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품해석][작품][해석][여류시조][금오신화][고려가요 가시리][청산별곡][시인 홍희표]여류시조 작품해석, 금오신화 작품해석, 고려가요 가시리 작품해석, 청산별곡 작품해석, 시인 홍희표 작품해석 분석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작품해석][작품][해석][여류시조][금오신화][고려가요 가시리][청산별곡][시인 홍희표]여류시조 작품해석, 금오신화 작품해석, 고려가요 가시리 작품해석, 청산별곡 작품해석, 시인 홍희표 작품해석 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여류시조 작품해석
1. 시조 1
1) 현대어 풀이
2) 핵심 정리
3) 감상
2. 시조 2
1) 현대어 풀이
2) 핵심 정리
3) 감상
4) 작품의 배경
3. 시조 3
1) 현대어 풀이
2) 핵심 정리
3) 감상

Ⅱ. 금오신화 작품해석
1. 만복사저포기
2. 이생규장전

Ⅲ. 고려가요 가시리 작품해석
1. 노랫말
2. 작품 해설
1) 1연(기)
2) 2연(승)
3) 3연(전)
4) 4연(결)

Ⅳ. 청산별곡 작품해석
1. 노랫말
2. 각 연의 내용 분해
1) 1연
2) 2연
3) 3연
4) 4연
5) 5연
6) 6연
7) 7연
8) 8연

