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탄수화물의 유형과 기능
제 1절 영양소의 정의
1. 영양소의 정의
제 2절 영양소의 일반적 작용
1. 신체구성
2. 에너지 공급
3. 생리작용 조절
제 3절 탄수화물
1. 탄수화물의 구성
2. 탄수화물의 분류
3. 탄수화물의 체내 작용
4. 탄수화물의 소화와 흡수
5. 탄수화물의 섭취와 건강문제
6. 탄수화물의 영양섭취기준과 금원식품
제 1절 영양소의 정의
1. 영양소의 정의
제 2절 영양소의 일반적 작용
1. 신체구성
2. 에너지 공급
3. 생리작용 조절
제 3절 탄수화물
1. 탄수화물의 구성
2. 탄수화물의 분류
3. 탄수화물의 체내 작용
4. 탄수화물의 소화와 흡수
5. 탄수화물의 섭취와 건강문제
6. 탄수화물의 영양섭취기준과 금원식품
본문내용
36
튀긴 감자
75
복숭아
28
꿀
73
보리
25
수박
75
완두콩
18
* 혈당지수 55 이하(낮은 식품), 55~70 (중간 식품), 70 이상(높은 식품)
5) 기타작용
- 체세포의 구성 및 조절로 5탄당인 리보오스는 세포핵의 핵산 성분으로 체세포를 구성하고, 6탄당인 갈락토오스와 만노오스는 당지질과 당단백의 성분으로 작용한다.
- 이당류인 유당은 소장에서 칼슘의 흡수를 증진시킨다.
- 또한 식이섬유는 장의 연동작용을 촉진하여 배변속도와 배변량을 증가시키고, 당과 콜레스테롤의 흡수를 지연시킨다.
- 단당류와 이당류는 단맛을 가지고 있는데, 감미도는 설탕을 기준으로 했을 때 다른 당류의 상대적인 단맛의 강도를 나타낸 것으로 맥아당의 감미가 가장 낮고 천연당 중에서는 과당이 가장 감미가 높다.
<당류의 감미도>
당류
감미도
당류
감미도
lactose
16
sucrose
100
galactose
32
invent sugar
130
maltose
33
fructose
170
xylose
40
dulcin
25,000
glucose
74
saccharin
55,000
4. 탄수화물의 소화와 흡수
1) 탄수화물의 소화
- 구강
탄수화물은 음식물이 입에 들어가 씹는 동작에 의해 잘게 부서지고 침과 섞이면서부터 소화되기 시작한다.
전분은 타액 아밀라아제에 의해 덱스트린과 약간의 맥아당으로 분해된다.
분해 정도는 음식물을 얼마나 오래 씹느냐에 달려 있는데, 음식을 씹는 시간은 그다지 길지 않기 때문에 소량만 분해되어 위로 내려간다.
- 위
위에는 탄수화물의 분해효소가 없으므로 별로 분해가 이루어지지 않고,
다만 음식이 위의 위저부에 머물러 있는 15~30분 동안 타액 아밀라아제의 작용으로 소량의 전분이 분해될 뿐이다.
= 위의 연동작용이 일어나면 음식이 위산과 섞여 미즙이 되면서 타액 아밀라아제의 활성이 저하된다.
- 소장
탄수화물의 본격적인 소화는 소장에서 이루어진다.
일부 소화된 전분이 십이지장으로 조금씩 내려오면 우선 췌장 아밀라아제에 의해 맥아당 또는 말토트리오스로 분해된다.
맥아당은 서당, 유당과 함께 소장점막세포에서 분비되어 미세융모막 표면에 있는 이당류분해효소들에 의해 최종적으로 단당류로 분해된다.
말타아제나 이소말타아제에 의하여 각기 맥아당과 이소말토오스가 포도당 두 분자로, 수크라아제에 의해 서당이 포도당과 과당으로, 락타아제에 의해 유당이 포도당과 갈락토오스로 분해된다.
<탄수화물의 소화>
기 관
효 소
작 용
입
salivary a-amylase(ptyalin)
starch → dextrin-maltose
위
-
소장
pancreatic a-amylase
intestinal sucrase
intestinal lactase
intestinal maltase
starch → dextrin→maltose
sucrose → glucose +fructose
lactase→ glucose +galactose
maltase→ glucose+glucose
2) 탄수화물의 흡수
- 소장의 소화과정에서 최종 생성된 단당류는 그래도 장점막세포를 거쳐 모세혈관으로 흡수되고 문맥을 통하여 간으로 운반되며 간에서 갈락토오스와 과당은 포도당으로 전환된다.
- 단당류가 흡수되는 속도는 갈락토오스, 포도당, 과당, 만노오스...의 순서이다.
