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민속놀이(전통놀이) 씨름의 분류, 의의, 한국 민속놀이(전통놀이) 씨름의 기원, 법식, 한국 민속놀이(전통놀이) 씨름의 기술, 한국 민속놀이(전통놀이) 씨름 응용기술, 한국 민속놀이(전통놀이) 씨름 수비기술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한국 민속놀이(전통놀이) 씨름의 분류, 의의, 한국 민속놀이(전통놀이) 씨름의 기원, 법식, 한국 민속놀이(전통놀이) 씨름의 기술, 한국 민속놀이(전통놀이) 씨름 응용기술, 한국 민속놀이(전통놀이) 씨름 수비기술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개요

Ⅱ. 한국 민속놀이(전통놀이) 씨름의 분류

Ⅲ. 한국 민속놀이(전통놀이) 씨름의 의의

Ⅳ. 한국 민속놀이(전통놀이) 씨름의 기원

Ⅴ. 한국 민속놀이(전통놀이) 씨름의 법식

Ⅵ. 한국 민속놀이(전통놀이) 씨름의 기술
1. 앞무릎치기
2. 뒷무릎치기
3. 오금 당기기
4. 엉덩배지기
5. 잡채기
6. 들배지기
7. 오금 걸기-안다리걸기
8. 들배지기-잡채기
9. 앞무릎치기-오금 당기기

Ⅶ. 한국 민속놀이(전통놀이) 씨름의 응용기술
1. 앞무릎 치기→앞무릎 뒤집기
2. 앞무릎 뒤집기→오금 당기기
3. 앞무릎 짚기→뒷오금 짚기
4. 뒷오금 짚기→옆무릎 치기
5. 팔 잡아 돌리기→앞다리 들기
6. 앞다리 들기→들안아 놓기
7. 등채기→꼭뒤집기(꼭두잡이)

Ⅷ. 한국 민속놀이(전통놀이) 씨름의 수비기술
1. 들렸을 때 수비 및 처리방법1
2. 들렸을 때 수비 및 처리방법2
3. 들렸을 때 수비 및 처리방법3

