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제주 4 3사건(제주 4 3항쟁)의 배경
Ⅲ. 제주 4 3사건(제주 4 3항쟁)의 초기상황
Ⅳ. 제주 4 3사건(제주 4 3항쟁)의 역사왜곡
Ⅴ. 제주 4 3사건(제주 4 3항쟁)의 11연대작전
Ⅵ. 제주 4 3사건(제주 4 3항쟁)의 초토화작전
Ⅶ. 제주 4 3사건(제주 4 3항쟁)의 영상운동
Ⅷ. 결론
참고문헌
Ⅱ. 제주 4 3사건(제주 4 3항쟁)의 배경
Ⅲ. 제주 4 3사건(제주 4 3항쟁)의 초기상황
Ⅳ. 제주 4 3사건(제주 4 3항쟁)의 역사왜곡
Ⅴ. 제주 4 3사건(제주 4 3항쟁)의 11연대작전
Ⅵ. 제주 4 3사건(제주 4 3항쟁)의 초토화작전
Ⅶ. 제주 4 3사건(제주 4 3항쟁)의 영상운동
Ⅷ.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제주 4 3사건(제주 4 3항쟁)의 배경, 초기상황, 제주 4 3사건(제주 4 3항쟁)의 역사왜곡, 제주 4 3사건(제주 4 3항쟁)의 11연대작전, 제주 4 3사건(제주 4 3항쟁)의 초토화작전, 제주 4 3사건(제주 4 3항쟁)의 영상운동 분석
Ⅰ. 서론
Ⅱ. 제주 4 3사건(제주 4 3항쟁)의 배경
Ⅲ. 제주 4 3사건(제주 4 3항쟁)의 초기상황
Ⅳ. 제주 4 3사건(제주 4 3항쟁)의 역사왜곡
Ⅴ. 제주 4 3사건(제주 4 3항쟁)의 11연대작전
Ⅵ. 제주 4 3사건(제주 4 3항쟁)의 초토화작전
Ⅶ. 제주 4 3사건(제주 4 3항쟁)의 영상운동
Ⅷ. 결론
참고문헌
Ⅰ. 서론
역사가가 아닌 보통 제주주민이 제주 43사건에 대해 어떻게 기억하고 있을까? 50여 년 동안 이 사건이 주민들간에 회자되어 오고, 의례 등을 통해 다음 세대들에게 전달되어 오면서 사건을 직접 겪지 않은 제주주민들도 나름대로 43사건을 정의하고 있을 것이다. 먼저 43사건 2세대와 3세대의 구별 이전에 제주도라는 공동체, 또는 집단이 어떻게 이 역사적 사건에 대해 기억하고 있는지, 그들의 다양한 서사(narratives)를 살펴보려고 한다. 그들이 어떻게 43을 기억해 내고 있고, 사회집단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에 관심을 맞추려고 한다. 이 장에서는 제주주민의 43사건에 대한 정의를 기억하는 방식에 따라 나뉘어 보고, 다음 장에서 사회집단에 의한 기억의 차이를 분석해 볼 것이다. 기억하는 방식이란 과거를 기억해 내는 일종의 정리방식을 의미한다. 예를 들면, 43사건을 연대기로 기억하는지, 아니면 원인, 결과 등 사건 분석 방법으로 기억하는지를 질문하는 것이다.
‘제주 43사건을 전혀 모르는 사람에게 어떻게 설명할 것인가’ 라는 설문지 질문에 제주주민은 다양하게 대답했다. 그러나 다양한 기억방식에도 불구하고 이네구에즈 등의 연구 대상이었던 스페인 학생들의 경우와는 전반적으로 다른 방식의 기억 틀을 갖고 있었다. 스페인과 제주라는 문화적 공간과 시간 개념의 차이, 정치환경의 차이 등이 기억해 내는 인식 과정에도 영향을 미친 것이다. 제주주민의 기억방식은 제주도라는 공동체의 경험, 지역주민의 사고방식, 제주 43사건의 역사적 유통과정 등이 만들어 낸 산물일 것이다.