Ⅴ. 시인 홍희표 작품해석
1. 작품
2. 해석

참고문헌

본문내용

과 재청혼
@결혼 / 이생 높은 벼슬 , 행복한 삶 / 홍건적 난, 피난길 여인이 죽임을 당함 / 이생 폐허된 집에 들어와 최녀 환신(幻身) 만남 / 부모장례 / 이생 아내와 함께 살다가 벼슬, 인간사 모두 잊고 친척손님. 길흉사 전부와 무관한 채 아내와만 지냄.
③이별 / 여인의 해골 거두어 장사지냄 / 이생도 병이 들어 세상 떠남 / 이웃 주민들의 한탄
이생규장전은 이생과 최낭자의 만남이 거듭되는 구성을 지니고 있다.
이생규장전에서 보면 이생과 최낭자의 첫 만남은 이계와는 관계없이 현실적인 사랑을 맺는다. 그러나 홍건적의 난을 계기로 재회하는 과정에서는 전자처럼 환신과의 만남으로 변모된다. 두 작품의 구성을 비교해보면 이생규장전의 후반이 만복사저포기라고도 할 수 있으나 작품의 기교나 가치면 에서 본다면 이생규장전이 전자에 더 월등한 가치를 부여받을 만하다.
이생규장전은 결합과 이별의 단계가 3단계로 되어있다.
첫 단계는 이생과 최낭자가 인연을 맺었다가 이생가의 반대로 서로 이별하게 되는 사건이다.
사랑에서의 시작은 이생이 먼저지만 다음 단계에서는 최낭자가 더욱 적극적이다.
이생가에 의해 두 사람은 다시 이별을 맛보게 되지만 최낭자의 적극성으로 말미암아 양인은 재결합하는 즐거움을 맛보게 된다.
그러나 홍건적의 난은 그 두 사람의 이별의 단서를 마련해주고 있다.
그 후 환신과의 만남. 또 세 번째의 이별....
후반부에서의 이생은 아내, 부모, 모든 생활의 기반을 상실한 채 옛집에서 홀로 비탄에 잠겨 세상과의 단절과 생에의 의욕마저 잃은 상태이다.
이생규장전의 이생이 곧 김시습이며 여인의 유해를 거두어 달라는 당부는 단종 참사 후의 사실에 대한 우의(寓意)임을 주장한 견해도 있다.
또 최낭자가 이리떼 같은 도적의 칼에 쓰러지면서까지 끝내 정조를 지켜 이생을 사랑했다는 사실은 김시습 자신이 세조 정권에 지조를 팔지 않고 단종에게 충성을 바치려고 한 굳센 의지의 표현이라고 보는 견해도 있다.
절의로 죽인 이들에 대한 화풀이의 맥락에서 역시 이생은 김시습, 최낭자를 비롯한 전란의 희생자를 단종을 비롯한 왕권의 희생자들로 대응시켜 작품의 우의성을 설명할 수 있다.
일차적인 작품해석은 이생과 최낭자의 순수한 사랑, 자유연애사상에 먼저 문학적 가치가 부여되어야 하고 작가와 관련된 우의적 해석은 김시습이 모순된 세계와의 부단한 조화를 꾀하는 인간적 허구와 그 가운데 발생하는 좌절을 표현하고자 한 것으로 이생의 불우한 생애, 전란이라는 비극적 배경, 현실과 비현실의 갈등상황이 어우러져 빚어낸 비극소설임에 틀림없다.
Ⅲ. 고려가요 가시리 작품해석
1. 노랫말
<원문> <현대역>
가시리 가시리잇고 나 가시렵니까 가시렵니까
리고 가시리잇고 나 나를 버리고 가시렵니까
위 증즐가 위 증즐가 태평성대
날러는 엇디 살라 고 날러는 어찌 살라 하고
리고 가시리잇고 나 나를 버리고 가시렵니까
위 증즐가 위 증즐가 태평성대
잡와 두어리마 잡아 둘 일이지마는
선면 아니 올셰라 서운하면 아니 올까 두려워
위 증즐가 위 증즐가 태평성대
셜온 님 보내나니 나 서러운 임 보내드리니
가시 도셔 오쇼셔 나 가시는 것처럼 다시 돌아오소서
위 증즐가 위 증즐가 태평성대
-악장가사- -박병채 역-
<주석>
1) 가시리 가시리잇고 : 가시렵니까 가시렵니까
2) 리고 : 버리고
3) 날러는 :날더러는
4) 엇디 : 어찌
5) 잡와 : 잡아, 붙잡아
6) 두어리마 : 두겠습니다마는, 둘 일이지마는
7) 선면 : 서운하면, 그악스러우면, 까딱 잘못하면
8) 아니 올셰라 : 아니 올까 두렵습니다, 오지 않을까 두렵습니다.
9) 셜온 님 : 서러운 임을, 괴로운 임을
10) 보내노니 : 보내옵나니, 보내드리오니
11) 가시 : 가시는 것처럼
12) 도셔 오쇼셔 : 돌아 오소서
13) 나
앙주동 : 간단하게 여흥구로 설명
정병욱 : 여음으로 보는 것이 옳다고 한 후, 처음에 ‘나니나’ 같은 피리의 구음이 문헌상에 정착되면서 ‘나’으로 표기되었을 가능성을 지적하였다.
14) 위 증즐가 태평성대 : ‘위’는 감탄사로 보고 ‘증즐가’는 악기의 구음, ‘태평성대’는 흥을 위한 것으로 본다. 그러나 견해는 다양하다.
2. 작품 해설
이 노래는 이별의 정한을 노래한 것으로 소박하고 꾸밈없는 표현을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이별의 애절한 정한을 한없이 느끼게 하는 점에서 어떠한 이별 노래보다 가장 뛰어난 노래라 할 수 있다.
1) 1연(기)
원사로 시작된다. 아직 사랑이 식지 않은, 서로 나누어야 할 많은 사연을 남긴 채, 임은 나를 버리고 떠나려고 한다. 지극히 사랑하면서도 어쩔 수 없이 임을 떠나 보내야하는 슬픔, 이 간곡한 슬픔을 간결하게 나타내고 있다. 이 연에서는 정조가 원사에 그치지 않고 한 가닥의 희망, 즉 기적을 바라는 애절한 기대마저 느끼게 하고 있다.
2) 2연(승)
원망과 기대가 한꺼번에 쏟아져 나온 1연에 이어 참담한 자신의 모습을 내려다보고 앞으로 닥쳐올 외롭고 쓸쓸한 생활을 애소하고 있다.
3) 3연(전)
님이 나를 버리고 떠난다만 내가 붙잡고 놓지 않으면 차마 뿌리치겠느냐만 그러다가 임의 마음을 상하게 할 것이 두려워 그럴 수도 없다는 지극한 동양의 여심이 체념으로 나타난다.
4) 4연(결)
임이 떠나는 것도, 떠나는 임을 막을 수 없다는 것도 이젠 기정사실, 다시임의 마음을 돌이킬 수 없는 바에야 조용히 앉아 돌아오시기만 빌겠다는 극히 소박한 염원이 가득히 나타난다. 떠날 때 홀연히 떠나듯이 다시 오실 때도 떠날 때처럼 홀연히 오시라는 염원은 애처롭게 호소해 보는 것이다.
Ⅳ. 청산별곡 작품해석
1. 노랫말
살어리 살어리 랏다
靑山에 살어리 랏다
멀이랑 래랑 먹고
靑山에 살어리 랏다
얄리얄리 얄랑셩 얄라리 얄라
우러라 우러라 새여
자고니러 우러라 새여
널라와 시름한 나도
자고니러 우니 로(노)라
얄리얄리 얄랑셩 얄라리 얄라
가던새 가던새 본다
물아래 가던새 본다
잉무든 장글란 가지고
물아래 가던새 본다
얄리얄리 얄랑셩 얄라리 얄라
이링공 뎌링공 야
니즈란 지내와 숀뎌
오리도 기리도 업슨
바므란 엇디 하리라
얄리얄리 얄랑셩 얄라리 얄라
어늬라 더디던 돌코
누리라 마치던 돌코
  • 가격7,500
  • 페이지수14페이지
  • 등록일2013.08.01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6860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