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월대보름놀이 사례 널뛰기, 지신밟기, 정월대보름놀이 사례 놋다리밟기(다리밟기, 기와밟기), 정월대보름놀이 사례 팽이치기, 정월대보름놀이 사례 투호놀이, 정월대보름놀이 사례 윷놀이, 사례 연날리기 분석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정월대보름놀이 사례 널뛰기, 지신밟기, 정월대보름놀이 사례 놋다리밟기(다리밟기, 기와밟기), 정월대보름놀이 사례 팽이치기, 정월대보름놀이 사례 투호놀이, 정월대보름놀이 사례 윷놀이, 사례 연날리기 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개요

Ⅱ. 정월대보름놀이 사례 널뛰기

Ⅲ. 정월대보름놀이 사례 지신밟기

Ⅳ. 정월대보름놀이 사례 놋다리밟기(다리밟기, 기와밟기)

Ⅴ. 정월대보름놀이 사례 팽이치기
1. 놀이의 유래
2. 놀이 방법
1) 실내용 팽이
2) 실외용 팽이 만들기
3) 팽이채 만들기
4) 팽이 돌리기
5) 팽이 싸움
3. 유의점

Ⅵ. 정월대보름놀이 사례 투호놀이
1. 학습 준비
1) 학생의 학습 기능 및 지식
2) 교사 사전 준비 사항
2. 학습 활동
1) 도입
2) 전개
3. 발전 학습
4. 평가 관점

