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초인지(메타인지, 상위인지)의 개념
Ⅲ. 초인지(메타인지, 상위인지)의 종류
1. 초인지(metacongnition)
2. 초인지적 지식
3. 초인지적 자기-조정
4. 초인지적 인식
Ⅳ. 초인지(메타인지, 상위인지)의 전략
Ⅴ. 초인지(메타인지, 상위인지)의 적용
1. 초인지 활동 카드 이용
2. 각종 전기 실험 실시
Ⅵ. 초인지(메타인지, 상위인지)의 학습모형
1. 선개념 확인 단계
2. 인지갈등 유발 단계
3. 개념 도입단계
1) 개념을 분명히 한다
2) 새 개념을 확인시킨다
3) 평가해 볼 기회를 주어야 한다
4. 개념의 적용 및 정리단계
Ⅶ. 초인지(메타인지, 상위인지)와 정신지체아 사례
1. 정신지체아의 덧셈․뺄셈학습에 있어서 자기교시훈련은 설명적교수보다 효과적이었다
2. 정신지체아의 덧셈․뺄셈학습에 있어서 자기교시훈련은 충동적 학생에게 효과적이다
3. 정신지체아의 덧셈․뺄셈학습에 있어서 자기교시훈련은 언어능력 수준에 따른 통계적 유의차는 없었다
4. 정신지체아 덧셈․뺄셈학습에 있어서 자기교시훈련은 지식기반이 낮은 학생에게 효과적이었다
5. 정신지체아의 덧셈․뺄셈학습에 있어서 자기교시훈련은 전략의 일반화에도 효과적이었다
Ⅷ. 결론
참고문헌
Ⅱ. 초인지(메타인지, 상위인지)의 개념
Ⅲ. 초인지(메타인지, 상위인지)의 종류
1. 초인지(metacongnition)
2. 초인지적 지식
3. 초인지적 자기-조정
4. 초인지적 인식
Ⅳ. 초인지(메타인지, 상위인지)의 전략
Ⅴ. 초인지(메타인지, 상위인지)의 적용
1. 초인지 활동 카드 이용
2. 각종 전기 실험 실시
Ⅵ. 초인지(메타인지, 상위인지)의 학습모형
1. 선개념 확인 단계
2. 인지갈등 유발 단계
3. 개념 도입단계
1) 개념을 분명히 한다
2) 새 개념을 확인시킨다
3) 평가해 볼 기회를 주어야 한다
4. 개념의 적용 및 정리단계
Ⅶ. 초인지(메타인지, 상위인지)와 정신지체아 사례
1. 정신지체아의 덧셈․뺄셈학습에 있어서 자기교시훈련은 설명적교수보다 효과적이었다
2. 정신지체아의 덧셈․뺄셈학습에 있어서 자기교시훈련은 충동적 학생에게 효과적이다
3. 정신지체아의 덧셈․뺄셈학습에 있어서 자기교시훈련은 언어능력 수준에 따른 통계적 유의차는 없었다
4. 정신지체아 덧셈․뺄셈학습에 있어서 자기교시훈련은 지식기반이 낮은 학생에게 효과적이었다
5. 정신지체아의 덧셈․뺄셈학습에 있어서 자기교시훈련은 전략의 일반화에도 효과적이었다
Ⅷ.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 정의에 대한 정리는 이 때 가능하다. 개념을 도입할 때에는 특히 유의할 사항이 있다.
1) 개념을 분명히 한다
무게와 압력, 열과 온도, 힘과 에너지 등 많이 사용되고 있지만 두리 뭉실하고 명백하지 않은 어휘들을 교사는 잘 구별해서 사용해야 한다.
2) 새 개념을 확인시킨다
직관적 개념에 대응하여 새로운 개념을 받아들이도록 개념적인 다리 역할을 하는 실험을 한다. 사고 실험과 실제 실험이 모두 해당되는데 이것이 비유이다.
3) 평가해 볼 기회를 주어야 한다
학생에게 새 개념과 선 개념의 한계와 문제를 평가해 볼 기회를 주어야 한다(Driver & Leach, 1993; 권난주, 1994에서 재인용).
4. 개념의 적용 및 정리단계
새로운 과학적 개념이 실생활에 활용되는 예를 찾아보고 실험관찰책을 통해 개념을 정리한다.
Ⅶ. 초인지(메타인지, 상위인지)와 정신지체아 사례
1. 정신지체아의 덧셈뺄셈학습에 있어서 자기교시훈련은 설명적교수보다 효과적이었다
이것은 몇 가지 관점에서 그 이유를 추론해 볼 수 있는데 먼저 자기교시훈련을 통하여 이들이 과제해결에 필요한 전략을 사용하도록 지도했기 때문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전략사용에 결함이 있는 정신지체아에게 자기교시훈련을 통하여 행동에 대한 단서를 제공해 줌으로써 이들이 과제해결에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지도했기 때문이라고 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결과는 자기교시훈련이 정신지체아의 덧셈뺄셈학습 수행을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이라고 주장한 Leonrhk & Pepe(1983) 그리고 Johnston & Whitman(1983)의 연구결과와 일치한다.
