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지][국제수지][경상수지][여행수지][관광수지][가계수지][무역수지][국제][여행][관광][가계][무역]국제수지, 경상수지, 여행수지(관광수지), 가계수지, 무역수지 분석(수지, 국제수지, 경상수지, 여행수지)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수지][국제수지][경상수지][여행수지][관광수지][가계수지][무역수지][국제][여행][관광][가계][무역]국제수지, 경상수지, 여행수지(관광수지), 가계수지, 무역수지 분석(수지, 국제수지, 경상수지, 여행수지)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국제수지
1. 총수요관리를 통한 거시경제안정
1) 총수요관리를 통하여 수입수요를 억제하고 물가안정을 이룩함으로써 실질실효환율이 절상되는 것을 방지할 필요가 있음
2) 총수요관리를 통한 물가안정은 요소비용과 환율의 안정에 가장 중요한 기여를 할 것으로 판단됨
3) 총수요관리는 물론 최근의 환율절하에 따른 물가압력을 해소하기 위해서도 통화
4) 최근 상승추세를 보이고 있는 부동산가격을 안정시키기 위한 적극적인 정책대응이 필요함
5) 환율은 외환시장의 수급상황을 반영할 수 있도록 여건을 조성함으로써 주요 외국환율과 교역조건의 변화 등에 의한 해외충격을 효과적으로 흡수할 수 있도록 유도
2. 임금안정과 소비건전화
1) 현재 약화된 경쟁력을 제고하기 위하여 단기적으로 임금안정을 적극 추진할 필요가 있음
2) 노동법 개정과 관련하여 정리해고 등에 대한 불안감을 완화하고 새로운 노동환경에 대한 근로자의 효과적인 적응을 유도하기 위하여 단기적으로 임금안정과 고용안정을 연계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임
3) 노동법 개정과 관련된 노사정간의 의견대립 등 단기적인 불안요인으로 인한 파업 발생을 가능한 사전에 방지할 필요
4) 기업의 생산활동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는 비용의 절감을 유도함으로써 수입억제와 수출채산성 제고 효과를 동시에 도모
5) 사치성 과소비를 억제하기 위하여 음성⋅탈루소득에 대한 과세를 강화하고 건전한 소비관행이 정착되도록 유도할 필요
3. 에너지소비 절약
1) 전체 에너지수입은 33% 이상의 증가세를 기록하였음
2) 이러한 막대한 에너지수입은 우리 경제의 에너지 해외의존도가 높고 중화학 위주의 산업구조로 인하여 에너지소비가 상대적으로 많다는 사실에 주로 기인하고 있음
3) 에너지 의존적 산업구조는 1980년대 초반 이후 지속된 저에너지가격 정책에도 상당 부분 기인한 것으로 판단됨
4) 에너지수입을 축소하기 위해서는 단기적으로도 에너지가격을 가능한 현실화함으로써 에너지는 비싼 것이라는 인식을 확산시킬 필요
5) 중장기적으로도 에너지소비세(가칭) 부과 등을 통해 향후 유가를 포함한 에너지가격을 점진적으로 현실화함으로써 에너지 효율성이 높은 생산체제로의 전환을 유도
4. 외국인 직접투자의 적극적 유치
5. 자본유입구조의 개선

Ⅱ. 경상수지

Ⅲ. 여행수지(관광수지)

