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9
여자
114
10.62
2.17
효과적커뮤니케이션
남자
317
13.31
2.68
4.426
.000
여자
114
12.04
2.48
사회적책임감
남자
317
8.44
1.72
.960
.338
여자
114
8.26
1.66
리포트
남자
317
8.60
1.72
-.560
.576
여자
114
8.70
1.73
타영역관심
남자
317
9.52
2.08
-4.081
.000
여자
114
10.47
2.28
성별에 따른 5개의 척도 학업성실성, 효과적커뮤니케이션, 사회적책임감, 리포트, 타영역관심에 대한 인식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위의 <표5-1>을 얻을 수 있었다.
분석결과에 따르면 학업성실성, 효과적커뮤니케이션, 사회적책임감은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약간 높은 점수를 보였다. 그 중 효과적 커뮤니케이션은 통계적으로도 유의확률이 .05보다 작은 .000수준을 보이고 있으므로 유의하다. 반면 리포트와 타영역관심은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더 높은 점수를 보였으며 유의확률이 .000의 수준으로 유의함을 보이고 있다.
2) 분산 분석 : 학교 수준에 따른 5개 척도에 대한 인식의 차이가 있는가?
(5개척도: 학업성실성, 효과적커뮤니케이션, 사회적책임감, 리포트, 타영역관심)
<표5-2> 학교 수준에 따른 학업성실성, 효과적커뮤니케이션, 사회적책임감, 리포트, 타영역관심에 대한 인식의 차이 ANOVA 결과
학교수준
N
M
SD
df
F
p
학업성실성
상
135
12.67
1.68
2
219.191
.000
중
169
10.67
.97
하
127
8.80
1.83
효과적커뮤니케이션
상
135
13.50
2.44
2
13.245
.000
중
169
13.30
2.60
하
127
11.98
2.80
사회적책임감
상
135
8.71
1.79
2
3.438
.033
중
169
8.25
1.57
하
127
8.25
1.75
리포트
상
135
9.20
1.64
2
14.476
.000
중
169
8.56
1.68
하
127
8.10
1.70
타영역관심
상
135
10.04
2.21
2
2.225
.109
중
169
9.78
2.12
하
127
9.48
2.17
**p<.01
학교수준을 상중하로 나누어 이에 따라 학업성실성, 효과적커뮤니케이션, 사회적책임감, 리포트, 타영역관심으로 다섯 가지 척도에 대해 분석한 결과 위의 <표5-2>를 얻을 수 있었다.
분석 결과를 보면 학력이 높을수록 학업성실성은 높게 나타났다. 또한 효과적커뮤니케이
션은 학력의 상과 중은 큰 차이가 없으며 하의 수치만 상과 중보다 조금 낮게 나타났다.
사회적 책임감은 학력에 따른 차이가 거의 없으며 중과 하의 값이 같다. 리포트와 타 영역 관심은 학력이 상일 때가 조금 높은 값을 보이며 중과 하는 근소하게 수준별 차이를 보였다. 이로 미루어보아 학업성실성과 효과적인커뮤니케이션 리포트에 대한 학교수준별
인식의 차이는 p=.000으로 높은 상관관계를 보임을 알 수 있다.
반면 사회적 책임감, 타 영역 관심에 대한 학교수준별 인식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 하지 않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여자
114
10.62
2.17
효과적커뮤니케이션
남자
317
13.31
2.68
4.426
.000
여자
114
12.04
2.48
사회적책임감
남자
317
8.44
1.72
.960
.338
여자
114
8.26
1.66
리포트
남자
317
8.60
1.72
-.560
.576
여자
114
8.70
1.73
타영역관심
남자
317
9.52
2.08
-4.081
.000
여자
114
10.47
2.28
성별에 따른 5개의 척도 학업성실성, 효과적커뮤니케이션, 사회적책임감, 리포트, 타영역관심에 대한 인식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위의 <표5-1>을 얻을 수 있었다.
분석결과에 따르면 학업성실성, 효과적커뮤니케이션, 사회적책임감은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약간 높은 점수를 보였다. 그 중 효과적 커뮤니케이션은 통계적으로도 유의확률이 .05보다 작은 .000수준을 보이고 있으므로 유의하다. 반면 리포트와 타영역관심은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더 높은 점수를 보였으며 유의확률이 .000의 수준으로 유의함을 보이고 있다.
2) 분산 분석 : 학교 수준에 따른 5개 척도에 대한 인식의 차이가 있는가?
(5개척도: 학업성실성, 효과적커뮤니케이션, 사회적책임감, 리포트, 타영역관심)
<표5-2> 학교 수준에 따른 학업성실성, 효과적커뮤니케이션, 사회적책임감, 리포트, 타영역관심에 대한 인식의 차이 ANOVA 결과
학교수준
N
M
SD
df
F
p
학업성실성
상
135
12.67
1.68
2
219.191
.000
중
169
10.67
.97
하
127
8.80
1.83
효과적커뮤니케이션
상
135
13.50
2.44
2
13.245
.000
중
169
13.30
2.60
하
127
11.98
2.80
사회적책임감
상
135
8.71
1.79
2
3.438
.033
중
169
8.25
1.57
하
127
8.25
1.75
리포트
상
135
9.20
1.64
2
14.476
.000
중
169
8.56
1.68
하
127
8.10
1.70
타영역관심
상
135
10.04
2.21
2
2.225
.109
중
169
9.78
2.12
하
127
9.48
2.17
**p<.01
학교수준을 상중하로 나누어 이에 따라 학업성실성, 효과적커뮤니케이션, 사회적책임감, 리포트, 타영역관심으로 다섯 가지 척도에 대해 분석한 결과 위의 <표5-2>를 얻을 수 있었다.
분석 결과를 보면 학력이 높을수록 학업성실성은 높게 나타났다. 또한 효과적커뮤니케이
션은 학력의 상과 중은 큰 차이가 없으며 하의 수치만 상과 중보다 조금 낮게 나타났다.
사회적 책임감은 학력에 따른 차이가 거의 없으며 중과 하의 값이 같다. 리포트와 타 영역 관심은 학력이 상일 때가 조금 높은 값을 보이며 중과 하는 근소하게 수준별 차이를 보였다. 이로 미루어보아 학업성실성과 효과적인커뮤니케이션 리포트에 대한 학교수준별
인식의 차이는 p=.000으로 높은 상관관계를 보임을 알 수 있다.
반면 사회적 책임감, 타 영역 관심에 대한 학교수준별 인식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 하지 않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