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벤처기업가치평가의 필요성
Ⅲ. 벤처기업가치평가의 체계
Ⅳ. 벤처기업가치평가의 방법론
Ⅴ. 벤처기업가치평가의 DCF와 ROV평가모형(현금흐름할인법과 실물옵션가치평가모형)
1. DCF를 이용한 기업가치 평가모형
2. ROV에 의한 기업가치 평가모형
Ⅵ. 벤처기업가치평가의 과대평가
1. 벤처기업 전체를 하나의 경제적 실체로 간주한 경우
2. 개별 벤처기업을 평가하여 평균치를 분석한 경우
3. 예상도산 확률 추정치
Ⅶ. 결론
참고문헌
Ⅱ. 벤처기업가치평가의 필요성
Ⅲ. 벤처기업가치평가의 체계
Ⅳ. 벤처기업가치평가의 방법론
Ⅴ. 벤처기업가치평가의 DCF와 ROV평가모형(현금흐름할인법과 실물옵션가치평가모형)
1. DCF를 이용한 기업가치 평가모형
2. ROV에 의한 기업가치 평가모형
Ⅵ. 벤처기업가치평가의 과대평가
1. 벤처기업 전체를 하나의 경제적 실체로 간주한 경우
2. 개별 벤처기업을 평가하여 평균치를 분석한 경우
3. 예상도산 확률 추정치
Ⅶ.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영진, 기술력 및 기술의 시장성 등 기업이 보유하는 무형자산의 질적 수준에 의해 크게 좌우된다. 그러나 기존의 평가체계 및 기업가치 평가방법은 유형자산 및 과거실적에 비해 무형자산에 관한 요인들을 다소 소극적으로 반영해 왔다.
둘째, 벤처산업은 미래 추정에 사용할 수 있는 과거자료가 부족하고 시장의 변동성이 크기 때문에 향후 시장상황의 불확실성이 매우 크다. 그런데 기존의 평가방법론은 미래환경의 불확실성에 따른 경영자 의사결정의 유연성을 적절하게 반영하지 못하며, 따라서 보다 정확하고 포괄적인 의미에서의 기업가치를 산정하는 것이 어렵다.
Ⅴ. 벤처기업가치평가의 DCF와 ROV평가모형(현금흐름할인법과 실물옵션가치평가모형)
1. DCF를 이용한 기업가치 평가모형
DCF는 미래의 일정한 기간 중 발생하는 현금흐름을 예측하고 이를 적절한 할인율로 할인하여 잔존가치와 합한 값을 기업의 가치로 평가한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향후 20년 간의 기업의 영업이익을 예측하였으며, 그 후 잔존가치로(CFt*(1+g))/(r-g)t 계산하여 더하였다. 기업의 수익(R)은 다음 식으로 예측하였다.
(1)
여기서 는 성장률의 영향을 받는데, 를 t기간 벤처기업의 기대성장률이라 할 때, 장기적 관점에서 평균 로 수렴하는(mean-reverting process)것으로 가정한다. 는 같은 산업 내에 존재하는 성숙한 기업이 가지는 안정적인 성장률로 가정한다. 즉, 벤처기업의 높은 초기성장률은 그 기업에 속해있는 산업의 좀 더 안정적이고 지속가능한 성장률로 수렴하는 것으로 가정되며, 이를 수식으로 표시하면 다음과 같다.
(2) : 성장률의 수렴속도
위 식을 이산적 시간(discrete time)에 대한 형태로 바꾸면 다음과 같이 된다.
(3)
(4)
2. ROV에 의한 기업가치 평가모형
본 연구에서 벤처기업 가치를 평가하는 모형은 다음과 같다. 실물옵션 모형을 이용하여 옵션가치를 계산한다. 여기에 잔존가치(terminal value)를 현금흐름 할인법을 이용하여 산출하고 이를 합하여 다음 식에 의해 산출한다.
벤처기업가치 = +
벤처기업옵션가치 =
단, 임
Terminal value =
단, = 할인율(자본비용)
= 성장률
Ⅵ. 벤처기업가치평가의 과대평가
1. 벤처기업 전체를 하나의 경제적 실체로 간주한 경우
분석대상인 현재 벤처기업으로 분류된 124개 기업의 시가총액은 약 27조원으로 코스닥시장 전체 시가총액의 약 25%를 차지하고 있다. 시가총액과 장부가 부채총액의 합으로 표현되는 한국 벤처기업의 기업가치는 총 29조원에 달한다. 이 29조원이 실물자산의 부가가치 창출력(present value of cashflows from assets-in-place)와 성장옵션가치(present value of growth option)로 어떻게 분해되는지 분석해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 벤처기업의 성장옵션 가치는 어느 정도인가가 궁금하다.
