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태리(이탈리아)의 연혁, 이태리(이탈리아)의 역사적 인물, 이태리(이탈리아)의 사회문화, 이태리(이탈리아)의 기후, 이태리(이탈리아)의 주요도시, 이태리(이탈리아)의 합리주의 건축, 이태리(이탈리아)의 광고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이태리(이탈리아)의 연혁, 이태리(이탈리아)의 역사적 인물, 이태리(이탈리아)의 사회문화, 이태리(이탈리아)의 기후, 이태리(이탈리아)의 주요도시, 이태리(이탈리아)의 합리주의 건축, 이태리(이탈리아)의 광고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이태리(이탈리아)의 연혁

Ⅲ. 이태리(이탈리아)의 역사적 인물

Ⅳ. 이태리(이탈리아)의 사회문화

Ⅴ. 이태리(이탈리아)의 기후

Ⅵ. 이태리(이탈리아)의 주요도시
1. 로마
2. 피렌체
3. 밀라노
4. 베네치아

Ⅶ. 이태리(이탈리아)의 합리주의 건축

Ⅷ. 이태리(이탈리아)의 광고
1. 광고 규모의 변화
2. 텔레비전 방송 체제
3. 광고체계
4. SIPRA
5. 광고요금
6. 광고규제

Ⅸ.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궁전이 완성된 것도 15세기였다. 16세기 이후, 투르크인에 의해 동부 지중해에서 세력이 약화되고, 따라서 베네치아는 점차 오늘날의 베네토주의 풍요한 농업지대의 중심 도시로서의 성격을 띠게 되었다. 도시경제의 쇠퇴와 페스트의 유행으로 16세기에는 인구가 10만으로 감소하였다. 1797년에는 나폴레옹 1세에 의해 점령되었고, 1866년에 이탈리아 왕국군에 점령되기까지 반 세기 이상은 오스트리아의 영토가 되었다.
19세기 후반부터 이탈리아 경제의 중심인 북부평야를 배후지로 하는 항구도시로 발전하였다. 상항은 서부의 철도역에 인접한 스타치오네 마리티마이나, 20세기에 들어와 대안에 공업항으로 마르게라가 건설됨으로써, 마르게라 메스트레 등 대안 지역이 근대공업지대로 발전하였다. 대안의 공업지구는 현재 행정적으로는 베네치아시에 포함되어 있고, 유리세공업으로 유명한 무라노섬, 국제영화제 개최지 및 해수욕장, 카지노 등으로 유명한 리도 등도 베네치아시에 포함된다. 베네치아의 구시가지는 지난날의 공화국 번영시대의 모습을 그대로 지니고 있고, 산마르코대성당 두칼레궁전 아카데미아미술관 등은 미술 건축예술의 보고로 알려져 있다. 베네치아는 로마 피렌체와 더불어 이탈리아의 중요한 관광지이다. 대학 및 시 동부의 현대미술전시장에서의 국제비엔날레, 리도의 국제영화제, 페니체극장에서의 음악 등 문화활동도 활발하다. 그러나 구시가지는 면적이 한정되어 있고, 현대생활에는 편리한 환경이 될 수 없으므로 대안부의 도시화가 현저하다. 대안부의 공업은 화학 기계공업이 중심이며, 공업항을 포함한 베네치아항의 취급물량은 이탈리아 제3위를 차지한다.
Ⅶ. 이태리(이탈리아)의 합리주의 건축
최초의 이태리 합리주의 건축작품은 트루코(G.M.Trucco)의 (1926-28)라고 볼 수 있는데, 초기 작품에서는 르 꼬르뷔제의 저서인 ‘새로운 건축을 향하여’(Vers Une Architecture)의 영향이 나타나고 있다. 특히 테라니의 계획안은 산업관계의 주제(공학적 미학)에 더욱 집착하는 경향이 있다.
또한 이태리 합리주의 건축은 1927년 미스의 에 참여, 1928년 이태리 C.I.A.M. 지부 창설, 1928-1931년 사이의 몬자, 에센, 미라노, 부다페스트, 로마 전시회를 통하여 국제적으로 인식되기 시작하였다.
