 가장 무르익은 상태. 예)초여름은 농촌에서 한창 바쁜 철 이다.
한참→ 1.지난날, 두 역참(驛站) 사이의 거리를 이르던 말. 2.시간이 꽤 지나는 동 안의 한차례. 예)한참 만에 그는 입을 열었다.
3. 다음 문제에서 자신에게 해당되는 진술에 표시를 하고 자신이 표준 발음법에 맞는 국어 생활을 하고 있는지 점검하여 보자.
ㄱ. 평소에 깨끗이 씻어라를 [깨끄치 씨서라]로 발음한다. (×)→[깨끄시 씨서라]
ㄴ.신문을 [심문]으로 발음하는 것이 더 자연스럽다. (×)→[신문]
ㄷ.(책을)읽지는 [일찌]로, (책을)읽고는 [익꼬]로 발음하는 게 자연스럽다 (×)→[익찌], [일꼬]
ㄺ→어말 또는 자음 앞에서 [ㄱ]으로 발음, 예외) ㄱ앞에서 [ㄹ]로 발음
ㄹ.(땅을)밟다를 [발따]로 발음하고 있다.(×)→[밥따]
ㄼ→어말 또는 자음 앞에서 [ㄹ]로 발음,
예외)밟-은 자음 앞에서 [밥]으로 발음 ]
ㅁ.(힘이)약해를 [야개]로 발음하고 있다. (×)→[야캐]
ㅂ.아기를 말할 때 [아기]라고 발음하기보다 [애기]라고 더 자주 발음한다. (×)→[아기]
ㅅ.솔잎을 [소립]으로 발음한다. (×)→[솔립]
ㅇ. 하늘에서 내리는 눈[雪]과 사물을 바라보는 눈[眼]을 구별하여 발음한다.(ㅇ)→눈ː[雪], 눈[眼]
ㅈ. (땅이)넓다를 [널따]로 발음하고 있다.(ㅇ)→ㄼ→어말 또는 자음 앞에서 [ㄹ]로 발음.
ㅊ. 항상 밝다를 [박따]라고 발음한다.(ㅇ)→ㄺ→어말 또는 자음 앞에서 [ㄱ]으로 발음.
8.국어의 규범 <문제풀이>
1. 다음은 어느 주택가 전봇대에 붙어있던 광고문이다. 다음글을 읽고 표준어에 맞게 고쳐쓰고 맞춤법 필요성에 대해 논하시오.
안녕하세요 우리집은 삭월세 12만원 이구요. 싱크대 가스렌지는 무료로 대여해 드립니다. 으례적인 질문이 들어오는데 물론 화장실 청소는 돌아 가면서 106호 사용자가 하는 것입니다.
사월세 -> 사글세 으례 -> 으레 이구요 -> 이고요
일상생활 언어 생활에도 그 영향이 파급되고 아직 올바른 어문 규범을 접하거나 학습하지 않은 청소년에게 규범자체를 잘못이해하는 계기가 될수 있음으로 바른 맞춤법 사용이 필요하다
2. 다음 문장에서 국어 규범에 어긋난 것은 몇 개인가?
해 저물녁이면 설레이는 이 마음은 으레 고향 하늘을 날으고 있다.
① 한 개 ② 두 개 ③ 세 개 ④ 네 개 (답:③)
해설 : 저물녁이면 → 저물녘이면, 설레이는 → 설레는, 날으고 → 날고
3. <보기>에 제시된 자료를 참고하여 우리말 받침의 발음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99년 기출)
<보기>
㈎ 닦다〔닥따〕 키읔〔키윽〕 옷〔
참고)표준어의 기능
①통일의 기능-표준어는 원활한 의사 소통을 통하여 국민을 하나로 뭉치게 해 주는 한편, 일체감을 느끼게 해 주는 구실을 한다. 그런데 이것은 서로 다른 말을 사용하는 사람들끼리는 거리감을 느끼게 한다는 의미도 되므로 분리의 기능이라고도 할 수 있다. 결국 표준어는 사투리를 쓰는 데서 오는 분리 현상을 막아주면서 하나로 묶어주는 통일의 기능을 한다고 할 수 있다.
②우월의 기능-표준어를 쓰는 사람은 사투리를 사용하는 사람보다 더 배운 사람, 사회적으로 더 우위에 있는 사람임을 드러낸다.