2. 정신지체아의 덧셈뺄셈학습에 있어서 자기교시훈련은 충동적 학생에게 효과적이다
이것은 충동적 학생이 학습에 곤란을 일으키는 원인을 비효율적인 정보처리와 충동성에 기인한다는 입장(Ault,1973)에서 볼 때 자기교시훈련을 통하여 이들의 충동서이 억제되고 사려성이 증가되어 보다 성숙된 정보처리를 할 수 있었기 때문이라고 설명 할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자기교시훈련이 충동성을 억제시키고 과제 해결력을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이라는 Meichenbaum(1977)의 입장을 지지한다.
3. 정신지체아의 덧셈뺄셈학습에 있어서 자기교시훈련은 언어능력 수준에 따른 통계적 유의차는 없었다
통계적인 차이는 없었지만 집단간 평균점수의 차이를 비교해 보면 설명적 교수집단은 언어능력 수준에 따른 점수 차가 여전히 큰 것에 반해 자기교시 훈련집단은 언어능력수준에 따른 점수 차가 전혀 없었다.
이것은 자기교시훈련을 통하여 언어능력이 낮은 학생의 덧셈뺄셈점수가 언어능력이 높은 학생의 수준만큼 향상되었음을 나타내는 것이다.
이러한 결과는 자기교시훈련이 언어능력이 낮은 학생에게 효과적 일 것이라는 Asarnow & Meichenbaum(1979)의 입장을 지지한다.
4. 정신지체아 덧셈뺄셈학습에 있어서 자기교시훈련은 지식기반이 낮은 학생에게 효과적이었다
이것은 자기교시훈련을 통하여 지식기반이 낮은 학생에게 언어적 단서를 제공함으로써 새로운 정보를 현존의 지식구조에 통합시킬 수 있다는 Whitman & Johnston(1984)의 입장을 지지한다.
또한 뺄셈에서는 지식기반이 낮은 학생의 점수가 지식기반이 높은 학생보다 더 높게 나타났다. 이것은 지식기반이 낮은 학생의 경우에는 자기교시훈련을 잘 수용하였으나 지식기반이 높은 학생의 경우에는 기존의 전략을 사용하여 과제를 해결하거나 자기교시훈련이 기존의 전략에 간섭을 일으켜 오히려 수행을 방해하였기 때문이라고 추론 할 수도 있다.
5. 정신지체아의 덧셈뺄셈학습에 있어서 자기교시훈련은 전략의 일반화에도 효과적이었다
이것은 Meichenbaum(1980)의 입장에서 볼 때 자기교시훈련을 통하여 이들의 초인지 기능이 향상되었기 때문이라고 할 수 도 있을 것이다.
이러한 결과는 읽기와 덧셈뺄셈학습에서 자기교시훈련을 사용하여 전략의 일반화효과를 검증한 Swansow & Scarpati(1984)의 연구결과와도 일치한다.
Ⅷ. 결론
우리나라에서는 국민의 수만큼 교육정책에 대한 다른 견해가 존재한다고들 한다. 그 만큼 교육정책에 대하여 다양한 의견들이 공론화 과정을 통하여 수렴되지 못한 채 교육 정책은 표류하고 있고 교육정책을 둘러싼 사회 집단간의 갈등은 골이 깊어져만 가고 있다. 이러한 교육정책에 대한 이견의 괴리는 교사, 학생, 학부모, 정책담당자 간에서 뿐만 아니라, 각각의 집단 내에서도(교사들 내에서 전교조와 교총의 입장이 많은 부문에서 첨예하게 대립되는 것과 같이) 악화되고 있는 것처럼 보인다.
이러한 가운데 우리나라의 학교와 대학들과 선진국의 교육기관들과의 격차는 더욱 더 커지고 있다. 우리의 기업들이 외국의 초일류 기업들과 어깨를 나란히 경쟁하고 있는 상황에서 왜 우리의 학교와 대학들에 대한 학생과 학부모의 불만은 커져만 가고 있는가? 우리나라에서도 일류 학교와 대학이 출현할 수 있고 대다수의 국민들에게 질 높은 교육을 받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우리의 교육 시스템을 어떻게 재구축하여야 할 것인가? 본고에서는 이러한 핵심적 문제에 대한 해답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교육경제학의 원리를 일반적으로 교육에 있어서 비용 절감을 위한 논리로 비판하는 경우가 많지만, 실제로 경제학을 교육 부문에 적용하면서 가장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는 분야는 우리의 교육 시스템에 있어서 가장 근본적인 작동 원리를 점검하고 이것이 문제가 있을 경우 새로운 교육 시스템을 제시하는 것이다.