Ⅶ. 정월대보름놀이 사례 윷놀이
1. 놀이 기구
2. 준비물
3. 방법 및 활동 내용
4. 유의점

Ⅷ. 정월대보름놀이 사례 연날리기

참고문헌

본문내용

-나무젓가락, 분유통, 고무찰흙
②나무젓가락의 끝에 고무 찰흙을 붙인다. 이 때 고무 찰흙이 너무 크지 않게 한다.
③분유통 2-3개를 두꺼운 테이프로 옆으로 나란히 붙인다.
④투호는 나무젓가락 끝에 고무 찰흙을 붙여 사용하는데 젓가락에 물감으로 색칠을 하면 보다 예쁘게 만들 수 있다.
*펼치기(25분)
①학습 목표를 알려준다.
②놀이 방법을 설명한다.(교사가 시범을 보여준다)
③모둠별(5-6명)로 놀이하기
④모둠 대항 놀이하기
⑤학급에서 투호 왕 뽑기
*마치기(5분)
①투호 왕에게 손뼉을 쳐준다.
②어떻게 하면 잘 넣을 수 있는지 서로 이야기 해 본다.
③투호를 하면서 어려웠던 점을 서로 이야기 해 본다.
투호놀이 결과 알아보기 :
*투호놀이를 한 후에 결과를 보고한다.
*투호놀이에 대한 여러 가지 방법을 알아본다.
▷정리
학습내용 정리 :
*투호놀이를 한 후 소감을 발표하게 한다.
투호놀이를 한 후 즐거웠던 점
우리의 놀이를 어떻게 하면 좋을 지에 대한 의견을 말하게 한다.
3. 발전 학습
▷투호놀이를 소개하기
*투호놀이를 친구들에게 소개하는 글을 적어 메일로 소개하게 한다.
*투호놀이를 동생들에게 안내하여 주고 동생들 및 가족들과 집에서 해 보도록 한다.
*투호놀이에 대한 소감을 글이나 그림으로 그려 학교홈페이지의 자료실에 올리도록 한다.
4. 평가 관점
▷투호놀이에 대한 방법을 알고 잘 하는가?
*투호놀이에 대한 방법을 잘 알고 있는가?
*투호놀이를 친구들과 즐거움 마음으로 하는가?
*투호놀이를 하면서 조별간의 협동성을 길러주는가?
Ⅶ. 정월대보름놀이 사례 윷놀이
1. 놀이 기구
① 윷의 크기는 어른 손의 한뼘 만한 길이의 가락윷(장작윷), 새끼손가락 정도 크기인 밤윷, 은행알로 만든 은행 윷, 콩알이나 팥알을 이용한 콩윷 등이 있다.
실내에서는 밤윷이나 은행 윷을 많이 쓴다.
② 윷판은 그림과 같이 29개의 말판을 그린다.
③ 말은 상대편과 쉽게 구별되는 것으로 각각 4개씩 준비한다.
2. 준비물
윷. 말판
3. 방법 및 활동 내용
1) 말판을 펴 놓고 2명 또는 3명이(인원이 많으면 편을 갈라서) 행하는데 먼저 윷을 던져 선후의 차례를 정한다.
2) 상대편과 교대로 윷을 던져서 나타난 것을 보아 첫 밭(入口)에서부터 말을 써서 말 4개가 모두 날밭(出口)을 먼저 나가는 편이 이기게 된다.
3) 윷 1개가 엎어지면 도(1점)
윷 2개가 엎어지면 개(2점)
윷 3개가 엎어지면 걸(3점)
윷 4개가 자쳐지면 윷(4점)
윷 4개가 엎어지면 모(5점)
4) 말의 진행 요령상 득점 여하에 따라 말 2개 이상을 겹쳐서 함께 진행하는 방법도 있다. 이를 “업는다”라고 한다.
5) 승패의 판결은 인원수에 따라 한동나기(말 1개씩)로부터 일곱동 나기(말 7개씩)까지 할 수 있으나 보통 넉동판(말 4개씩 나기) 놀이를 한다.
4. 유의점
정초에 윷을 가지고 행하는 민족 고유 유희의 하나이다. 종래에는 음력 초하루부터 대보름에 걸쳐 행해졌으나 근래에는 별로 시한을 가리지 않고 행해진다.
Ⅷ. 정월대보름놀이 사례 연날리기
연(鳶)이란 이름은 새(鳥) 이름 즉 소리개(鳶)의 음을 따서 붙인 것이다. 연날리기는 세계 곳곳에서 노소 신분의 구별없이 즐겨왔기 때문에 나라마다 연에 대한 기록과 전설을 가지고 있는 것이다.
우리나라 연날리기에 대한 기록은 『삼국사기』권41 열전 제1 김유신(金庾信)상조(上條)에서 전쟁수단의 하나로 연을 이용했음을 알 수 있거니와 신라시대는 물론 그 이전에도 형태는 어떻든 궁중에 띄우는 연이 있었을 것으로 짐작된다.
이밖에 연에 관련된 전설로는 고려말 최영(崔瑩)장군의 일화가 전해오고 있다. 최영이 탐라국(지금의 제주도)의 목호란(牧胡亂 : 목축하는 몽고인과의 싸움)을 평정할 때(1374)군사를 연에 매달아 병선에서 띄워 절벽 위에 상륙시켰다고 하며 또한 불덩이를 연에 매달아 적의 성 안으로 날려보내 불타게 하고 공략하였다고 한다.
이와 같이 연과 전쟁이 관련되는 이야기는 조선시대에도 있다. 임진왜란 때 이순신(李舜臣)장군이 섬과 육지를 연락하고 통신수단 또는 작전 지시의 방편으로 연을 이용하였다고 한다. 서울에서 연날리기가 널리 민중에게 보급되어 일반화 된 때는 조선시대 영조 무렵에서 추청된다. 영조는 연날리기를 좋아했기 때문에 구경을 자주 했고 장려하였다고 한다.
조선시대에 서울에서는 광교와 수표교 일대에서 연날리기가 크게 성행하였다. 이에 대한 기록을 보면 『동국세시기』 상원조(上元條)에
「서울 장안의 연소자로서 연싸움을 잘하여 이름을 떨치는 사람은 부자이며 권세있는 집에 가끔 불려가 연날리는 것을 구경시켰다. 또한 매년 정월 보름 하루 이틀 전에는 수표교 근처의 개울을 따라 아래 위로 연싸움 구경꾼이 인산인해를 이루었다. 그러면 아이들은 남의 연줄을 끊느라고 서있는 자도 있고 혹은 패하는 연을 쫓아가느라고 달려가는 모습도 볼 수가 있다.」
라고 되어있다. 위의 기록을 미루어 당시 연날리기가 얼마나 성행하였는가를 볼 수 있다.
이렇게 연날리기를 하고 보름날 저녁 무렵이 되면 이른바 액막이연[송액(送厄)]이라 하여 연 바탕에 송액영복(送厄迎福)등의 축원문을 쓰고 날리는 사람의 이름과 생년월일을 써서 날려 보내면 지난해에 묻혀온 모든 액과 앞으로 1년 동안 있을 나쁜 운수가 일소된다고 하여 이렇게 송연을 하였다.
또 연 뒤에다 액(厄)자 또는 家口某生身厄消滅이라고 써서 연줄을 끊어 연을 멀리 날려 보내는 신앙성도 가지고 있었다. 현재 서울에는 연날리기보존협회가 조직되어 각종 연날리기 경연대회를 주관하고 연날리기 인구의 확장을 꾀하고는 있으나 현대문명에 밀려 그 정취를 찾아보기 어렵게 되었다.
참고문헌
김평(2008), 쿵덕쿵덕 널뛰기, 한국몬테소리
김병찬(2004), 지신밟기소리의 전승 원리 연구, 동아대학교
박병천 외 1명(1999), 전통 민속놀이의 체육학적 분류, 공주대학교스포츠과학연구소
심우성(1975), 줄다리기와 놋다리밟기, 한국우편사업지원단
조향자(2008), 유아 사회성 발달을 위한 전통놀이의 효율적 지도방안 연구, 경남대학교
한국문화컨텐츠진흥원(2007), 우리의 놀이문화 원형을 찾아서67 - 연날리기, 아툰즈
  • 가격6,5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13.08.09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7096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