③준거의 기능-표준어는 언어 규범이다. 표준어를 정하여 놓은 대로 사용한다는 것은 결국 규범을 바르게 따르도록 준법 정신을 기르는 일도 된다. 규범을 바르게 따르도록 하는 태도를 길러 주는 구실, 이것이 바로 준거의 기능이다.
2.
ㄱ. 글씨가 완전히 {개발새발( ), 괴발개발(ㅇ), 개발쇠발( )}이구나.
괴발개발→고양이의 발과 개의 발이라는 뜻.
글씨를 함부로 이리저리 갈겨 써 놓은 모양.
ㄴ. 잔치를 {벌렸다( ), 벌였다(ㅇ)}.
벌리다→ ‘둘 사이의 간격을 넓히거나 멀리하다.’
1.두 사이를 떼어서 넓히다. 예)팔을 벌리다. 2.우므러진 것을 펴서 열다.
예)한참 만에 입을 벌렸다. 3.열어서 속의 것을 드러내다. 예)조개껍데기를 벌리다.
벌이다→ 1.일을 베풀어 놓다. 예)잔치를 벌이다. 2.여러 개의 물건을 죽 늘어놓다.
예)상품을 벌여 놓다. 3.(영업을 목적으로) 시설을 차리다. 예)가게를 벌이다.
ㄷ. 대문을 꼭 {잠궜다( ), 잠갔다(ㅇ)}.
잠그다가 기본형→잠가, 잠갔다로 활용
ㄹ. 솔잎으로 술을 {담았다( ), 담갔다(ㅇ), 담궜다( )}.
담그다가 기본형→담가, 담갔다로 활용함.
ㅁ. 훌륭한 교사가 되는 것이 나의 {바램( ), 바람(ㅇ)}이다.
바램→(빛이)바래다의 명사형
바람→바라다(願 )의 명사형
ㅂ. 오는 길에 가게에 {들러(ㅇ),들려( )}과자 좀 사와라.
들러→들르다가 기본형, 들르다→(지나는 길에) 잠깐 거치다.
ㅅ. 부모님 환갑 잔치를 {치렀다(ㅇ), 치뤘다( )}.
치르다가 기본형→치러, 치렀다로 활용함.
ㅇ. 이 자리를 {빌어( ), 빌려(ㅇ)} 감사의 말씀을 드립니다.
빌리다→ 1. (나중에 돌려주기로 하고) 남의 물건을 얻어다가 쓰다. 빌려 오다.
예)빌린 연필을 잃어버렸다.
2. (나중에 도로 받기로 하고) 남에게 물건을 내주어 쓰게 하다. 빌려 주 다. 예)빌린 책을 도로 받다.
3. 남의 도움을 입다. 예)친구의 힘을 빌리다.
4. 어떤 형식이나 사실을 끌어다 쓰다. 예)일기 형식을 빌린 자전적 소설.
5. 어떤 일을 하기 위해 기회를 얻다. 예)이 자리를 빌려 다시 한 번 감 사의 말씀을 드립니다.
ㅈ. 날씨가 {좋을는지(ㅇ), 좋을른지( ), 좋을는지( )} 모르겠다.
-ㄹ는지의 잘못→-ㄹ런지, -ㄹ른지
ㅊ. 아침 {햇볕( ), 햇빛(ㅇ)}이 눈부시다.
햇볕→해에서 내리쬐는 뜨거운 기운. 예)햇빛은 밝고, 햇볕은 따뜻하다.
햇빛→해의 빛. 일광(日光). 예)햇빛은 생명의 근원이다.
ㅋ. 그 사람은 {괴팍하다(ㅇ), 괴퍅하다( )}.
참고)강퍅하다→성미가 깔깔하고 고집이 세다의 뜻.
ㅌ. 그는 아직 {한창(ㅇ), 한참( ) } 일할 나이이다.
한창→1.가장 성한 때. 예)고향에는 지금 수박이 한창이다. 2. 어떤 일이 가장 왕성하게 일어나는 모양. 또는 어떤 상태가 가장 무르익은 상태. 예)초여름은 농촌에서 한창 바쁜 철 이다.
한참→ 1.지난날, 두 역참(驛站) 사이의 거리를 이르던 말. 2.시간이 꽤 지나는 동 안의 한차례. 예)한참 만에 그는 입을 열었다.
3. 다음 문제에서 자신에게 해당되는 진술에 표시를 하고 자신이 표준 발음법에 맞는 국어 생활을 하고 있는지 점검하여 보자.