Ⅳ. 가계수지
1. 도시근로자가구의 가계수지동향
2. 연간 도시근로자가구의 가계수지동향

Ⅴ. 무역수지

참고문헌

본문내용

미국과 캐나다 모두 소득과 환율에 의해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틴과 위트(Christine A. Martin and Stephen F. Witt)는 목적지 소비자 물가지수, 환율, 송출지 소비자 물가지수가 여행지출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하였다. 구나니와 보이(H. Gunadhi and C. K. Boey)는 소득과 쇼핑가격, 호텔가격이 중요한 결정요인이라고 밝히고 있다. 이샬과 크람톤(M. Uysal and J. L. Crompton)은 터이키의 여행수입을 예측하면서, 송출국의 여행지출은 송출국의 1인당 소득, 상대가격, 상대환율, 수용국의 판촉비용에 의해 영향을 받는 것으로 분석하였다.
WTO는 1963년 세계 73개국에 대해 각국의 1인당 외국여행소비액과 1인당 국민소득을 산출하여 그 관계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1인당 10%의 소득증가에 대해 외국여행소비액은 15%의 비율로 증가하고 있다는 것을 검정하였다.
Ⅳ. 가계수지
1. 도시근로자가구의 가계수지동향
4/4분기 도시근로자 가구 월평균 소득은 232만7천원으로 4/4분기에 비해 9.1% 증가하였으며, 이는 IMF이후 가장 큰 폭의 증가를 보였으며, 월평균 소비지출은 157만3천원으로 4/4분기에 비해 14.3% 증가하였으며, 이는 소득증가보다 높은 수준이다.
4/4분기 흑자율은 24.3%로 전년동기대비 2.4%p 감소, 평균소비성향은 75.7%로 2.4%p 증가하였다.
2. 연간 도시근로자가구의 가계수지동향
도시근로자가구 월평균소득은 222만5천원으로 전년대비 4.3% 증가하였으며, 이중 가구주 근로소득은 154만원으로 전년대비 3.0% 증가하였고, 배우자 근로소득은 0.8% 감소, 기타 가구원의 근로소득, 사업 및 부업소득, 재산소득, 이전소득이 크게 증가하여 가구소득에서 차지하는 가구주 근로소득의 비중이 70.7%에 69.2%로 전년도보다 0.8%p 하락하였다.
도시근로자가구 소비지출도 14만4천원으로 전년대비 13.5% 증가하였으며, 소비지출 비목별 특징을 보면, 교통통신비와 교양오락비의 증가율이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흑자율은 25.1%로 전년도보다 6.4%p 감소, 평균소비성향은 74.9%로 6.4%p 증가하였으며, 가구소득에서 비소비지출을 제외한 가처분소득은 196만8천원으로 전년대비 3.9% 증가하였고, 가처분소득에서 소비지출을 제외한 흑자액은 49만4천원으로 전년대비 17.2% 감소하였다.
가처분소득의 증가보다 소비지출의 증가폭이 더 커 평균소비성향은 증가하고 흑자율은 감소한 것으로 나타난 것이다.
한편, 소득 5분위별로 보면, 소득이 가장 낮은 계층인 1분위는 4.0% 증가, 소득이 가장 높은 계층인 5분위는 5.4% 증가하였다.
※ 외국의 GINI 계수
미국0.381, 이탈리아0.354, 호주0.334, 프랑스0.322, 캐나다0.312, 독일0.303
일본0.297, 벨지움0.287, 네덜란드0.285, 노르웨이0.268, 스웨덴0.256, 덴마크0.226
Ⅴ. 무역수지
우리나라의 무역규모(통관기준)를 살펴보면, 수출은 129,715백만 불로 전년대비 3.7%의 소폭 증가세를 보인 반면, 수입은 150,339백만 불로 11.3%의 증가세를 보임에 따라 무역수지는 적자폭이 전년보다 100억불 이상 확대된 20,624백만 불의 적자를 보였다. 이와 같이 1990년대 들어 우리나라의 무역적자가 지속되면서 그 규모가 점차 확대되는 모습을 보인 것이다.
구 분
수 출
수 입
무역수지
90
65,016(4.2)
69,844(13.6)
-4,828
94
71,870(10.5)
81,525(16.7)
-9,655
98
76,632(6.6)
81,775(0.3)
-5,144
02
82,236(7.3)
83,800(2.5)
-1,564
05
96,013(16.8)
102,348(22.1)
-6,335
09
125,058(30.3)
135,119(32.0)
-10,061
12
129,715(3.7)
150,339(11.3)
-20,624
우리나라의 수출은 129,715백만 불로 3.7%가 증가한 반면에 수입은 150,339백만 불로 11.3%가 증가하여 무역수지는 전년비 10,563백만 불이 확대된 20,624백만 불의 적자를 기록하였다.
수출의 경우 신장세가 크게 확대(7.3%→16.8%→30.3%)되었으며, 1/4분기에도 이러한 추세가 지속되면서 전년동기비 20.3%의 높은 증가세가 유지되었으나, 2/4분기 이후 반도체, 석유화학제품, 철강 등 주력 수출품목의 국제가격 하락으로 인한 수출감소, 엔화의 대미달러 환율이 원화의 대미달러 환율보다 빠른 속도로 절하된데 따른 가격경쟁력 약화 등으로 신장세가 크게 둔화되면서 연간 3.7%가 증가하는데 그침으로서 지난해보다 증가율이 크게 둔화되었다.
수입의 경우 연초의 지속적인 혹한에 따른 난방연료 소비수요의 급증 및 유가상승에 따른 석유류 수입증가와 그간의 경제호황에 따른 소비수요의 고급화 다양화로 인한 소비재 수입의 증가 등의 영향으로 전체적으로 11.3%가 증가하면서 수출증가율을 큰 폭으로 상회하였다.
무역수지의 경우 90년대 들어서는 3저(저 달러, 저유가, 저금리) 퇴조로 인한 수출여건의 악화로 수출이 둔화된데 기인하여 적자 추세가 지속되었다. 특히, 수출 및 내수확대에 따른 설비투자재 및 소비재 수요의 팽창으로 수입이 수출보다 큰 폭으로 확대됨에 따라 적자규모도 처음으로 100억불을 넘어섰다.
또한, 수출이 큰 폭으로 둔화되었음에도 불구하고 그간의 고성장에 따른 소비수요 확대로 소비재 수입이 총수입증가율을 큰 폭으로 상회한데다 생산능력 확충을 위한 자본재 수입도 높은 증가율을 기록함에 따라 무역수지 적자는 200억불을 넘어섰다.
참고문헌
김철환(2010), 환율이론과 국제수지, 시그마프레스
이민환(2011), 한국 무역수지에 대한 환율의 동태적 효과 분석, 한국국제경제학회
이소영(2011), 가계부채 현황 및 추이와 시사점, 한국경제연구원
장병기(2009), 산업별 무역수지의 환율민감성, 한국국제통상학회
정병우(2000), 여행수지의 변동요인에 관한 실증분석, 한국경제통상학회
편집부(1998), 경상수지 개선방안, 산업연구원
  • 가격6,500
  • 페이지수13페이지
  • 등록일2013.08.09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7040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