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라면의 어원
Ⅲ. 라면의 위험요소
1. 영양 불균형
2. 과도한 염분 함량
3. 튀김 기름의 문제
4. 용기의 환경호르몬 문제
5. 수입 밀가루, 의심스러운 스프재료, 화학조미료
Ⅳ. 라면의 일화
1. 망할놈의 지옥라면
2. 다이아나비에게는 죽어도 팔 수 없는 라면
Ⅴ. 라면의 꼬불꼬불한 이유
Ⅵ. 라면의 제품 사례
1. 안성탕면
2. 신라면
3. 올리브 짜파게티
4. 무파마탕면
Ⅶ. 라면과 다른 면요리
1. 우동vs라면
2. 코에 걸린 코걸이
3. 라면과 짬뽕 사이
Ⅷ. 결론
참고문헌
Ⅱ. 라면의 어원
Ⅲ. 라면의 위험요소
1. 영양 불균형
2. 과도한 염분 함량
3. 튀김 기름의 문제
4. 용기의 환경호르몬 문제
5. 수입 밀가루, 의심스러운 스프재료, 화학조미료
Ⅳ. 라면의 일화
1. 망할놈의 지옥라면
2. 다이아나비에게는 죽어도 팔 수 없는 라면
Ⅴ. 라면의 꼬불꼬불한 이유
Ⅵ. 라면의 제품 사례
1. 안성탕면
2. 신라면
3. 올리브 짜파게티
4. 무파마탕면
Ⅶ. 라면과 다른 면요리
1. 우동vs라면
2. 코에 걸린 코걸이
3. 라면과 짬뽕 사이
Ⅷ.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는 420 칼로리 내외의 열량이 들어 있다. 이 중 탄수화물이 65그램, 단백질 9그램, 지망이 14그램이다. 밀가루 반죽을 기름에 튀겼기 때문에 단백질은 부족하고 야채스프에 들어있는 비타민과 무기질은 가공 과정을 거치면서 상당 부분 파괴되어, 영양이 고르지 못한 식품이다.
2. 과도한 염분 함량
소금을 과다 섭취할 경우 소금의 주요 구성요소인 나트륨으로 인해 고혈압, 심장병, 뇌졸중, 성인병을 유발할 우려가 있다. 특히 어린이의 경우 콩팥의 미성숙으로 배설기능이 떨어져 신부전에 빠져 사망할 수도 있다. 라면은 평균 2.7그램의 나트륨을 함유하고 있고 이러한 양은 성인 1일 나트륨 제한량의 2/3에 해당한다. 염분을 과잉 섭취하면 나트륨성분이 소변으로 빠져 나오면서 칼슘을 같이 바지게 하여 칼슘 부족 현상이 오기 마련이다.
3. 튀김 기름의 문제
89년 \'공업용 유지 파동\'이후 라면용 튀김기름은 우지 대신 식물성 팜유로 대체되었고, 일부 업체에서는 콩기름을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팜유는 식물성이기는 하지만 몸에 해로운 \'포화지방산\'이 50%나 차지하고 있어서 45%인 소고기 지방보다 오히려 높다. 또 라면에 쓰이는 콩기름은 유통과정에서 변질되지 않도록 수소를 첨가하기 때문에 우리 역시 알고 있는 식용유보다 포화지방산이 훨씬 많아진다. 식용유 자체도 원료인 수입 콩에 문제가 있는데 라면에 쓰이는 콩기름은 보통 식용유보다 훨씬 더 위험성이 많은 것이다.
4. 용기의 환경호르몬 문제
사발면, 컵라면 용기에 물을 넣고 전자렌지에 넣어 돌리거나, 뜨거운 물을 넣고 20분정도 좋아 두면 컵라면 용기인 발포스티로폴의 원료 \'스틸렌( Stylene )\'으로부터 생식기능 등을 저하시키는 환경호르몬 물질 \'스티렌다이머\' 와 \'스티렌트리머\'가 나온다는 것이 밝혀졌다. 일부 기업에서는 종이컵 용기를 사용하고 있지만 이것 역시 용기 내부를 비닐 코팅하기 때문에 환경호르몬의 위험은 마찬가지이다.
