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I.개요
Ⅱ.투약의 실제
i.경구 투약
ii.비경구 투약
iii.근육주사
iV.피하주사
v.피내주사
vi.정맥주사
Ⅲ.주의를 요하는 약물
Ⅳ. CPR 약물 투여 시 간호
V.투약 기록의 check list
i.경구,근육,피하주사
ii.정맥주사
iii.항암주사
Ⅱ.투약의 실제
i.경구 투약
ii.비경구 투약
iii.근육주사
iV.피하주사
v.피내주사
vi.정맥주사
Ⅲ.주의를 요하는 약물
Ⅳ. CPR 약물 투여 시 간호
V.투약 기록의 check list
i.경구,근육,피하주사
ii.정맥주사
iii.항암주사
본문내용
6)인슐린이 혈액으로 이동하는 속도가 복부에서 가장 빠르므로 자가 주사 시 추천되는 부위
* 헤파린 주입 : 심부정맥 혈전증(deep - vein thrombosis)의 위험 때문에 피하로 주입
: 혈종(hematoma)형성에 주의!!(혈관분포 좋은 곳 피해 복부에 주입)
: 복부피하 주사 시 배꼽 근처의 직경 5cm 밖으로 주사
* 혈종형성 예방위한 주사 시 주의점!
① 주입 전 주사침에 헤파린이 묻어있지 않도록 함(약물 뽑은 후 주사침 교환)
② 피부에 90˚로 찌른다
③ 혈액이 나오나 내관을 당겨보지 않는다
④ 0.2 ml의 공기를 넣어 헤파린이 바늘구멍을 나오지 못하게 한다
⑤ 주사 후 마사지 금지
ⅴ. 피내주사
- 표피 바로 아래 진피에 약물을 투여하는 방법
: 모든 비 경구 투약 중 가장 흡수가 느린 경로
: 튜베르쿨린 반응검사 목적에 사용
: 각종 약물의 알러지 테스트(AST)에 이용
: 약물에 대한 반응을 눈으로 쉽게 볼 수 있고 반응정도 비교 가능
1. 피내주사의 장점 : 약물에 대한 반응들이 쉽게 눈으로 볼 수 있고 반응의 정도도 쉽게 비교가 된다.
2. 피내주사의 단점
① 주사부위를 문지르면 약물이 조직으로 분산되거나 주사 바늘을 뺀 부위를 통해 빠져 나옴.
② 주사부위에 염증, 출혈이 있을 수 있다.
③ 혈관 분포가 없어서 비 경구 투여 중 흡수가 가장 느리다.
3. 적응증
① 튜베르클린 반응 검사
② 알러지 반응 검사
③ BCG접종
4. 합병증
① 주시부위에 염증, 출혈
② 주사부위 알러지 반응.
③ 용량이 정확하지 않으면 위험
5. 주사부위
① 전박의 내측면(inner forearm)이 주로 이용
② 상완의 측후면(lateral & posterior aspect of upper arm), 흉곽의 상부(upper chest), 견갑골하부(back beneath the scapula)
5. 주사방법
: 1cc주사기 사용 (26 ~ 27G의 0.6 ~ 1.6cm 길이의 주사침 사용)
: 주입용량 - 0.01 ~ 0.02ml
: 수포의 직경 - 3 ~ 4mm가 되도록 약물주입
주사각도는 피부와 근접한 15˚로 하며 주사바늘의 사면이 위로 가게 하여 수포를 직경 5mm 정도로 만들고-->주사바늘을 뺀 후 문지르면 안 되고 살짝 닦아 준다-->수포주위를 볼펜으로 그려서 표시하고 약명과 시간을 기록함
6. 피내주사 약물준비
1) 투베르쿨린 반응 검사 시 Manteaux test 시약을 0.1ml전박 내측에 주사
2) AST 목적인 경우는 0.9ml의 N/S에 테스트 약물을 0.1ml를 희석하여 사용
3) 절차
① 손을 씻고 피내주사에 필요한 물품을 꺼냄
- 투약처방과 약카드를 확인
- 약카드와 약병을 대조하여 약을 꺼냄
- 약카드와 약병을 다시 확인
② 처방된 주사약을 주사용 증류수로 용해함.
