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다중지능이론 기반 교육과정
1) 다중지능이론 개념
2) 다중지능 이론의 원리
3) 다중지능의 영역과 교수학습 활동
2. 홀리스틱 교육과정 1) 홀리스틱 교육 개관
2) 홀리스틱 교육의 원리 3) 홀리스틱 교육의 방법
4) 홀리스틱 관련 통합모형
Ⅲ. 결론
참고문헌
Ⅱ. 본론
1. 다중지능이론 기반 교육과정
1) 다중지능이론 개념
2) 다중지능 이론의 원리
3) 다중지능의 영역과 교수학습 활동
2. 홀리스틱 교육과정 1) 홀리스틱 교육 개관
2) 홀리스틱 교육의 원리 3) 홀리스틱 교육의 방법
4) 홀리스틱 관련 통합모형
Ⅲ.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교육과정은 교육과정 구성에 있어서 전통적으로 각 교과 혹은 지식의 체제에 따라 분화된 부절적인 교과를 중심으로 학습경험을 선정, 조정하던 것에서 탈피하여 전통적 교과간의 엄격한 울타리를 고려하지 않고 각 교과의 지식이나 경험을 필요한대로 가져와 재구성하여 학생의 흥미중심, 문제중심, 주제중심 등으로 구성된 교육과정을 말한다.
2. 홀리스틱 교육과정 1) 홀리스틱의 교육 개관
(1) 홀리스틱 개념
홀리즘이라는 말이 처음 쓰이게 된 것은 1926년에 남아프리카의 스머츠라는 철학자가 『홀리즘과 진화』라는 책에서 처음으로 사용하였다. 이 홀리스틱이라는 말이 20세기 초에 제안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최근에 우리 삶의 여러 분야에 사용되기 시작하였다. 모든 것을 쪼개서 생각하는 사고방식의 한계를 느끼는 사람들은 전통적인 분석적 방법을 종합적인 방법으로 대체하는 방안을 모색하기 시작였다. 이처럼 분석적인 사유를 대체하는 종합적인 사유방식을 홀리스틱이라고 부르게 되었다.
최종덕(1995)에 의하며, 홀리스틱이라는 용어는 ‘옴살적’이라는 용어로 부를 수 있는데, “모두가 한 몸같이 가까운 사이”라는 의미의 순수 우리말이다. 현재 우리나라 철학에선는 ‘holos(온, 모든)’에서 유래한 ‘holistic’, ‘wholeness’ 등에 대응하는 적당한 말로 ‘옴살이라는 순수한 우리말을 쓰고 때로는 전일주의라고 설명하고 있다.
Miller(1996)은 사람들은 흔히 홀리스틱의 근본적 의미에 대해 묻는데 단순히 부분의 합으로 환원될 수 없는 통합된 전체로 이루어진 우주를 언급하는 것이다. ‘holistic은 영성 또는 신성한 의식을 의미하며, wholistic은 물리적이고 사회적인 상호연관에 역점을 둔 물질적이고 생물학적에 더 가깝다고 본다.
(2) 홀리스틱 교육의 의미
홀리스틱이란 말은 합리주의, 환원주의, 개인주의, 객관주의, 기계론적 세계관에 대항해서 나온 전연관주의 또는 전일주의에서 파생된 말이다.
Miller(1996)는 홀리스틱 교육에서 다음과 같은 네 가지 특징이 있다고 주장한다.
첫째, 홀리스틱 교육은 학습자의 전인적 발달에 도움을 준다.
둘째, 홀리스틱 교육은 학습자의 관계성, 어린이와 성인과의 관계성을 중요시한다.
셋째, 홀리스틱 교육은 협의의 기초적 기능이 아닌 생활경험과 연관된다.
넷째, 홀리스틱 교육은 학습자들이 자신의 삶의 문화적·도덕적·정치적 상황에 비판적으로 접급할 수 있게 한다.
2) 홀리스틱 교육의 원리(교육2000:홀리스틱 교육비전 선언, 1991)
첫째, 인간성을 발달을 위한 교육이 되어야 한다. 교육의 목적은 태어날 때부터 갖고 있는 성장의 가능성을 최대한 키워 가는 것이 되어야한다. 각자의 가능성이 자신다움을 드러내며 충분히 개화될 수 있도록 교육의 최대한의 뒷받침을 해 주어야 한다.
둘째, 개성을 존중한다. 학생은 독특한 가치를 지닌 사람으로 존중해야한다. 또한 학생들의 서로 다른 점을 중시하고 이들이 서로의 다른 점을 보고 배우도록 하는 학습공동체를 형성하기 위해서 이들의 개성을 존중하며 서로 배워서 각자의 변용을 가져올 수 있는 학교 문화를 먼저 건설하여야 한다.