1928년 3월과 4월에 걸쳐서 로마에서 ‘제 1회 합리주의 건축 전시회’가 개최되었다. 이 전시회는 로마의 억압적 환경에 대한 반발로써, 리베라와 미누찌(G.Minnucci)에 의하여 개최되었는데 여기에는 그루포 7외에도 42명의 건축가들이 참여하였다. 전시회의 카달로그 서문에서 미누찌와 리베라는 전통과 민족주의와 파시즘의 수사로 꾸며진 신건축을 주장하고 있다. 이 전시회에 출품된 주요작품에는 피지니와 폴리니의 , 프레테의 2개의 주거계획, 라르코와 라바의 지중해 양식의 호텔과 표현주의적인 우체국 계획안, 리베라의 전시회장 건물과 저소득층 주거, 사르토리스의 모듈을 사용한 계획안, 테라니의 , 트루코의 등이 있다.
국제적인 반응은 부정적이진 않았지만 비판적으로 이 전시회를 곧 소멸될 일시적인 경향으로 간주하였다.
이때에 그루포 7은 M.A.R.(Movimento Architecttura Razionale)을 결성하였고 리베라가 총 책임자였다. 그들의 주된 임무는 ‘제 2회 합리주의 건축 전시회’를 개최하는 것이었고, 1930년에는 47명의 회원들로 구성된 4개의 지부를 가진 공식 단체인 M.I.A.R.(Movimento Italiano per l\'Architecttura Razionale)을 정식 발족시켰다. 결성 이후 리베라는 주요도시에 세력을 펴고 파나노 같은 회원을 가입시켰고 결국 파시스트의 지지를 얻어내어 무솔리니는 1931년 ‘제 2회 합리주의 건축 전시회’를 개최하게 되었다.
1931년 ‘제 2회 합리주의 건축 전시회’가 ‘국립 건축가 연맹’(National Union of Architect)와 바르디(P.M.Bardi)의 후원으로 바르디의 Via Veneto회랑에서 M.I.A.R. 주관으로 개최되었다. 이때부터 밀라노의 합리주의 건축가들과 로마의 피아센티니를 중심으로한 보수적 건축가들 사이의 논란이 본격적으로 고조되기 시작하였다. 이러한 논란은 다음의 두 가지에 의하여 발단이 되었다.
첫째는 바르디에 의해 제작되어 전시회 당일 ‘무솔리니에의 건축보고’로써 제출된 ‘합리주의 건축 선언’(The Rationalist Manifesto)에 의한 것이다. 이 선언은 이태리 건축계의 독점권을 비난하고 있으며, 무솔리니에게 새로운 의미의 이태리적이고 지중해적인 근대성을 구체화 할 수 있는 대안으로써의 새로운 건축을 약속한 것으로 기회주의적 성격이 강하게 나타나고 있다. 결국 새로운 건축만이 파시즘의 혁명적 이념에 적합함을 강조하면서 전통주의자들을 공격하였고, 정치적 차원의 논란이 시작되었다.
둘째는 바르디의 합성사진인 의 전시인데, 여기에는 이태리의 지방적이고 토착적이고 전통적인 특징을 조롱하는 내용이 담겨 있고 피아센티니를 포함한 보수적인 로마 건축계를 비난하는 의미가 내포되어 있어서 그들을 분개시켰다.
‘제 2차 합리주의 건축 전시회’에 대한 반발은 피아센티니와 ‘국립 건축가 연맹’에 의해서 전시회 개최 3주 후에 발생하였고, 지금까지 지지하였던 작품을 거부하고 합리주의 건축이 파시즘의 수사적 요청과 양립할 수 없다고 공식적으로 선언하였다.
피아센티니는 노베첸토의 형이상학적 전통주의와 합리주의의 전위주의를 조정하여 절충주의적인 ‘관료양식’(Stile Littorio)을 지지했었고 그의 지위는 R.A.M.I.(Ragruppamento Architetti Moderni Italiani: 이태리 현대 건축가 부대)에 의해 더욱 강화되고 있었다. 결국 그들은 전통주의와 합리주의 모두를 배격하게 된다. 게다가 ‘국립 건축가 연맹’ 또한 M.I.A.R.에 대한 지지를 철회하고 R.A.M.I.를 지지함으로써 합리주의자들은 설곳을
  • 가격7,500
  • 페이지수14페이지
  • 등록일2013.08.08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7027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