5. 수입 밀가루, 의심스러운 스프재료, 화학조미료
라면의 주원료가 수입 밀가루 인데다가 면을 쫄깃쫄깃하게 만들기 위해 면류 알칼리제를 첨가한다. 게다가 맛있는 색을 내기 위해 다양한 착색제가 사용되며, 산화방지를 위한 명목으로 튀기는 기름에 산화방지제를 넣는다. 또 여러 가지 맛을 내기 위해 조미료 또한 많이 첨가 된다. 그리고 라면의 스프에는 2그램 정도의 화학조미료가 들어가는데 세계보건기구가 어른의 하루 조미료 섭취를 3-5그램으로 제한하는 점에 비추어 보면 아이들이 한 끼 식사로 먹이에는 지나칠 정도로 많은 양이다. 또한 라면 스프의 재료에 들어가는 각종 건조 야채류는 대부분 값이 저렴하다는 이유로 중국에서 수입된 농약오염 재료가 들어간다. 그리고 국내산이라고 표기되어 있는 것도 있지만 국내산 원료의 경우도 상태가 좋지 않은 것을 쓰고 있다고 보아. 결코 안심할 수 없다.
Ⅳ. 라면의 일화
1. 망할놈의 지옥라면
재수라면 몰라도 3수까지 한 학생에겐 뭐가 있어도 있는 게다. 21세에 동경대와 더불어 일본 최고라는 교토(京都)대학에 입학한 야마가미 코(山上 浩). 그러나 대학 2학년 때 학업을 중단하고 배낭여행을 떠나더니 26세가 되어서야 돌아왔다. 화가 머리 끝까지 치민 그의 부모가 야마가미를 친척이 경영하는 라면집으로 쫓아 버렸다. 동경 시부야에 있는 이 라면집은 손님보다 파리가 더 많은 그저 그런 가게였다.
야마가미의 부모는 「1. 라면집이 망하거나, 2. 친척이 죽거나, 3. 대지진으로 라면집이 무너졌을 때」만 집에 돌아올 수 있다고 엄포를 놓았다. 불행히도 그 친척은 지난 20년간 1시간씩 하루도 조깅을 거르지 않은 사람인지라 총칼 없이는 어림도 없어 보였다. 또한 지질학자들의 예상에 의하면 아직 대지진은 너무 멀리 있었다. 노벨상을 여럿 배출한 교토대 학생답게 가장 확률이 높은 제1항을 실현시키는데 주력했다. 게다가 행운도 따랐다. 조깅을 하던 친척이 빙판에 미끄러지면서 야마가미에게 무려 한 달의 시간을 제공했다. 주방을 꿰찬 야마가미는 일본인 식성에 맞지 않는 매운양념을 스프에 듬뿍 집어 넣었다. 붉다 못해 아예 검붉은 이 라면의 이름이 「지옥라면」.
친척이 기르던 고양이가 스프를 시식한 직후 기절하는 것을 보고 성공을 확신했지만, 아예 끝장을 보려 했는지 이런 프랙카드를 내걸었다. 「지옥라면을 먹다 남길 경우 설거지를 해야 한다」 손님이 올 리가 없었으며, 머지않아 집에 돌아갈 수 있을 것처럼 보였다.
그러나 호기심 많은 어떤 TV방송사가 지옥라면을 소개하면서 얘기가 달라진다.
2. 과도한 염분 함량
소금을 과다 섭취할 경우 소금의 주요 구성요소인 나트륨으로 인해 고혈압, 심장병, 뇌졸중, 성인병을 유발할 우려가 있다. 특히 어린이의 경우 콩팥의 미성숙으로 배설기능이 떨어져 신부전에 빠져 사망할 수도 있다. 라면은 평균 2.7그램의 나트륨을 함유하고 있고 이러한 양은 성인 1일 나트륨 제한량의 2/3에 해당한다. 염분을 과잉 섭취하면 나트륨성분이 소변으로 빠져 나오면서 칼슘을 같이 바지게 하여 칼슘 부족 현상이 오기 마련이다.
3. 튀김 기름의 문제
89년 \'공업용 유지 파동\'이후 라면용 튀김기름은 우지 대신 식물성 팜유로 대체되었고, 일부 업체에서는 콩기름을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팜유는 식물성이기는 하지만 몸에 해로운 \'포화지방산\'이 50%나 차지하고 있어서 45%인 소고기 지방보다 오히려 높다. 또 라면에 쓰이는 콩기름은 유통과정에서 변질되지 않도록 수소를 첨가하기 때문에 우리 역시 알고 있는 식용유보다 포화지방산이 훨씬 많아진다. 식용유 자체도 원료인 수입 콩에 문제가 있는데 라면에 쓰이는 콩기름은 보통 식용유보다 훨씬 더 위험성이 많은 것이다.
4. 용기의 환경호르몬 문제
사발면, 컵라면 용기에 물을 넣고 전자렌지에 넣어 돌리거나, 뜨거운 물을 넣고 20분정도 좋아 두면 컵라면 용기인 발포스티로폴의 원료 \'스틸렌( Stylene )\'으로부터 생식기능 등을 저하시키는 환경호르몬 물질 \'스티렌다이머\' 와 \'스티렌트리머\'가 나온다는 것이 밝혀졌다. 일부 기업에서는 종이컵 용기를 사용하고 있지만 이것 역시 용기 내부를 비닐 코팅하기 때문에 환경호르몬의 위험은 마찬가지이다.