설문지 조사의 또 다른 결과는 제주주민들의 기억방식이 역사가들의 기억방식과는 상당한 차이가 있다는 것이다. 43사건을 정의하는 여러 응답들이 있었지만, 대부분 주민들은 역사가의 관심처럼 정확한 날짜, 장소, 객관적 자료, 원인이나 과정, 결과 분석 등으로 제주 43을 설명하지 않았다. 역사가처럼 자세한 내용이나 자료가 부족하기보다는 사건을 이해하는 방식이 달랐다. 아래에서 다시 설명하겠지만, 기억방식은 진상조사의 결과나 공식역사보다 사회적 분위기, 43 담론 등에 더 의존하고 있었다.
2세대와 3세대를 포함하는 제주주민의 43사건에 대한 기억방식은 의견형, 원인분석형, 사례형, 가해피해론, 희생론, 역사평가형, 과정형, 이념대립형으로 나뉘었다.
Ⅱ. 제주 4 3사건(제주 4 3항쟁)의 배경
1947년에 들어서면서 미 군정은 철도노조파업, 정판사사건, 대구의 10월폭동 등의 영향으로 남한에서의 좌파세력 단속을 강화하였다. 이런 시기에 남로당 중앙당에서는 3.1절 기념대회를 대대적으로 개최할 것을 지시하였으므로 제주도 남로당도 대규모의 3.1절 행사를 준비하였다.
1947년 3월 1일, 이날 새벽부터 제주읍에는 경찰들의 경계선을 뚫고 30,000여명의 군중이 집결하여 3.1절 행사를 하였고, 지방에서도 면단위로 3,000-6,000 여명이 집결하여 행사를 하였다.
제주에서는 기념식이 끝나자 14:00경부터 가두시위가 시작되었다. 그런데 한 기마경찰이 이동중 갑자기 튀어나온 6세가량의 어린이를 치었는데, 그는 아무런 조치도 취하지 않고 그대로 경찰서로 가려고 하였다. 이에 관중들이 “저놈 잡아라” 라고 하면서 돌을 던지고 기마경관을
Ⅰ. 서론
Ⅱ. 제주 4 3사건(제주 4 3항쟁)의 배경
Ⅲ. 제주 4 3사건(제주 4 3항쟁)의 초기상황
Ⅳ. 제주 4 3사건(제주 4 3항쟁)의 역사왜곡
Ⅴ. 제주 4 3사건(제주 4 3항쟁)의 11연대작전
Ⅵ. 제주 4 3사건(제주 4 3항쟁)의 초토화작전
Ⅶ. 제주 4 3사건(제주 4 3항쟁)의 영상운동
Ⅷ. 결론
참고문헌
Ⅰ. 서론
역사가가 아닌 보통 제주주민이 제주 43사건에 대해 어떻게 기억하고 있을까? 50여 년 동안 이 사건이 주민들간에 회자되어 오고, 의례 등을 통해 다음 세대들에게 전달되어 오면서 사건을 직접 겪지 않은 제주주민들도 나름대로 43사건을 정의하고 있을 것이다. 먼저 43사건 2세대와 3세대의 구별 이전에 제주도라는 공동체, 또는 집단이 어떻게 이 역사적 사건에 대해 기억하고 있는지, 그들의 다양한 서사(narratives)를 살펴보려고 한다. 그들이 어떻게 43을 기억해 내고 있고, 사회집단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에 관심을 맞추려고 한다. 이 장에서는 제주주민의 43사건에 대한 정의를 기억하는 방식에 따라 나뉘어 보고, 다음 장에서 사회집단에 의한 기억의 차이를 분석해 볼 것이다. 기억하는 방식이란 과거를 기억해 내는 일종의 정리방식을 의미한다. 예를 들면, 43사건을 연대기로 기억하는지, 아니면 원인, 결과 등 사건 분석 방법으로 기억하는지를 질문하는 것이다.