참고문헌
▷ 김병렬(2003), 초인지 수업 전략을 적용한 과학수업이 초등학교 아동들에게 미치는 효과, 부산교육대학교
▷ 김윤옥(2012), 학습전략 교수방법에 있어서 초인지 자동화와 피드백 제공의 효과, 학습전략중재학회
▷ 박연실(2001), 초인지, 목표지향성, 자기효능감과 학업성취와의 관계분석, 서울여자대학교
▷ 설명옥(2004), 효과적인 영어독해 지도법 연구 : 초인지 점검기법을 중심으로, 단국대학교
▷ 이현정(2008), 읽기이해 능력에 따른 청각장애 학생의 초인지 전략 특성 연구, 단국대학교
▷ 한영옥(1996), 초인지 학습 전략이 독해력과 초인지 및 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한국교원대학교
1) 개념을 분명히 한다
무게와 압력, 열과 온도, 힘과 에너지 등 많이 사용되고 있지만 두리 뭉실하고 명백하지 않은 어휘들을 교사는 잘 구별해서 사용해야 한다.
2) 새 개념을 확인시킨다
직관적 개념에 대응하여 새로운 개념을 받아들이도록 개념적인 다리 역할을 하는 실험을 한다. 사고 실험과 실제 실험이 모두 해당되는데 이것이 비유이다.
3) 평가해 볼 기회를 주어야 한다
학생에게 새 개념과 선 개념의 한계와 문제를 평가해 볼 기회를 주어야 한다(Driver & Leach, 1993; 권난주, 1994에서 재인용).
4. 개념의 적용 및 정리단계
새로운 과학적 개념이 실생활에 활용되는 예를 찾아보고 실험관찰책을 통해 개념을 정리한다.
Ⅶ. 초인지(메타인지, 상위인지)와 정신지체아 사례
1. 정신지체아의 덧셈뺄셈학습에 있어서 자기교시훈련은 설명적교수보다 효과적이었다
이것은 몇 가지 관점에서 그 이유를 추론해 볼 수 있는데 먼저 자기교시훈련을 통하여 이들이 과제해결에 필요한 전략을 사용하도록 지도했기 때문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전략사용에 결함이 있는 정신지체아에게 자기교시훈련을 통하여 행동에 대한 단서를 제공해 줌으로써 이들이 과제해결에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지도했기 때문이라고 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결과는 자기교시훈련이 정신지체아의 덧셈뺄셈학습 수행을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이라고 주장한 Leonrhk & Pepe(1983) 그리고 Johnston & Whitman(1983)의 연구결과와 일치한다.
2. 정신지체아의 덧셈뺄셈학습에 있어서 자기교시훈련은 충동적 학생에게 효과적이다
이것은 충동적 학생이 학습에 곤란을 일으키는 원인을 비효율적인 정보처리와 충동성에 기인한다는 입장(Ault,1973)에서 볼 때 자기교시훈련을 통하여 이들의 충동서이 억제되고 사려성이 증가되어 보다 성숙된 정보처리를 할 수 있었기 때문이라고 설명 할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자기교시훈련이 충동성을 억제시키고 과제 해결력을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이라는 Meichenbaum(1977)의 입장을 지지한다.
3. 정신지체아의 덧셈뺄셈학습에 있어서 자기교시훈련은 언어능력 수준에 따른 통계적 유의차는 없었다
통계적인 차이는 없었지만 집단간 평균점수의 차이를 비교해 보면 설명적 교수집단은 언어능력 수준에 따른 점수 차가 여전히 큰 것에 반해 자기교시 훈련집단은 언어능력수준에 따른 점수 차가 전혀 없었다.
이것은 자기교시훈련을 통하여 언어능력이 낮은 학생의 덧셈뺄셈점수가 언어능력이 높은 학생의 수준만큼 향상되었음을 나타내는 것이다.
이러한 결과는 자기교시훈련이 언어능력이 낮은 학생에게 효과적 일 것이라는 Asarnow & Meichenbaum(1979)의 입장을 지지한다.
4. 정신지체아 덧셈뺄셈학습에 있어서 자기교시훈련은 지식기반이 낮은 학생에게 효과적이었다
이것은 자기교시훈련을 통하여 지식기반이 낮은 학생에게 언어적 단서를 제공함으로써 새로운 정보를 현존의 지식구조에 통합시킬 수 있다는 Whitman & Johnston(1984)의 입장을 지지한다.