셋째, 경험이 중심적 역할이어야 한다. 교육의 목적은 경험을 통하여 자연스럽고 건강한 성장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지, 제한되고 분리된 미리 만든 교육과정에서 지혜와 지식을 얻도록 하는 것이 아니다.
넷째, 홀리스틱적인 교육이 중시되어야 한다. 홀리스틱 교육은 교육의 과정에 전체성과 변용성을강조하기 위하여 풍부하고 통합적인 삶의 현상과 진화의 구성적 사용, 다양한 앎의 방식, 실재에 대한 대안적 관점 등을 중시하며 아울러 다양한 차원의 물리적, 사회적, 미적, 창조적, 영성적 측
2. 홀리스틱 교육과정 1) 홀리스틱의 교육 개관
(1) 홀리스틱 개념
홀리즘이라는 말이 처음 쓰이게 된 것은 1926년에 남아프리카의 스머츠라는 철학자가 『홀리즘과 진화』라는 책에서 처음으로 사용하였다. 이 홀리스틱이라는 말이 20세기 초에 제안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최근에 우리 삶의 여러 분야에 사용되기 시작하였다. 모든 것을 쪼개서 생각하는 사고방식의 한계를 느끼는 사람들은 전통적인 분석적 방법을 종합적인 방법으로 대체하는 방안을 모색하기 시작였다. 이처럼 분석적인 사유를 대체하는 종합적인 사유방식을 홀리스틱이라고 부르게 되었다.
최종덕(1995)에 의하며, 홀리스틱이라는 용어는 ‘옴살적’이라는 용어로 부를 수 있는데, “모두가 한 몸같이 가까운 사이”라는 의미의 순수 우리말이다. 현재 우리나라 철학에선는 ‘holos(온, 모든)’에서 유래한 ‘holistic’, ‘wholeness’ 등에 대응하는 적당한 말로 ‘옴살이라는 순수한 우리말을 쓰고 때로는 전일주의라고 설명하고 있다.
Miller(1996)은 사람들은 흔히 홀리스틱의 근본적 의미에 대해 묻는데 단순히 부분의 합으로 환원될 수 없는 통합된 전체로 이루어진 우주를 언급하는 것이다. ‘holistic은 영성 또는 신성한 의식을 의미하며, wholistic은 물리적이고 사회적인 상호연관에 역점을 둔 물질적이고 생물학적에 더 가깝다고 본다.
(2) 홀리스틱 교육의 의미
홀리스틱이란 말은 합리주의, 환원주의, 개인주의, 객관주의, 기계론적 세계관에 대항해서 나온 전연관주의 또는 전일주의에서 파생된 말이다.
Miller(1996)는 홀리스틱 교육에서 다음과 같은 네 가지 특징이 있다고 주장한다.
첫째, 홀리스틱 교육은 학습자의 전인적 발달에 도움을 준다.
둘째, 홀리스틱 교육은 학습자의 관계성, 어린이와 성인과의 관계성을 중요시한다.
셋째, 홀리스틱 교육은 협의의 기초적 기능이 아닌 생활경험과 연관된다.
넷째, 홀리스틱 교육은 학습자들이 자신의 삶의 문화적·도덕적·정치적 상황에 비판적으로 접급할 수 있게 한다.
2) 홀리스틱 교육의 원리(교육2000:홀리스틱 교육비전 선언, 1991)
첫째, 인간성을 발달을 위한 교육이 되어야 한다. 교육의 목적은 태어날 때부터 갖고 있는 성장의 가능성을 최대한 키워 가는 것이 되어야한다. 각자의 가능성이 자신다움을 드러내며 충분히 개화될 수 있도록 교육의 최대한의 뒷받침을 해 주어야 한다.
둘째, 개성을 존중한다. 학생은 독특한 가치를 지닌 사람으로 존중해야한다. 또한 학생들의 서로 다른 점을 중시하고 이들이 서로의 다른 점을 보고 배우도록 하는 학습공동체를 형성하기 위해서 이들의 개성을 존중하며 서로 배워서 각자의 변용을 가져올 수 있는 학교 문화를 먼저 건설하여야 한다.
셋째, 경험이 중심적 역할이어야 한다. 교육의 목적은 경험을 통하여 자연스럽고 건강한 성장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지, 제한되고 분리된 미리 만든 교육과정에서 지혜와 지식을 얻도록 하는 것이 아니다.
넷째, 홀리스틱적인 교육이 중시되어야 한다. 홀리스틱 교육은 교육의 과정에 전체성과 변용성을강조하기 위하여 풍부하고 통합적인 삶의 현상과 진화의 구성적 사용, 다양한 앎의 방식, 실재에 대한 대안적 관점 등을 중시하며 아울러 다양한 차원의 물리적, 사회적, 미적, 창조적, 영성적 측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