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내용 목차
1. 실습의 주제
2. 실습의 목적
3. 실습의 준비
4. 실습의 절차
1) 엔진 분해 순서
2) 엔진 조립 순서
5. 실습관련 내용의 이론 정리
6. 실습 시 주의 사항
7. 실습 실험의 최종 결과 치에 대한 서술
8. 실습의 결과에 대한 자료 분석 및 설명
9. 실습의 결론 및 개인 의견
- 그림 목차
그림 1. 엑센트 엔진
그림 2. 타이밍 벨트
그림 3. 헤드 볼트 푸는 순서
그림 4. 엔진의 각 부품의 명칭
그림 5. 헤드 볼트 조우는 순서
그림 6. 플라스틱 게이지
그림 7. 플라스틱 게이지 커브
그림 8. SOHC와 DOHC 엔진의 차이점
1. 실습의 주제
2. 실습의 목적
3. 실습의 준비
4. 실습의 절차
1) 엔진 분해 순서
2) 엔진 조립 순서
5. 실습관련 내용의 이론 정리
6. 실습 시 주의 사항
7. 실습 실험의 최종 결과 치에 대한 서술
8. 실습의 결과에 대한 자료 분석 및 설명
9. 실습의 결론 및 개인 의견
- 그림 목차
그림 1. 엑센트 엔진
그림 2. 타이밍 벨트
그림 3. 헤드 볼트 푸는 순서
그림 4. 엔진의 각 부품의 명칭
그림 5. 헤드 볼트 조우는 순서
그림 6. 플라스틱 게이지
그림 7. 플라스틱 게이지 커브
그림 8. SOHC와 DOHC 엔진의 차이점
본문내용
캡을 조립한다.
5 : 프론트 케이스를 조립한다.
6 : 오일 스트레이너와 오일팬을 조립한다.
7 : 실린더 헤드 가스킷을 깨끗이 닦고 물자켓 구멍과 오일 구멍을 확인한 다음 설치하고 실린더 헤드를 조립한다.
주의 : 헤더 볼트는 풀 때와 반대로 그림과 같이 중앙에서부터 대각선으로 바깥쪽을 향하여 3~4회 나누어서 규정토크로 조이도록 한다.
그림 5. 헤더 볼트 조이는 순서
8 : 캠축 스러스트 베어링 및 캠축과 로커암 어셈블리를 조립한다.
9 : 로커암 커버를 조립하고 캠축 스프라킷과 크랭크축 스프라킷을 조립한다.
10 : 워터펌프를 조립한다.
11 : 1번 실린더의 피스톤을 압축 상사점에 위치 시킨 후 캠축 스프라킷의 타이밍 마크를 일치시킨다.
12 : 크랭크축 스프라킷과 프론트 케이스의 타이밍 마크를 일치시킨다.
13 : 텐셔너를 장착하고 볼트를 임시로 조여준다.
14 : 텐셔너를 워터펌프 쪽으로 이동시켜 볼트를 임시로 고정하고 타이밍 벨트를 조립한다.
15 : 타이밍 벨트이 장력을 조절한다.
16 : 크랭크축 풀리와 워터펌프 풀리를 조립한다.
17 : 배기 다기관을 조립한다.
18 : 흡기 다기관을 조립한다.
5. 실습관련 내용의 이론 정리
① 실린더 헤드
실린더 블록의 상부에 위치하는 실린더 헤드는 실린더와 함께 반구형이나 쐐기형의 연소실을 형성하고 흡입배기통로를 개폐하는 밸브기구가 있는 부품이다. 또한 냉각수를 통하는 워트 재킷, 연소실에 불꽃을 튀기는 점화 플러그도 부착되어 있다. 실린더 헤드의 재질은 내열, 내압성이 요구되기 때문에 최근에는 알루미늄 합금제가 많이 쓰이고 있다. 디젤 엔진의 경우에는 주로 주철로 쓰는 경우가 많다. 알루미늄 합금의 경우 주철에 비해 열전도가 매우 좋기 때문에 연소실 온도를 낯출 수 있는 장점이 있는 반면 열팽창계수가 커서 변형이 생기기 쉽고 강도가 작은 결점이 있다. 따라서 밸브 가이드와 밸브시트는 별도의 재료로 만들어 끼워 사용하고 있다.
② 피스톤
피스톤을 실린더의 가운데를 왕복하여 팽창행정은 순간적으로는 2000℃ 이상으로도 되는 연소가스가 팽창하게 됨에 따라 최대 3~4톤 (터보엔진은 5톤)의 굉장한 힘을 받아 이것을 커넥팅 로드에 전달하는 운동을 한다.