또한 뺄셈에서는 지식기반이 낮은 학생의 점수가 지식기반이 높은 학생보다 더 높게 나타났다. 이것은 지식기반이 낮은 학생의 경우에는 자기교시훈련을 잘 수용하였으나 지식기반이 높은 학생의 경우에는 기존의 전략을 사용하여 과제를 해결하거나 자기교시훈련이 기존의 전략에 간섭을 일으켜 오히려 수행을 방해하였기 때문이라고 추론 할 수도 있다.
5. 정신지체아의 덧셈뺄셈학습에 있어서 자기교시훈련은 전략의 일반화에도 효과적이었다
이것은 Meichenbaum(1980)의 입장에서 볼 때 자기교시훈련을 통하여 이들의 초인지 기능이 향상되었기 때문이라고 할 수 도 있을 것이다.
이러한 결과는 읽기와 덧셈뺄셈학습에서 자기교시훈련을 사용하여 전략의 일반화효과를 검증한 Swansow & Scarpati(1984)의 연구결과와도 일치한다.
Ⅷ. 결론
우리나라에서는 국민의 수만큼 교육정책에 대한 다른 견해가 존재한다고들 한다. 그 만큼 교육정책에 대하여 다양한 의견들이 공론화 과정을 통하여 수렴되지 못한 채 교육 정책은 표류하고 있고 교육정책을 둘러싼 사회 집단간의 갈등은 골이 깊어져만 가고 있다. 이러한 교육정책에 대한 이견의 괴리는 교사, 학생, 학부모, 정책담당자 간에서 뿐만 아니라, 각각의 집단 내에서도(교사들 내에서 전교조와 교총의 입장이 많은 부문에서 첨예하게 대립되는 것과 같이) 악화되고 있는 것처럼 보인다.
이러한 가운데 우리나라의 학교와 대학들과 선진국의 교육기관들과의 격차는 더욱 더 커지고 있다. 우리의 기업들이 외국의 초일류 기업들과 어깨를 나란히 경쟁하고 있는 상황에서 왜 우리의 학교와 대학들에 대한 학생과 학부모의 불만은 커져만 가고 있는가? 우리나라에서도 일류 학교와 대학이 출현할 수 있고 대다수의 국민들에게 질 높은 교육을 받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우리의 교육 시스템을 어떻게 재구축하여야 할 것인가? 본고에서는 이러한 핵심적 문제에 대한 해답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교육경제학의 원리를 일반적으로 교육에 있어서 비용 절감을 위한 논리로 비판하는 경우가 많지만, 실제로 경제학을 교육 부문에 적용하면서 가장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는 분야는 우리의 교육 시스템에 있어서 가장 근본적인 작동 원리를 점검하고 이것이 문제가 있을 경우 새로운 교육 시스템을 제시하는 것이다.
참고문헌
▷ 김병렬(2003), 초인지 수업 전략을 적용한 과학수업이 초등학교 아동들에게 미치는 효과, 부산교육대학교
▷ 김윤옥(2012), 학습전략 교수방법에 있어서 초인지 자동화와 피드백 제공의 효과, 학습전략중재학회
▷ 박연실(2001), 초인지, 목표지향성, 자기효능감과 학업성취와의 관계분석, 서울여자대학교
▷ 설명옥(2004), 효과적인 영어독해 지도법 연구 : 초인지 점검기법을 중심으로, 단국대학교
▷ 이현정(2008), 읽기이해 능력에 따른 청각장애 학생의 초인지 전략 특성 연구, 단국대학교
▷ 한영옥(1996), 초인지 학습 전략이 독해력과 초인지 및 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한국교원대학교
추천자료
- 피아제와 비고스키의 구성주의적 인식론 비교
- 수학학습심리학- 피아제( Piaget )
- 영유아의 발달과 교육에 관한 고찰
- [학습장애][학습장애치료][학습장애아교육]학습장애의 정의, 학습장애의 원인과 학습장애의 ...
- 교육심리의 정의적 특성과 교육
- [교육학] 스턴버그(Sternberg)의 삼원지능이론(Triarchic Theory of Intelligence)
- (A+, 교육심리) 지능이론 및 기억발달
- [논술문][불필요어휘][윤리교육][퇴고][논술문의 작성법]논술문의 유형, 논술문의 구성, 논술...
- [독후감] 메논 (MENON)
- [독해][독해력][독해관][독해수준][독해과정][독해지도][독해모형][독해전략]독해력, 독해관,...
- 오슈벨의 유의미 학습이론에 대해서
- [교육심리학] 1. 콜버그(Kohlberg)의 도덕성 발달이론을 설명하고, 그 교육적 시사점 2. 계속...
- 성사랑사회C : [성사랑사랑C형] 여성들의 몸에 가해지는 억압이나 사회적 통제 중에서, 과학...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