③ 1ml 주사기에 0.9ml의 증류수와 처방된 주사약 0.1ml를 뽑아 혼합.
④ 대상자를 확인하고 투약에 대해 설명하고 협조를 구함.
⑤ 알코올 솜으로 주사부위를 안에서 밖으로 5cm정도를 둥글게 닦은 다음 피부에 묻은 알코올이 마를 때까지 기다림.
⑥ 주사기에 끼워진 주삿바늘을 단단히 조인 다음 주삿바늘 뚜껑을 벗긴 후에 주사기를
거꾸로 세우고 주사기 내의 공기 제거.
⑦ 주사부위 피부를 손으로 팽팽하게 잡은 다음 주삿바늘의 사면이 위로 향하게 하고 15℃ 각도로 표피에서 진피로 들어가게 삽입.
⑧ 주사낭포의 직경이 0.6mm정도(콩알 반쪽 덮어 둔 모양) 되도록 약물을 천천히 주입한 다음 각도대로 주삿바늘을 신속히 빼냄
⑨ 주삿바늘을 뺀 부위는 마른 소독거즈로 부드럽게 닦음.
⑩ 주사부위를 마사지하지 않음.
⑪ 낭포의 둘레에 주사약명과 주사일시를 볼펜으로 표시한 다음 주사부위를 만지지 않도록 하고 10~15분 후 다시 올 것을 설명함.
⑫ 보통 10~15분 후 주사결과를 판독하며, 결핵반응 검사는 72시간 후에 판독
⑬ 기록에 약명, 용량, 투약경로, 투약시간을 기록한 후 투약한 간호사의 서명을 함.
7. 주사 후 반응 판독 : 발적 직경 및 팽진 직경으로 음성/의양성/양성 구분
1) 튜베르쿨린 반응(Manteaux test) : 검사 후 48 ~ 72시간 후에 판독
- BCG 접종 대상자 선정이 목적일 때 팽진 직경이 5mm이상이면 양성, 이하면 음성
- 이미 BCG접종을 받은 대상자는 10mm이상이면 양성, 이하면 음성
약품명
skin test 방법
양성 판정
용해액
농도
투여량
대조액
시간
발적직경
팽진직경
천연 penicillin계(penicilline -G,benzylpenicilline, benzathine)
N/S
500mcg/ml
0.02ml
N/S 0.02ml
15-20분
15mm이상
10mm이상
합성 penicilline계
(ampicilline,piperacilline)
N/S또는 증류수
300mcq/ml
0.02cc
N/S
0.02
15-30분
15-20mm이상
10mm이상
cefotiam,cefazoline,cefotaxim,
N/S또는 증류수
300mcq/ml
0.02cc
N/S
0.02
15-30분
15-20mm이상
9-10mm이상
cefmetazole
N/S
300mcq/ml
0.02cc
N/S
0.02
15-20분
20mm이상
9-10mm이상
mobactam
N/S증류수
300mcq/ml
0.02cc
N/S
0.02
15-30분
20mm이상
9mm이상
2) 약물의 알러지 반응검사(AST)
<양성 판정 방법>
-팽진 직경 또는 발적 직경이 각각 판정 수치 이상인 경우
-시험액의 반응이 대조 액에 비해 명확하게 강한 경우
-팽진에 pseudopod가 생긴 경우
-환자가 구내 이상 감, 두통, 안면홍조, 변의, 현훈, 이명 등의 명확한 자각 증상을 나타낸 경우
ⅵ. 정맥주사 간호
1. 정맥주사의 적응 증
1) 피하조직이나 근육주사 시 조직에 자극이 심한 약물을 투여할 때
2) 구강섭취가 불가능할 때 수액과 영양제 투여
3) 진단을 위한 검사 시
4) 체액의 수분, 전해질 농도를 맞추기 위해 약물의 신속한 효과를 내기 위함
2. 정맥주사 부위의 관리(감염관리)
1) 투약을 준비하기 전 손을
* 헤파린 주입 : 심부정맥 혈전증(deep - vein thrombosis)의 위험 때문에 피하로 주입
: 혈종(hematoma)형성에 주의!!(혈관분포 좋은 곳 피해 복부에 주입)
: 복부피하 주사 시 배꼽 근처의 직경 5cm 밖으로 주사
* 혈종형성 예방위한 주사 시 주의점!
