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소화불량 개요
2. 통증 양상을 통한 진단
3. 비궤양성 소화불량
4. 음식과의 관계
5. 소화불량을 일으키는 주요 기전
6. 소화불량 환자에 대한 접근
2. 통증 양상을 통한 진단
3. 비궤양성 소화불량
4. 음식과의 관계
5. 소화불량을 일으키는 주요 기전
6. 소화불량 환자에 대한 접근
본문내용
이 경우에, 가슴앓이는 과식후 허리를 굽히거나 누워있을 때 전형적으로 일어난다. 그것은 짜거나(“water brash”), 시거나(gastric contents), 혹은 쓰고 녹황색(bile)의 액체가 입에 저절로 나타날 수 있다. 가슴앓이는 어떤 음식들(예., 감귤류의 과일 쥬스)이나 약물(예., 알코올, 아스피린) 등을 섭취한 후에도 생길 수 있다. 특징적으로, 가슴앓이는 제산제에 의해 다만 일시적이라 할지라도 즉시 완화된다.
가슴앓이는 또한 설명가능한 해부학적 혹은 생리학적 상태가 없이도 일어날 수 있다. 이 경우에 종종 공기연하증이 동반되며, 공기연하증은 불편감을 완화시키려고 환자가 시도하는 것인데, 종종 다른 설명의 부족으로 정신적인 요인이 있다고 잘못 생각되어진다.
4. 음식과의 관계
몇몇 사람에서는 특별한 음식들이나 음식의 유형이 소화불량에 관련된다. 이 관계를 주의깊게 문서화해 놓으면, 가끔 원인적 진단에 큰 도움을 준다.
몇몇 음식은 그것의 성상 때문에 거의 견딜 수 없다. 식도 협착이나 암을 가진 환자는 액체는 잘 견딜 수 있지만, 고형식을 섭취한 후에 불편감, 특히 흉골하 통증을 경험할 수 있다(see Chaps. 37 and 251). 아마도 비교적 낮은 pH 때문에, 감귤류(시트론,레몬,등자 따위)와 신 음식물들은 종종 소화성 궤양이나 소화성 식도염 환자에서 증상을 유발시킨다. 어떤 음식은 췌장이나 담도 질환자가 지방식을 섭취한 경우에서처럼, 손상된 장 소화 혹은 흡수 때문에 거의 견딜 수 없다.
환자들이 어떤 영양소의 장흡수에 필요한 특정 효소 부족이 선천적이거나 혹은 후천적으로 있을 수 있다. 한 예가 락토스의 가수분해를 촉진시키는 장점막 효소인 락타제의 결핍이다.
락타제 결핍인 사람에서 우유(락토스를 함유하는)를 섭취하면 복통, 복부 팽창, 설사와 복부 가스 등이 일어난다(Chap. 254). 자당(sucrose)도 선천적 sucrase-isomaltase 결핍인 사람에서 유사한 증상을 일으킬 수 있다. 어떤 영양소는, 갈락토스혈증 환자에서의 갈락토스 내성 처럼, 어떤 물질이 특히 위험한 환자에서 생화학적 결손 때문에, 심각한 전신적인 효과를 일으킬 수 있다(see Chap. 354).
일부 음식이나 음식 첨가제는 알레르기 반응을 일으킬 수 있고, 증상이 특별한 음식을 섭취한 후에 일어날 때, 유발 검사에서 재발될 때, 입술 부종, 담마진, 혈관부종, 천식이나 아나필락틱
가슴앓이는 또한 설명가능한 해부학적 혹은 생리학적 상태가 없이도 일어날 수 있다. 이 경우에 종종 공기연하증이 동반되며, 공기연하증은 불편감을 완화시키려고 환자가 시도하는 것인데, 종종 다른 설명의 부족으로 정신적인 요인이 있다고 잘못 생각되어진다.
4. 음식과의 관계
몇몇 사람에서는 특별한 음식들이나 음식의 유형이 소화불량에 관련된다. 이 관계를 주의깊게 문서화해 놓으면, 가끔 원인적 진단에 큰 도움을 준다.
몇몇 음식은 그것의 성상 때문에 거의 견딜 수 없다. 식도 협착이나 암을 가진 환자는 액체는 잘 견딜 수 있지만, 고형식을 섭취한 후에 불편감, 특히 흉골하 통증을 경험할 수 있다(see Chaps. 37 and 251). 아마도 비교적 낮은 pH 때문에, 감귤류(시트론,레몬,등자 따위)와 신 음식물들은 종종 소화성 궤양이나 소화성 식도염 환자에서 증상을 유발시킨다. 어떤 음식은 췌장이나 담도 질환자가 지방식을 섭취한 경우에서처럼, 손상된 장 소화 혹은 흡수 때문에 거의 견딜 수 없다.
환자들이 어떤 영양소의 장흡수에 필요한 특정 효소 부족이 선천적이거나 혹은 후천적으로 있을 수 있다. 한 예가 락토스의 가수분해를 촉진시키는 장점막 효소인 락타제의 결핍이다.
락타제 결핍인 사람에서 우유(락토스를 함유하는)를 섭취하면 복통, 복부 팽창, 설사와 복부 가스 등이 일어난다(Chap. 254). 자당(sucrose)도 선천적 sucrase-isomaltase 결핍인 사람에서 유사한 증상을 일으킬 수 있다. 어떤 영양소는, 갈락토스혈증 환자에서의 갈락토스 내성 처럼, 어떤 물질이 특히 위험한 환자에서 생화학적 결손 때문에, 심각한 전신적인 효과를 일으킬 수 있다(see Chap. 354).
일부 음식이나 음식 첨가제는 알레르기 반응을 일으킬 수 있고, 증상이 특별한 음식을 섭취한 후에 일어날 때, 유발 검사에서 재발될 때, 입술 부종, 담마진, 혈관부종, 천식이나 아나필락틱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