따라서 피스톤에는 우선 왕복운동에 따라 발생하는 관성력을 작게 할 목적으로 가벼운 것, 다음으로 팽창력을 확실히 받아내는 것이 가능하도록 튼튼하게 열을 잘 전달, 열에 따라 형상이 변형되기 어려운 것이 필요하다.
가벼움과 튼튼함의 양쪽 모두를 도모할 목적으로 소재로서는 알루미늄이 사용되는 것이 보통이고, 알루미늄 함금을 주조하여 만든 것이 많고, 게다가 강도를 올려 치수변화를 작게 할 목적으로 열처리가 실시되고 있다.
피스톤의 윗부분은 피스톤헤드, 피스톤크라운 등으로 불리고, 실린더헤드와의 사이에 연소실을 형성하는 중요한 부분이다.
혼합기를 빠르게 연소시켜 연소효율을 좋게 하기 위해서는 이 부분이 평탄한 것이 바람직하지만, 압축비를 높일 목적으로 한가운데 부분이 솟아올라 있기도 하고, 흡배기밸브가 틀려 피스톤에 부딪치지 않도록 밸브리세스로 불리는 움푹한 곳이 붙어있기도 하여 복잡한 형상을 하고 있는 것도 있다.
피스톤의 아랫부분은 피스톤스커트로 불리고, 피스톤의 왕복운동을 안정시키는 운동을 하고 있다. 스커트의 앞이 일부 도려낸 것같이 되어 있는 것은 피스톤이 아래로 내려왔을 때 밸런스 웨이트가 이 부분을 지나가기 때문이다.
피스톤과 실린더 사이에는 틈새가 있다. 이 틈새는 피스톤링에 의해 밀봉되어 있지만, 피스톤 자체의 상하운동으로 스커트 부분이 실린더 벽에 부딪치는 것이 있다. 이것을 작게 하는 방법의 하나로 스커트의 형상 고안이 있다. 스커트는 가능한 한 짧은 것이 피스톤과의 마찰 및 접촉할 때의 음을 작게 하고, 그 부분 가벼워서 좋지만, 이렇게 하여 여분 움직임이 크게 되므로, 피스톤의 크기와 밸런스의 균형이 잡힌 것으로 되어가고 있다.
피스톤은 피스톤핀에 의해 커넥팅 로드와 연결되어 있어 피스톤이 받는 팽창력 대부분이 핀에 걸리게 되어 있다. 피스톤핀은 보통 중공으로 되어 있어 같은 중량이라면 외경이 큰 쪽이 굽힘에 대해서 강하지만, 그렇게 하면 핀이 들어가 있는 피스톤핀보스가 크게 되어, 결과로서 핀으로부터 피스톤헤드까지의 길이가 크게 되어 무겁게 되어 버리고 만다.
그렇게 한 것을 배려하여 핀은 피스톤 크기와 밸런스의 균형이 잡힌 굵기로 되어 있다.
③ 피스톤 링
피스톤 링의 3대 작용은 기밀작용, 열정도 작용 및 오일 제어 작용을 한다. 왕
5 : 프론트 케이스를 조립한다.
6 : 오일 스트레이너와 오일팬을 조립한다.
7 : 실린더 헤드 가스킷을 깨끗이 닦고 물자켓 구멍과 오일 구멍을 확인한 다음 설치하고 실린더 헤드를 조립한다.
주의 : 헤더 볼트는 풀 때와 반대로 그림과 같이 중앙에서부터 대각선으로 바깥쪽을 향하여 3~4회 나누어서 규정토크로 조이도록 한다.
그림 5. 헤더 볼트 조이는 순서
8 : 캠축 스러스트 베어링 및 캠축과 로커암 어셈블리를 조립한다.
9 : 로커암 커버를 조립하고 캠축 스프라킷과 크랭크축 스프라킷을 조립한다.
10 : 워터펌프를 조립한다.
11 : 1번 실린더의 피스톤을 압축 상사점에 위치 시킨 후 캠축 스프라킷의 타이밍 마크를 일치시킨다.
12 : 크랭크축 스프라킷과 프론트 케이스의 타이밍 마크를 일치시킨다.
13 : 텐셔너를 장착하고 볼트를 임시로 조여준다.
14 : 텐셔너를 워터펌프 쪽으로 이동시켜 볼트를 임시로 고정하고 타이밍 벨트를 조립한다.
15 : 타이밍 벨트이 장력을 조절한다.
16 : 크랭크축 풀리와 워터펌프 풀리를 조립한다.