참고문헌

본문내용

다. 즉 상대의 오른다리의 중심을 잃게 하여 상대의 상체가 바닥으로 떨어지게 한다.
2. 앞무릎 뒤집기→오금 당기기
앞에 나와 있는 오른다리로 상대의 오른팔 앞으로 들어가면서 오른손으로 상대의 무릎을 아래에서 위로 쳐올려 앞무릎 뒤집기를 한다. 이 때 상대가 넘어지지 않고 다시 바른 자세로 돌아오면 오른손으로 상대의 오금을 잡고 양다리 사이로 끌어당긴다.
앞무릎 뒤집기에서 오금 당기기를 연결 동작이 되도록 많은 노력을 해야 하며 공격자는 중심을 낮추어 몸으로 상대를 밀어붙이고, 머리를 들고 가슴으로 상대를 밀어 넘어뜨려야 한다. 이 때 동시에 앞의 다리가 반 보 정도 앞으로 나간다.
3. 앞무릎 짚기→뒷오금 짚기
오른다리를 뒤로 빼면서 오른손으로 상대의 무릎을 짚는다. 목과 가슴은 오른쪽으로 틀면서 다리 샅바 고리를 위로 당긴다. 이 때 상대가 바른 자세로 돌아오면 신속하게 상대를 약간 끌어당기며 오금을 걸어 밀어붙이며 넘어뜨린다.
이 기술의 응용은 앞무릎 짚기에서 신속하게 뒷오금 짚기로 승부를 내는 것이다. 다만 반드시 앞무릎 짚기에서 뒷오금 짚기만 하는 거의 아님을 알아야 한다. 손기술과 다리 기술, 손기술과 허리 기술, 손기술과 손기술까지 변화있게 응용하면서 연습을 해야 실전에서 많은 효과를 거두게 될 것이다.
4. 뒷오금 짚기→옆무릎 치기
오른손으로 상대의 왼쪽 오금을 걸어 당기며 중심을 낮추어 몸을 밀어붙이며 뒷오금 짚기를 한다. 뒷오금 짚기에서 신속하게 상대의 오른 무릎의 바깥쪽을 쳐서 꺾어 넘어뜨린다. 이 때 상체로 상대를 밀어 넘기고, 손으로는 상대의 무릎을 친다.
5. 팔 잡아 돌리기→앞다리 들기
다리 샅바 고리를 잡은 왼손으로 상대의 오른팔 윗부분을 잡고 힘차게 당긴다. 허리 샅바를 잡고 있던 오른손으로는 상대의 오른무릎 바깥쪽을 쳐 회전시켜 넘어뜨리는 팔잡아 돌리기를 한다. 상대가 넘어지지 않으면 신속하게 앞에 있는 오른무릎을 굽혀 앞으로 나간다. 그러면서 오른손으로 상대 사타구니를 잡아 어깨 너머로 던져 앞다리 들기로 승부를 낸다.
앞다리 들기는 \"통다리 들기\" 라고도 하며 그 때의 상화에 따라 상대를 넘어뜨릴 수도 있고 어깨 너머로 던질 수도 있다. 항상 어떤 기술이든 사용할 수 있도록 연습해 두며 자기보다 강한 선수의 힘을 임기응변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6. 앞다리 들기→들안아 놓기
상대의 몸 중심이 뒤로 처져 있을 때. 앞의 오른무릎을 굽혀 앞으로 나가면서 상대 사타구니에 오른손을 넣어 상대를 들어 어깨 너머로 앞다리 들기를 한다.
이 때 상대가 바닥에 발을 내딛으며 넘어지지 않으려고 하면 두 손으로 상대의 허리를 잡아 오른쪽으로 일 보 빼면서 상대를 들어서 안아 놓기로 승부를 결정한다.
이 기술의 응용은 앞다리 들기로, 상대를 들어서 바닥에 놓을 때 상대가 넘어지지 않으면 신속하게 왼발 앞으로 일 보 내딛으며 오른쪽으로 돌면서 들안아 놓기를 한다.
7. 등채기→꼭뒤집기(꼭두잡이)
허리 샅바를 잡고 있는 오른손을 상대의 어깨 너머로 돌려서 띠를 잡아 앞으로 힘껏 잡아당겨 등채기를 한다. 다시 상대의 띠를 잡았던 오른손으로 상대의 목덜미를 누르고. 다리 샅바 고리를 잡은 왼손을 이용하여 위로 들면서 오른쪽으로 돌며 넘어뜨린다.
이 기술의 응용은 등채기에서 신속하게 꼭뒤집기를 연결하여 승부를 내는 것이다.
Ⅷ. 한국 민속놀이(전통놀이) 씨름의 수비기술
1. 들렸을 때 수비 및 처리방법1
수비자는 오른쪽 발등으로 상대의 오른쪽 무릎 관절에 대고 무릎의 방향은 상대의 허벅지 안쪽으로 밀착시킨다. 이때 허리 중심은 밑으로 처지게 하고 어깨는 상대의 가슴높이 이하로 빨리 미끄러져 내려 밀착시키면서 중심을 잡은 후에 다리 샅바와 허리샅바를 안으로 깊이 잡을 수 있으면 더욱 좋다.
≪처리방법≫
1. 오른쪽 무릎을 약간 굽히면서 다리 샅바를 안으로 더 깊숙이 잡는다. 공격자는 우측 방향으로 돌면서 잡치기 모션을 쓴다. 이 때, 상대방은 잡치기에 넘어가지 않으려고 오른쪽 발을 지면에 내려 놓으려는 순간 공격자는 다리 샅바를 위로 더 당겨 올리면서 허리를 빠르게 우측으로 틀어서 왼배지기하여 넘어뜨린다.
2. 다리 샅바를 안으로 더 깊숙히 잡고, 들배지기하는 모션을 쓴다. 이때 수비하는 선수는 들리지 않기 위해 아래로 몸중심을 낮추려고 한다. 이때 공격자는 발등으로 낚시걸이를 하여 넘어뜨린다.
3. 시계 방향으로 한바퀴 이상 돌다가 잡치기를 한다.
2. 들렸을 때 수비 및 처리방법2
오른쪽 발등을 이용해 상대의 왼쪽무릎 관절부위나 혹은 발목부위에 대면서 몸중심은 낮게 하고 턱은 상대의 가슴높이에 오게 한다. 이때, 허리는 펴서 뒤로 빠져 있어야 한다.
≪처리방법≫
1. 공격자의 왼쪽 다리에 수비자가 오른쪽 발을 걸고 있을 때 배를 이용하여 상대의 오른쪽 다리를 튕겨내어 왼배지기 기술로 넘어뜨린다.
2. 다리 샅바를 당겨 몸쪽으로 밀착시키면서 공격자의 뒷축을 사용해 수비자의 오른쪽 발목을 걸어 호미걸이 기술로 넘어뜨린다.
3. 상대를 공중높이로 들어 올렸다 놓음과 동시에 오른쪽 손을 상대의 오른쪽 무릎에 대고 앞무릎치기 기술로 넘긴다.
3. 들렸을 때 수비 및 처리방법3
왼쪽 발 상대의 오른쪽 무릎 뒷부분에 대고 오른쪽 다리는 펴서 오른쪽 무릎 부위에 정면으로 갖다댄다. 매달릴 때에는 몸의 힘을 빼야한다.
≪처리방법≫
1. 오른쪽으로 돌리다가 무릎을 차내는 들배지기를 한다.
2. 공격자는 빠르게 시계 방향으로 돌면서 왼쪽 무릎으로 상대의 오른쪽 무릎 옆을 차서 상대의 중심을 흩트려 기울어지는 순간 무릎을 찬 왼쪽 다리를 그대로 오른쪽 발 뒷편으로 이동하면서 잡치기 하여 넘긴다.
3. 상대를 들고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다가 뒷무릎치기를 한다.
참고문헌
김성율(1985) : 씨름의 의의와 특성, 경남대학교
김종규(1999) : 한국 씨름의 체육사적 의미에 관한 연구, 건국대학교
김학웅(2009) : 김학웅의 씨름이야기, 민속원
송은하(2012) : [씨름] 더위와 한판 승부, 샘터사
이태현(2001) : 민속 씨름경기의 변천 과정에 관한 연구, 용인대학교
이용완(2002) : 씨름경기의 체급별 기술유형 비교 분석, 공주대학교
  • 가격6,5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13.08.09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7096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