‘제주 43사건을 전혀 모르는 사람에게 어떻게 설명할 것인가’ 라는 설문지 질문에 제주주민은 다양하게 대답했다. 그러나 다양한 기억방식에도 불구하고 이네구에즈 등의 연구 대상이었던 스페인 학생들의 경우와는 전반적으로 다른 방식의 기억 틀을 갖고 있었다. 스페인과 제주라는 문화적 공간과 시간 개념의 차이, 정치환경의 차이 등이 기억해 내는 인식 과정에도 영향을 미친 것이다. 제주주민의 기억방식은 제주도라는 공동체의 경험, 지역주민의 사고방식, 제주 43사건의 역사적 유통과정 등이 만들어 낸 산물일 것이다.
설문지 조사의 또 다른 결과는 제주주민들의 기억방식이 역사가들의 기억방식과는 상당한 차이가 있다는 것이다. 43사건을 정의하는 여러 응답들이 있었지만, 대부분 주민들은 역사가의 관심처럼 정확한 날짜, 장소, 객관적 자료, 원인이나 과정, 결과 분석 등으로 제주 43을 설명하지 않았다. 역사가처럼 자세한 내용이나 자료가 부족하기보다는 사건을 이해하는 방식이 달랐다. 아래에서 다시 설명하겠지만, 기억방식은 진상조사의 결과나 공식역사보다 사회적 분위기, 43 담론 등에 더 의존하고 있었다.
2세대와 3세대를 포함하는 제주주민의 43사건에 대한 기억방식은 의견형, 원인분석형, 사례형, 가해피해론, 희생론, 역사평가형, 과정형, 이념대립형으로 나뉘었다.
Ⅱ. 제주 4 3사건(제주 4 3항쟁)의 배경
1947년에 들어서면서 미 군정은 철도노조파업, 정판사사건, 대구의 10월폭동 등의 영향으로 남한에서의 좌파세력 단속을 강화하였다. 이런 시기에 남로당 중앙당에서는 3.1절 기념대회를 대대적으로 개최할 것을 지시하였으므로 제주도 남로당도 대규모의 3.1절 행사를 준비하였다.
1947년 3월 1일, 이날 새벽부터 제주읍에는 경찰들의 경계선을 뚫고 30,000여명의 군중이 집결하여 3.1절 행사를 하였고, 지방에서도 면단위로 3,000-6,000 여명이 집결하여 행사를 하였다.
제주에서는 기념식이 끝나자 14:00경부터 가두시위가 시작되었다. 그런데 한 기마경찰이 이동중 갑자기 튀어나온 6세가량의 어린이를 치었는데, 그는 아무런 조치도 취하지 않고 그대로 경찰서로 가려고 하였다. 이에 관중들이 “저놈 잡아라” 라고 하면서 돌을 던지고 기마경관을
추천자료
통일열망시대의 4·3문학
4.3항쟁에 대하여
대학도서관의 미래
음이온의 확인 - 다양한 음이온 (SO42-, NO3-, F-, Cl-, I-)의 정성분석
데이터베이스 설계 최종 보고서 3조
아픔을 딛고 성숙해진 평화의 섬 ‘제주’ <평화기념관 소감문> & 4.3사건의 아픔이 담긴 ...
초등3) <음악 교과서 {약안} 교과서 p48-49쪽> 즐거워지네 - 반복되는 리듬꼴 치기, 3박자의 ...
국가수준의 유아교육과정에서 3~5세 누리과정에 대한 장단점에 대해 적으시오
2013년 시작된 3, 4, 5세 누리과정과 7차 유아교육과정, 표준보육과정을 비교설명하고, 3세, ...
올레KT 마케팅 전략분석과 KT의 새로운도약위한 새로운 마케팅전략제안과 KT의 미래전망 - 거...
[보육학개론]2013년 부터는 만 3, 4, 5세 유아를 대상으로 ‘누리과정’을 적용하고 있습니다. ...
아이스베리 활성화 방안 [점포 선정 이유와 목적, 3C 분석]
제주 4.3사건 -폭동인가, 민주항쟁인가-
만3세관찰일지(3~4월 2018년통합지표 16명)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