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2. 언어
3. 쾌락
4. 자본주의
5. 결론
2. 언어
3. 쾌락
4. 자본주의
5. 결론
본문내용
로 만들어 버린 것이다. 소비의 공간에서 소비할 수 있는 개인은 자유롭고, 소비의 욕망을 달성한 개인은 행복하다. 물질적 풍요는 사회적 안정을 요구하고, 권력은 이러한 배경에 의해 공고화된다. 그러나 노동분업으로 인한 동일성 때문에 개인은 균질화되며, 진리와 아름다움 혹은 과학과 예술은 행복한 대중에 의해 배척당하고 희생된다.
미래소설들과 영화들은 헉슬리의 쾌락사회와 오웰류의 통제사회를 다루고 있는데, 이들은 모두 유토피아로 향하고 있다고 착각하고 있는 이들로 하여금, 다시금 생각하게 하는 계기를 마련해주고 있다.
『멋진 신세계』서문에 실린 글로 맺음을 대신하고자 한다.
유토피아는 지금까지 인간들이 생각했던 것보다
훨씬 더 실현 가능성이 있다.
그리고 우리들은 실제로 우리들을 불안하게 하는 문제들 앞에
마주서 있다. 어떻게 유토피아의 궁극적인 실현을
피할 것인가……유토피아는 실현 가능하다.
인간의 삶은 유토피아를 향해 달려가고 있다.
그러나 지식인과 교양인은 유토피아를 회피하며,
불완전하지만 자유로운 비유토피아적인 사회로 돌아가기 위해
갖가지 방법을 생각하게 될 것이다.
―니콜라이 베르쟈예프 올더스 헉슬리,『멋진 신세계』, 문예출판사, 1998, 5면
미래소설들과 영화들은 헉슬리의 쾌락사회와 오웰류의 통제사회를 다루고 있는데, 이들은 모두 유토피아로 향하고 있다고 착각하고 있는 이들로 하여금, 다시금 생각하게 하는 계기를 마련해주고 있다.
『멋진 신세계』서문에 실린 글로 맺음을 대신하고자 한다.
유토피아는 지금까지 인간들이 생각했던 것보다
훨씬 더 실현 가능성이 있다.
그리고 우리들은 실제로 우리들을 불안하게 하는 문제들 앞에
마주서 있다. 어떻게 유토피아의 궁극적인 실현을
피할 것인가……유토피아는 실현 가능하다.
인간의 삶은 유토피아를 향해 달려가고 있다.
그러나 지식인과 교양인은 유토피아를 회피하며,
불완전하지만 자유로운 비유토피아적인 사회로 돌아가기 위해
갖가지 방법을 생각하게 될 것이다.
―니콜라이 베르쟈예프 올더스 헉슬리,『멋진 신세계』, 문예출판사, 1998, 5면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