17 : 배기 다기관을 조립한다.
18 : 흡기 다기관을 조립한다.
5. 실습관련 내용의 이론 정리
① 실린더 헤드
실린더 블록의 상부에 위치하는 실린더 헤드는 실린더와 함께 반구형이나 쐐기형의 연소실을 형성하고 흡입배기통로를 개폐하는 밸브기구가 있는 부품이다. 또한 냉각수를 통하는 워트 재킷, 연소실에 불꽃을 튀기는 점화 플러그도 부착되어 있다. 실린더 헤드의 재질은 내열, 내압성이 요구되기 때문에 최근에는 알루미늄 합금제가 많이 쓰이고 있다. 디젤 엔진의 경우에는 주로 주철로 쓰는 경우가 많다. 알루미늄 합금의 경우 주철에 비해 열전도가 매우 좋기 때문에 연소실 온도를 낯출 수 있는 장점이 있는 반면 열팽창계수가 커서 변형이 생기기 쉽고 강도가 작은 결점이 있다. 따라서 밸브 가이드와 밸브시트는 별도의 재료로 만들어 끼워 사용하고 있다.
② 피스톤
피스톤을 실린더의 가운데를 왕복하여 팽창행정은 순간적으로는 2000℃ 이상으로도 되는 연소가스가 팽창하게 됨에 따라 최대 3~4톤 (터보엔진은 5톤)의 굉장한 힘을 받아 이것을 커넥팅 로드에 전달하는 운동을 한다.
따라서 피스톤에는 우선 왕복운동에 따라 발생하는 관성력을 작게 할 목적으로 가벼운 것, 다음으로 팽창력을 확실히 받아내는 것이 가능하도록 튼튼하게 열을 잘 전달, 열에 따라 형상이 변형되기 어려운 것이 필요하다.
가벼움과 튼튼함의 양쪽 모두를 도모할 목적으로 소재로서는 알루미늄이 사용되는 것이 보통이고, 알루미늄 함금을 주조하여 만든 것이 많고, 게다가 강도를 올려 치수변화를 작게 할 목적으로 열처리가 실시되고 있다.
피스톤의 윗부분은 피스톤헤드, 피스톤크라운 등으로 불리고, 실린더헤드와의 사이에 연소실을 형성하는 중요한 부분이다.
혼합기를 빠르게 연소시켜 연소효율을 좋게 하기 위해서는 이 부분이 평탄한 것이 바람직하지만, 압축비를 높일 목적으로 한가운데 부분이 솟아올라 있기도 하고, 흡배기밸브가 틀려 피스톤에 부딪치지 않도록 밸브리세스로 불리는 움푹한 곳이 붙어있기도 하여 복잡한 형상을 하고 있는 것도 있다.
피스톤의 아랫부분은 피스톤스커트로 불리고, 피스톤의 왕복운동을 안정시키는 운동을 하고 있다. 스커트의 앞이 일부 도려낸 것같이 되어 있는 것은 피스톤이 아래로 내려왔을 때 밸런스 웨이트가 이 부분을 지나가기 때문이다.
피스톤과 실린더 사이에는 틈새가 있다. 이 틈새는 피스톤링에 의해 밀봉되어 있지만, 피스톤 자체의 상하운동으로 스커트 부분이 실린더 벽에 부딪치는 것이 있다. 이것을 작게 하는 방법의 하나로 스커트의 형상 고안이 있다. 스커트는 가능한 한 짧은 것이 피스톤과의 마찰 및 접촉할 때의 음을 작게 하고, 그 부분 가벼워서 좋지만, 이렇게 하여 여분 움직임이 크게 되므로, 피스톤의 크기와 밸런스의 균형이 잡힌 것으로 되어가고 있다.
피스톤은 피스톤핀에 의해 커넥팅 로드와 연결되어 있어 피스톤이 받는 팽창력 대부분이 핀에 걸리게 되어 있다. 피스톤핀은 보통 중공으로 되어 있어 같은 중량이라면 외경이 큰 쪽이 굽힘에 대해서 강하지만, 그렇게 하면 핀이 들어가 있는 피스톤핀보스가 크게 되어, 결과로서 핀으로부터 피스톤헤드까지의 길이가 크게 되어 무겁게 되어 버리고 만다.
그렇게 한 것을 배려하여 핀은 피스톤 크기와 밸런스의 균형이 잡힌 굵기로 되어 있다.
③ 피스톤 링
피스톤 링의 3대 작용은 기밀작용, 열정도 작용 및 오일 제어 작용을 한다. 왕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