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외재화
1-1. 문제 정의하기, 문제에 이름 붙이기
1-2. 문제의 영향력 탐색하기
1-3. 문제의 영향력 평가하기
1-4. 문제의 영향력 평가를 정당화하기 (평가에 대한 근거)
Ⅱ. 독특한 결과
2-1. 독특한 결과 정의하기
2-2. 독특한 결과의 영향력 탐색하기
2-3. 독특한 결과의 영향력 평가하기
2-4. 독특한 결과의 영향력 평가를 정당화하기
Ⅲ. 대안적 이야기의 구축 (재저작과 스캐폴딩)
3-1. 정체성 질문
3-2. 행동질문 : 독특한 결과 찾기
3-3. 정체성 질문
3-4. 행동질문 : 독특한 결과 찾기
3-5. 정체성 질문
3-6. 행동 질문 : 독특한 결과 찾기
Ⅳ. 위 과제를 하면서 느낀 점, 깨달은 점, 어려웠던 점 등
1-1. 문제 정의하기, 문제에 이름 붙이기
1-2. 문제의 영향력 탐색하기
1-3. 문제의 영향력 평가하기
1-4. 문제의 영향력 평가를 정당화하기 (평가에 대한 근거)
Ⅱ. 독특한 결과
2-1. 독특한 결과 정의하기
2-2. 독특한 결과의 영향력 탐색하기
2-3. 독특한 결과의 영향력 평가하기
2-4. 독특한 결과의 영향력 평가를 정당화하기
Ⅲ. 대안적 이야기의 구축 (재저작과 스캐폴딩)
3-1. 정체성 질문
3-2. 행동질문 : 독특한 결과 찾기
3-3. 정체성 질문
3-4. 행동질문 : 독특한 결과 찾기
3-5. 정체성 질문
3-6. 행동 질문 : 독특한 결과 찾기
Ⅳ. 위 과제를 하면서 느낀 점, 깨달은 점, 어려웠던 점 등
본문내용
. 음.. 좀 더 구체적으로 말하자면, 어디서든 필요한 사람으로써 가치를 인정받기 원하고, 또 그것을 가장 중요하게 생각합니다. 사람은 가지고 있는 가치를 인정받을 때 인간으로서 가장 행복한 삶을 살고 있다고 생각하기 때문입니다.”
3-6. 행동 질문 : 독특한 결과 찾기
Q : “당신의 대한 가치 인정과 당신의 긍정적인 인상을 가지고 앞으로 어떤 일을 계획할 수 있겠어요?” (가까운 미래)
A : “인정받아 원하는 직장에 입사할 수 있도록 열심히 계획적으로 꾸준히 영어공부를 하여 원하는 직장에 면접대비를 효율적으로 할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행동질문에 대한 답에서 하나가 아니라 여러 개의 독특한 결과가 나올 수 있다.
같은 가까운 미래에 대한 행동질문으로 끝낸다.
최소한 6번까지 한다. 8번이나 10번까지 가도 된다.
위의 <Ⅲ. 대안적 이야기의 구축>을 가지고 아래의 스케폴딩 지도를 만든다.