ㄱ. 평소에 깨끗이 씻어라를 [깨끄치 씨서라]로 발음한다. (×)→[깨끄시 씨서라]
ㄴ.신문을 [심문]으로 발음하는 것이 더 자연스럽다. (×)→[신문]
ㄷ.(책을)읽지는 [일찌]로, (책을)읽고는 [익꼬]로 발음하는 게 자연스럽다 (×)→[익찌], [일꼬]
ㄺ→어말 또는 자음 앞에서 [ㄱ]으로 발음, 예외) ㄱ앞에서 [ㄹ]로 발음
ㄹ.(땅을)밟다를 [발따]로 발음하고 있다.(×)→[밥따]
ㄼ→어말 또는 자음 앞에서 [ㄹ]로 발음,
예외)밟-은 자음 앞에서 [밥]으로 발음 ]
ㅁ.(힘이)약해를 [야개]로 발음하고 있다. (×)→[야캐]
ㅂ.아기를 말할 때 [아기]라고 발음하기보다 [애기]라고 더 자주 발음한다. (×)→[아기]
ㅅ.솔잎을 [소립]으로 발음한다. (×)→[솔립]
ㅇ. 하늘에서 내리는 눈[雪]과 사물을 바라보는 눈[眼]을 구별하여 발음한다.(ㅇ)→눈ː[雪], 눈[眼]
ㅈ. (땅이)넓다를 [널따]로 발음하고 있다.(ㅇ)→ㄼ→어말 또는 자음 앞에서 [ㄹ]로 발음.
ㅊ. 항상 밝다를 [박따]라고 발음한다.(ㅇ)→ㄺ→어말 또는 자음 앞에서 [ㄱ]으로 발음.
8.국어의 규범 <문제풀이>
1. 다음은 어느 주택가 전봇대에 붙어있던 광고문이다. 다음글을 읽고 표준어에 맞게 고쳐쓰고 맞춤법 필요성에 대해 논하시오.
안녕하세요 우리집은 삭월세 12만원 이구요. 싱크대 가스렌지는 무료로 대여해 드립니다. 으례적인 질문이 들어오는데 물론 화장실 청소는 돌아 가면서 106호 사용자가 하는 것입니다.
사월세 -> 사글세 으례 -> 으레 이구요 -> 이고요
일상생활 언어 생활에도 그 영향이 파급되고 아직 올바른 어문 규범을 접하거나 학습하지 않은 청소년에게 규범자체를 잘못이해하는 계기가 될수 있음으로 바른 맞춤법 사용이 필요하다
2. 다음 문장에서 국어 규범에 어긋난 것은 몇 개인가?
해 저물녁이면 설레이는 이 마음은 으레 고향 하늘을 날으고 있다.
① 한 개 ② 두 개 ③ 세 개 ④ 네 개 (답:③)
해설 : 저물녁이면 → 저물녘이면, 설레이는 → 설레는, 날으고 → 날고
3. <보기>에 제시된 자료를 참고하여 우리말 받침의 발음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99년 기출)
<보기>
㈎ 닦다〔닥따〕 키읔〔키윽〕 옷〔
추천자료
발음지도의 실제적 방안
초등학교 교육과정의 발음지도 내용과 음성학적이론 및 지도방안
현대국어정서법
국어 정서법 이야기
표준발음법과 오용사례, 실태, 표준발음법규정, 해결방안
120,미국의 도시계획,미국도시계획,근대도시계획,현대도시계획,격자형도시,지역제,유클리드 ...
원가관리 개념, 요소, 구성, 원가계산의 원칙, 재료비의 계산, 표준원가 계산, 감가상각, 기...
보육과정 접근법에서 성숙주의, 행동주의 보육과정접근법을 논하고, 표준 보육 과정에서 밝히...
프로젝트 접근법을 기초로 (사랑, 용기, 약속, 느낌)중 하나의 주제를 선정하여 예비주제망을...
[국어학] 국어 음운론으로 알아보는 표준발음법
문헌유형정의부(DTD)의 표준값, 편집, 문헌유형정의부(DTD)와 기술적범용마크업언어(SGML), ...
[실험보고서] 기전력측정에 의한 용해도적 결정 (EMF measurement of Ksp) : 표준 전극전위와...
[비만측정법] 비만의 판정(비만판정법) - 표준체중법, 신체질량지수, 피하지방두께측정법
[성격검사] 성격평가방법 - 자기보고식 평가법(MMPI 다요인 인성검사 MBTI) 투사적 검사(로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