① 주입 전 주사침에 헤파린이 묻어있지 않도록 함(약물 뽑은 후 주사침 교환)
② 피부에 90˚로 찌른다
③ 혈액이 나오나 내관을 당겨보지 않는다
④ 0.2 ml의 공기를 넣어 헤파린이 바늘구멍을 나오지 못하게 한다
⑤ 주사 후 마사지 금지
ⅴ. 피내주사
- 표피 바로 아래 진피에 약물을 투여하는 방법
: 모든 비 경구 투약 중 가장 흡수가 느린 경로
: 튜베르쿨린 반응검사 목적에 사용
: 각종 약물의 알러지 테스트(AST)에 이용
: 약물에 대한 반응을 눈으로 쉽게 볼 수 있고 반응정도 비교 가능
1. 피내주사의 장점 : 약물에 대한 반응들이 쉽게 눈으로 볼 수 있고 반응의 정도도 쉽게 비교가 된다.
2. 피내주사의 단점
① 주사부위를 문지르면 약물이 조직으로 분산되거나 주사 바늘을 뺀 부위를 통해 빠져 나옴.
② 주사부위에 염증, 출혈이 있을 수 있다.
③ 혈관 분포가 없어서 비 경구 투여 중 흡수가 가장 느리다.
3. 적응증
① 튜베르클린 반응 검사
② 알러지 반응 검사
③ BCG접종
4. 합병증
① 주시부위에 염증, 출혈
② 주사부위 알러지 반응.
③ 용량이 정확하지 않으면 위험
5. 주사부위
① 전박의 내측면(inner forearm)이 주로 이용
② 상완의 측후면(lateral & posterior aspect of upper arm), 흉곽의 상부(upper chest), 견갑골하부(back beneath the scapula)
5. 주사방법
: 1cc주사기 사용 (26 ~ 27G의 0.6 ~ 1.6cm 길이의 주사침 사용)
: 주입용량 - 0.01 ~ 0.02ml
: 수포의 직경 - 3 ~ 4mm가 되도록 약물주입
주사각도는 피부와 근접한 15˚로 하며 주사바늘의 사면이 위로 가게 하여 수포를 직경 5mm 정도로 만들고-->주사바늘을 뺀 후 문지르면 안 되고 살짝 닦아 준다-->수포주위를 볼펜으로 그려서 표시하고 약명과 시간을 기록함
6. 피내주사 약물준비
1) 투베르쿨린 반응 검사 시 Manteaux test 시약을 0.1ml전박 내측에 주사
2) AST 목적인 경우는 0.9ml의 N/S에 테스트 약물을 0.1ml를 희석하여 사용
3) 절차
① 손을 씻고 피내주사에 필요한 물품을 꺼냄
- 투약처방과 약카드를 확인
- 약카드와 약병을 대조하여 약을 꺼냄
- 약카드와 약병을 다시 확인
② 처방된 주사약을 주사용 증류수로 용해함.
③ 1ml 주사기에 0.9ml의 증류수와 처방된 주사약 0.1ml를 뽑아 혼합.
④ 대상자를 확인하고 투약에 대해 설명하고 협조를 구함.
⑤ 알코올 솜으로 주사부위를 안에서 밖으로 5cm정도를 둥글게 닦은 다음 피부에 묻은 알코올이 마를 때까지 기다림.
⑥ 주사기에 끼워진 주삿바늘을 단단히 조인 다음 주삿바늘 뚜껑을 벗긴 후에 주사기를
거꾸로 세우고 주사기 내의 공기 제거.
⑦ 주사부위 피부를 손으로 팽팽하게 잡은 다음 주삿바늘의 사면이 위로 향하게 하고 15℃ 각도로 표피에서 진피로 들어가게 삽입.