5. 수입 밀가루, 의심스러운 스프재료, 화학조미료
라면의 주원료가 수입 밀가루 인데다가 면을 쫄깃쫄깃하게 만들기 위해 면류 알칼리제를 첨가한다. 게다가 맛있는 색을 내기 위해 다양한 착색제가 사용되며, 산화방지를 위한 명목으로 튀기는 기름에 산화방지제를 넣는다. 또 여러 가지 맛을 내기 위해 조미료 또한 많이 첨가 된다. 그리고 라면의 스프에는 2그램 정도의 화학조미료가 들어가는데 세계보건기구가 어른의 하루 조미료 섭취를 3-5그램으로 제한하는 점에 비추어 보면 아이들이 한 끼 식사로 먹이에는 지나칠 정도로 많은 양이다. 또한 라면 스프의 재료에 들어가는 각종 건조 야채류는 대부분 값이 저렴하다는 이유로 중국에서 수입된 농약오염 재료가 들어간다. 그리고 국내산이라고 표기되어 있는 것도 있지만 국내산 원료의 경우도 상태가 좋지 않은 것을 쓰고 있다고 보아. 결코 안심할 수 없다.
Ⅳ. 라면의 일화
1. 망할놈의 지옥라면
재수라면 몰라도 3수까지 한 학생에겐 뭐가 있어도 있는 게다. 21세에 동경대와 더불어 일본 최고라는 교토(京都)대학에 입학한 야마가미 코(山上 浩). 그러나 대학 2학년 때 학업을 중단하고 배낭여행을 떠나더니 26세가 되어서야 돌아왔다. 화가 머리 끝까지 치민 그의 부모가 야마가미를 친척이 경영하는 라면집으로 쫓아 버렸다. 동경 시부야에 있는 이 라면집은 손님보다 파리가 더 많은 그저 그런 가게였다.
야마가미의 부모는 「1. 라면집이 망하거나, 2. 친척이 죽거나, 3. 대지진으로 라면집이 무너졌을 때」만 집에 돌아올 수 있다고 엄포를 놓았다. 불행히도 그 친척은 지난 20년간 1시간씩 하루도 조깅을 거르지 않은 사람인지라 총칼 없이는 어림도 없어 보였다. 또한 지질학자들의 예상에 의하면 아직 대지진은 너무 멀리 있었다. 노벨상을 여럿 배출한 교토대 학생답게 가장 확률이 높은 제1항을 실현시키는데 주력했다. 게다가 행운도 따랐다. 조깅을 하던 친척이 빙판에 미끄러지면서 야마가미에게 무려 한 달의 시간을 제공했다. 주방을 꿰찬 야마가미는 일본인 식성에 맞지 않는 매운양념을 스프에 듬뿍 집어 넣었다. 붉다 못해 아예 검붉은 이 라면의 이름이 「지옥라면」.
친척이 기르던 고양이가 스프를 시식한 직후 기절하는 것을 보고 성공을 확신했지만, 아예 끝장을 보려 했는지 이런 프랙카드를 내걸었다. 「지옥라면을 먹다 남길 경우 설거지를 해야 한다」 손님이 올 리가 없었으며, 머지않아 집에 돌아갈 수 있을 것처럼 보였다.
그러나 호기심 많은 어떤 TV방송사가 지옥라면을 소개하면서 얘기가 달라진다.
추천자료
한국, 일본, 중국 동아시아 3국의 라면 및 라면산업의 전망 역사와 유래 마케팅믹스 SWOT STP...
농심신라면블랙마케팅전략,신라면블랙,신라면블랙마케팅전략,프리미엄전략,농심마케팅전략,농...
농심,농심신라면,신라면,신라면마케팅,농심신라면마케팅,신라면분석,신라면중국진출,신라면중...
신라면마케팅전략,농심신라면,신라면분석,신라면해외진출,농심마케팅전략.농심해외마케팅
신라면마케팅전략,신라면경영전략,신라면중국마케팅전략,중국시장라면진출,중국시장마케팅
농심신라면,신라면,신라면중국진출,중국라면시장,신라면중국,신라면중국시장,신라면성공요인,...
일본의 음식문화에 관하여 조사 했습니다
신(辛)라면블랙 마케팅실패 전략분석 및 신라면블랙 재도약을 위한 개선전략 제안 PPT자료
[맛있는 면요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