전체적으로 보면, 124개 한국 벤처기업의 성장옵션 가치는 약 13조원에 달하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영업이익을 기대수익률로 할인하여 실물투자의 부가가치창출력을 가치로 환산한 실물자산가치가 1.5조원에 불과한 것과 비교하면, 그 크기가 막대함을 이해할 수 있다.
한국 벤처기업의 실물자산가치 대비 평균 성장옵션 배수는 약 8배에 달한 반면, 미국 하이테크 기업의 성장옵션 배수는 2.2배로 나타났다. 한국 벤처의 성장옵션 배수가 미국에 비해 4배 가량 큰 것으로 나타났다. 즉 한국경제 상황이 전반적으로 호황, 성장기인 점 및 벤처기업의 성장 가능성에 대한 기대 등의 이유 때문에 한국기업의 성장옵션에 대한 가치부여가 미국기업과 비교해 훨씬 큰 것으로 분석된다.
미국 시장의 옵션 파라미터를 한국 시장의 파라미터와 동일하다고 가정해서 성장옵션가치의 크기를 추정해 보면, 미국 하이테크 기업의 성장옵션 배수가 7.2배로 커지는 것으로 나타나, 이 경우 한국 벤처의 성장옵션 배수 8배수와 거의 유사한 경향을 보인다.
둘째, 한국 벤처기업의 과대평가 여부를 평가해 보면, 과대평가액이 13조원에 달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벤처기업의 시가총액 약 27조원에서 차지하는 버블 비중이 49%에 해당 되는 금액이다.
미국 하이테크 기업들의 경우, 현재 시가총액 3.8조 달러와 비교해, 과대평가액 규모가 2.7조 달러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나, 버블 비중이 70%를 상회하고 있다. 미국기업이 처한 경제환경이나 기업가치의 성장성, 변동성 등을 한국기업과 동일하게 바꾸어 버
둘째, 벤처산업은 미래 추정에 사용할 수 있는 과거자료가 부족하고 시장의 변동성이 크기 때문에 향후 시장상황의 불확실성이 매우 크다. 그런데 기존의 평가방법론은 미래환경의 불확실성에 따른 경영자 의사결정의 유연성을 적절하게 반영하지 못하며, 따라서 보다 정확하고 포괄적인 의미에서의 기업가치를 산정하는 것이 어렵다.
Ⅴ. 벤처기업가치평가의 DCF와 ROV평가모형(현금흐름할인법과 실물옵션가치평가모형)
1. DCF를 이용한 기업가치 평가모형
DCF는 미래의 일정한 기간 중 발생하는 현금흐름을 예측하고 이를 적절한 할인율로 할인하여 잔존가치와 합한 값을 기업의 가치로 평가한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향후 20년 간의 기업의 영업이익을 예측하였으며, 그 후 잔존가치로(CFt*(1+g))/(r-g)t 계산하여 더하였다. 기업의 수익(R)은 다음 식으로 예측하였다.
(1)
여기서 는 성장률의 영향을 받는데, 를 t기간 벤처기업의 기대성장률이라 할 때, 장기적 관점에서 평균 로 수렴하는(mean-reverting process)것으로 가정한다. 는 같은 산업 내에 존재하는 성숙한 기업이 가지는 안정적인 성장률로 가정한다. 즉, 벤처기업의 높은 초기성장률은 그 기업에 속해있는 산업의 좀 더 안정적이고 지속가능한 성장률로 수렴하는 것으로 가정되며, 이를 수식으로 표시하면 다음과 같다.
(2) : 성장률의 수렴속도
위 식을 이산적 시간(discrete time)에 대한 형태로 바꾸면 다음과 같이 된다.
(3)
(4)
2. ROV에 의한 기업가치 평가모형
본 연구에서 벤처기업 가치를 평가하는 모형은 다음과 같다. 실물옵션 모형을 이용하여 옵션가치를 계산한다. 여기에 잔존가치(terminal value)를 현금흐름 할인법을 이용하여 산출하고 이를 합하여 다음 식에 의해 산출한다.