- 갈락토오스와 포도당은 능동수송에 의하여 흡수되고, 과당은 촉진확산, 당알코올이나 5탄당은 단순 확산에 의해 흡수된다.
- 능동적으로 흡수되는 포도당과 갈락토오스는 나트륨 이온과 함께 포도당 운반체에 결합하여 소장세포 내로 흡수된다.
- 과당은 운반체는 사용하지만 ATP는 사용하지 않는 촉진확산에 의해 흡수된다.
- 모세혈관으로 들어온 단
튀긴 감자
75
복숭아
28
꿀
73
보리
25
수박
75
완두콩
18
* 혈당지수 55 이하(낮은 식품), 55~70 (중간 식품), 70 이상(높은 식품)
5) 기타작용
- 체세포의 구성 및 조절로 5탄당인 리보오스는 세포핵의 핵산 성분으로 체세포를 구성하고, 6탄당인 갈락토오스와 만노오스는 당지질과 당단백의 성분으로 작용한다.
- 이당류인 유당은 소장에서 칼슘의 흡수를 증진시킨다.
- 또한 식이섬유는 장의 연동작용을 촉진하여 배변속도와 배변량을 증가시키고, 당과 콜레스테롤의 흡수를 지연시킨다.
- 단당류와 이당류는 단맛을 가지고 있는데, 감미도는 설탕을 기준으로 했을 때 다른 당류의 상대적인 단맛의 강도를 나타낸 것으로 맥아당의 감미가 가장 낮고 천연당 중에서는 과당이 가장 감미가 높다.
<당류의 감미도>
당류
감미도
당류
감미도
lactose
16
sucrose
100
galactose
32
invent sugar
130
maltose
33
fructose
170
xylose
40
dulcin
25,000
glucose
74
saccharin
55,000
4. 탄수화물의 소화와 흡수
1) 탄수화물의 소화
- 구강
탄수화물은 음식물이 입에 들어가 씹는 동작에 의해 잘게 부서지고 침과 섞이면서부터 소화되기 시작한다.
전분은 타액 아밀라아제에 의해 덱스트린과 약간의 맥아당으로 분해된다.
분해 정도는 음식물을 얼마나 오래 씹느냐에 달려 있는데, 음식을 씹는 시간은 그다지 길지 않기 때문에 소량만 분해되어 위로 내려간다.
- 위
위에는 탄수화물의 분해효소가 없으므로 별로 분해가 이루어지지 않고,
다만 음식이 위의 위저부에 머물러 있는 15~30분 동안 타액 아밀라아제의 작용으로 소량의 전분이 분해될 뿐이다.
= 위의 연동작용이 일어나면 음식이 위산과 섞여 미즙이 되면서 타액 아밀라아제의 활성이 저하된다.
- 소장
탄수화물의 본격적인 소화는 소장에서 이루어진다.
일부 소화된 전분이 십이지장으로 조금씩 내려오면 우선 췌장 아밀라아제에 의해 맥아당 또는 말토트리오스로 분해된다.
맥아당은 서당, 유당과 함께 소장점막세포에서 분비되어 미세융모막 표면에 있는 이당류분해효소들에 의해 최종적으로 단당류로 분해된다.
말타아제나 이소말타아제에 의하여 각기 맥아당과 이소말토오스가 포도당 두 분자로, 수크라아제에 의해 서당이 포도당과 과당으로, 락타아제에 의해 유당이 포도당과 갈락토오스로 분해된다.
<탄수화물의 소화>
기 관
효 소
작 용
입
salivary a-amylase(ptyalin)
starch → dextrin-maltose
위
-
소장
pancreatic a-amylase
intestinal sucrase
intestinal lactase
intestinal maltase
starch → dextrin→maltose
sucrose → glucose +fructose
lactase→ glucose +galactose
maltase→ glucose+glucose
2) 탄수화물의 흡수
- 소장의 소화과정에서 최종 생성된 단당류는 그래도 장점막세포를 거쳐 모세혈관으로 흡수되고 문맥을 통하여 간으로 운반되며 간에서 갈락토오스와 과당은 포도당으로 전환된다.
- 단당류가 흡수되는 속도는 갈락토오스, 포도당, 과당, 만노오스...의 순서이다.
- 갈락토오스와 포도당은 능동수송에 의하여 흡수되고, 과당은 촉진확산, 당알코올이나 5탄당은 단순 확산에 의해 흡수된다.
- 능동적으로 흡수되는 포도당과 갈락토오스는 나트륨 이온과 함께 포도당 운반체에 결합하여 소장세포 내로 흡수된다.
- 과당은 운반체는 사용하지만 ATP는 사용하지 않는 촉진확산에 의해 흡수된다.
- 모세혈관으로 들어온 단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