⑧ 주사낭포의 직경이 0.6mm정도(콩알 반쪽 덮어 둔 모양) 되도록 약물을 천천히 주입한 다음 각도대로 주삿바늘을 신속히 빼냄
⑨ 주삿바늘을 뺀 부위는 마른 소독거즈로 부드럽게 닦음.
⑩ 주사부위를 마사지하지 않음.
⑪ 낭포의 둘레에 주사약명과 주사일시를 볼펜으로 표시한 다음 주사부위를 만지지 않도록 하고 10~15분 후 다시 올 것을 설명함.
⑫ 보통 10~15분 후 주사결과를 판독하며, 결핵반응 검사는 72시간 후에 판독
⑬ 기록에 약명, 용량, 투약경로, 투약시간을 기록한 후 투약한 간호사의 서명을 함.
7. 주사 후 반응 판독 : 발적 직경 및 팽진 직경으로 음성/의양성/양성 구분
1) 튜베르쿨린 반응(Manteaux test) : 검사 후 48 ~ 72시간 후에 판독
- BCG 접종 대상자 선정이 목적일 때 팽진 직경이 5mm이상이면 양성, 이하면 음성
- 이미 BCG접종을 받은 대상자는 10mm이상이면 양성, 이하면 음성
약품명
skin test 방법
양성 판정
용해액
농도
투여량
대조액
시간
발적직경
팽진직경
천연 penicillin계(penicilline -G,benzylpenicilline, benzathine)
N/S
500mcg/ml
0.02ml
N/S 0.02ml
15-20분
15mm이상
10mm이상
합성 penicilline계
(ampicilline,piperacilline)
N/S또는 증류수
300mcq/ml
0.02cc
N/S
0.02
15-30분
15-20mm이상
10mm이상
cefotiam,cefazoline,cefotaxim,
N/S또는 증류수
300mcq/ml
0.02cc
N/S
0.02
15-30분
15-20mm이상
9-10mm이상
cefmetazole
N/S
300mcq/ml
0.02cc
N/S
0.02
15-20분
20mm이상
9-10mm이상
mobactam
N/S증류수
300mcq/ml
0.02cc
N/S
0.02
15-30분
20mm이상
9mm이상
2) 약물의 알러지 반응검사(AST)
<양성 판정 방법>
-팽진 직경 또는 발적 직경이 각각 판정 수치 이상인 경우
-시험액의 반응이 대조 액에 비해 명확하게 강한 경우
-팽진에 pseudopod가 생긴 경우
-환자가 구내 이상 감, 두통, 안면홍조, 변의, 현훈, 이명 등의 명확한 자각 증상을 나타낸 경우
ⅵ. 정맥주사 간호
1. 정맥주사의 적응 증
1) 피하조직이나 근육주사 시 조직에 자극이 심한 약물을 투여할 때
2) 구강섭취가 불가능할 때 수액과 영양제 투여
3) 진단을 위한 검사 시
4) 체액의 수분, 전해질 농도를 맞추기 위해 약물의 신속한 효과를 내기 위함
2. 정맥주사 부위의 관리(감염관리)
1) 투약을 준비하기 전 손을
추천자료
중환자실의 척수손상 Case Study
치매간호
실습레포트-케이스(내과)
외과 데일리(GS DAILY)
viral meningitis 바이러스성 뇌막염
[논문] 신증후군
미숙아, 선천성 매독, C형 간염 수직감염(신생아 중환자실 case study)
급성인두염 case study (소아과)
신생아 병동입니다.
안산대학교 간호과 엔비 과제(ROM, 도뇨, 베드베이킹,식이, 비위관, 호흡, 혈압 등 24개)
ICU 응급약물
[의약학] 고위험신생아(패혈증) 및 고위험 신생아와 가족의 간호과정
한방간호학 케이스 스터디 : 급성 횡단성 척수염(Acute transverse myelitis)
고위험신생아(패혈증) 및 고위험 신생아와 가족의 간호과정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