( 스케폴딩 지도를 옆으로 길게 그리는 것이 그리기에 편함. )
Ⅳ. 위 과제를 하면서 느낀 점, 깨달은 점, 어려웠던 점 등
위 과제를 하면서 이야기 치료적 접근에 대해 다시금 자세히 개인적으로 공부할 수 있는 시간이어서 좋았습니다. 또한 이렇게 나의 문제시 되어지는 부분에 대한 이야기를 문제와 나와는 별개인 것으로 분리시키는 작업부터 스캐폴딩 지도를 그리는 작업까지 진행해보니, 진정 나에게 필요한 부분이 어떤 것이고 내가 삶 속에서 무엇을 중요시 여기면서 살아왔는지를 알게 되었습니다. 과제를 혼자 질문하고 그에 대한 행동의 배경들을 찾아보고 그에 따른 나의 정체성들을 일어난 시간대별로 이어가다보니, 재미도 있었고 깊게 내 자신을 들여다 볼 수 있었던 좋은 시간이어서 좋았습니다. 어려웠던 점 같은 경우에는 마지막에 스캐폴딩을 그리는 작업에 있어서 정확하게 맞는 건지 몰라서 아리송했던 부분이 있었고, 질문에 따른 선을 구분 짓는 것도 어려움이 많았습니다. 예를 들어, 6번에 질문이 두 개가 들어갈 수 있는데 굳이 그 중 하나만을 선택해서 선을 긋고 해야 하는 것인지에 대한 의문이 있었습니다. 그래도 이번 과제는 정말 저를 되돌아보는데 있어서 도움이 되는 과제였던 것 같아 좋았습니다. 한 학기 동안 고생 많으셨습니다. 교수님.^^
[가족치료_마지막 과제]
가족치료
이야기치료 모델 과제 -
담당 : 이은주 교수님
전공 : 사회복지/복지심리
학번 : 20091050
이름 : 이슬기
제출일 : 2013/06/24(월)
3-6. 행동 질문 : 독특한 결과 찾기
Q : “당신의 대한 가치 인정과 당신의 긍정적인 인상을 가지고 앞으로 어떤 일을 계획할 수 있겠어요?” (가까운 미래)
A : “인정받아 원하는 직장에 입사할 수 있도록 열심히 계획적으로 꾸준히 영어공부를 하여 원하는 직장에 면접대비를 효율적으로 할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행동질문에 대한 답에서 하나가 아니라 여러 개의 독특한 결과가 나올 수 있다.
같은 가까운 미래에 대한 행동질문으로 끝낸다.
최소한 6번까지 한다. 8번이나 10번까지 가도 된다.
위의 <Ⅲ. 대안적 이야기의 구축>을 가지고 아래의 스케폴딩 지도를 만든다.
( 스케폴딩 지도를 옆으로 길게 그리는 것이 그리기에 편함. )
Ⅳ. 위 과제를 하면서 느낀 점, 깨달은 점, 어려웠던 점 등
위 과제를 하면서 이야기 치료적 접근에 대해 다시금 자세히 개인적으로 공부할 수 있는 시간이어서 좋았습니다. 또한 이렇게 나의 문제시 되어지는 부분에 대한 이야기를 문제와 나와는 별개인 것으로 분리시키는 작업부터 스캐폴딩 지도를 그리는 작업까지 진행해보니, 진정 나에게 필요한 부분이 어떤 것이고 내가 삶 속에서 무엇을 중요시 여기면서 살아왔는지를 알게 되었습니다. 과제를 혼자 질문하고 그에 대한 행동의 배경들을 찾아보고 그에 따른 나의 정체성들을 일어난 시간대별로 이어가다보니, 재미도 있었고 깊게 내 자신을 들여다 볼 수 있었던 좋은 시간이어서 좋았습니다. 어려웠던 점 같은 경우에는 마지막에 스캐폴딩을 그리는 작업에 있어서 정확하게 맞는 건지 몰라서 아리송했던 부분이 있었고, 질문에 따른 선을 구분 짓는 것도 어려움이 많았습니다. 예를 들어, 6번에 질문이 두 개가 들어갈 수 있는데 굳이 그 중 하나만을 선택해서 선을 긋고 해야 하는 것인지에 대한 의문이 있었습니다. 그래도 이번 과제는 정말 저를 되돌아보는데 있어서 도움이 되는 과제였던 것 같아 좋았습니다. 한 학기 동안 고생 많으셨습니다. 교수님.^^
[가족치료_마지막 과제]
가족치료
이야기치료 모델 과제 -
담당 : 이은주 교수님
전공 : 사회복지/복지심리
학번 : 20091050
이름 : 이슬기
제출일 : 2013/06/24(월)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