벤처기업가치 = +
벤처기업옵션가치 =
단, 임
Terminal value =
단, = 할인율(자본비용)
= 성장률
Ⅵ. 벤처기업가치평가의 과대평가
1. 벤처기업 전체를 하나의 경제적 실체로 간주한 경우
분석대상인 현재 벤처기업으로 분류된 124개 기업의 시가총액은 약 27조원으로 코스닥시장 전체 시가총액의 약 25%를 차지하고 있다. 시가총액과 장부가 부채총액의 합으로 표현되는 한국 벤처기업의 기업가치는 총 29조원에 달한다. 이 29조원이 실물자산의 부가가치 창출력(present value of cashflows from assets-in-place)와 성장옵션가치(present value of growth option)로 어떻게 분해되는지 분석해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 벤처기업의 성장옵션 가치는 어느 정도인가가 궁금하다.
전체적으로 보면, 124개 한국 벤처기업의 성장옵션 가치는 약 13조원에 달하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영업이익을 기대수익률로 할인하여 실물투자의 부가가치창출력을 가치로 환산한 실물자산가치가 1.5조원에 불과한 것과 비교하면, 그 크기가 막대함을 이해할 수 있다.
한국 벤처기업의 실물자산가치 대비 평균 성장옵션 배수는 약 8배에 달한 반면, 미국 하이테크 기업의 성장옵션 배수는 2.2배로 나타났다. 한국 벤처의 성장옵션 배수가 미국에 비해 4배 가량 큰 것으로 나타났다. 즉 한국경제 상황이 전반적으로 호황, 성장기인 점 및 벤처기업의 성장 가능성에 대한 기대 등의 이유 때문에 한국기업의 성장옵션에 대한 가치부여가 미국기업과 비교해 훨씬 큰 것으로 분석된다.
미국 시장의 옵션 파라미터를 한국 시장의 파라미터와 동일하다고 가정해서 성장옵션가치의 크기를 추정해 보면, 미국 하이테크 기업의 성장옵션 배수가 7.2배로 커지는 것으로 나타나, 이 경우 한국 벤처의 성장옵션 배수 8배수와 거의 유사한 경향을 보인다.
둘째, 한국 벤처기업의 과대평가 여부를 평가해 보면, 과대평가액이 13조원에 달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벤처기업의 시가총액 약 27조원에서 차지하는 버블 비중이 49%에 해당 되는 금액이다.
미국 하이테크 기업들의 경우, 현재 시가총액 3.8조 달러와 비교해, 과대평가액 규모가 2.7조 달러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나, 버블 비중이 70%를 상회하고 있다. 미국기업이 처한 경제환경이나 기업가치의 성장성, 변동성 등을 한국기업과 동일하게 바꾸어 버
추천자료
[벤처기업특허][벤처기업][특허]벤처기업특허의 특징, 벤처기업특허의 준비, 벤처기업특허의 ...
[벤처기업재무][벤처기업][재무][벤처기업재무 계획][벤처기업재무 관리체계][벤처기업재무 ...
[벤처기업제도][벤처기업확인제도]벤처기업제도(벤처기업확인제도)의 목적, 벤처기업제도(벤...
[인터넷벤처기업][인터넷][벤처기업][기업][인터넷벤처기업 제휴][인터넷벤처기업 동향]인터...
[벤처기업][벤처][기업][인적자원관리][회계][마케팅][M&A][기업인수합병]벤처기업 인적...
[벤처기업][벤처기업 스톡옵션][벤처기업 주식매입선택권][벤처기업 투자][벤처기업 코스닥시...
[벤처기업성장][벤처기업][벤처][기업][정부금융지원][금융]벤처기업성장의 특징, 벤처기업성...
[벤처기업][벤처][기업]벤처기업의 경영전략, 벤처기업의 마케팅전략, 벤처기업의 특허전략, ...
[벤처기업][벤처][기업][주식교환][주식][사업계획서][사업][창업]벤처기업의 정의, 벤처기업...
[중소벤처기업정책자금][중소벤처기업][정책자금][중소기업][기업]중소벤처기업정책자금의 절...
[벤처기업][벤처][기업][벤처기업 네트워크][벤처기업 실용신안권][벤처기업 기술권리분석][...
[벤처기업][벤처기업 확인제도][벤처기업 문화산업]벤처기업의 의미, 벤처기업의 특징, 벤처...
[벤처기업 창업절차][벤처기업 창업절차 전략]벤처기업 창업절차의 확인신청, 벤처기업 창업...
[벤처기업 코스닥등록]벤처기업 코스닥등록의 조건, 벤처기업 코스닥등록의 기능, 벤처기업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