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개요
Ⅱ. 동화의 환상성
Ⅲ. 동화의 가정파괴적 요소
1. 남녀사통의 이야기
2. 근친상간적 이야기
1) 털복숭이
2) 손없는 소녀
Ⅳ. 동화의 주제
Ⅴ. 동화의 감상
1. 제시부, 낙원에서의 인간과 자연의 조화
2. 발전부, 낙원에서의 이탈
3. 재현부, 낙원으로의 회귀
Ⅵ. 동화의 애니메이션화
1. 시청각 이미지의 위력
2. 주제를 향한 집중력과 속도감
3. 보편성/ 합리성/ 대중성
Ⅶ. 동화와 동화작가
Ⅷ. 동화와 천도교소년운동
참고문헌
Ⅱ. 동화의 환상성
Ⅲ. 동화의 가정파괴적 요소
1. 남녀사통의 이야기
2. 근친상간적 이야기
1) 털복숭이
2) 손없는 소녀
Ⅳ. 동화의 주제
Ⅴ. 동화의 감상
1. 제시부, 낙원에서의 인간과 자연의 조화
2. 발전부, 낙원에서의 이탈
3. 재현부, 낙원으로의 회귀
Ⅵ. 동화의 애니메이션화
1. 시청각 이미지의 위력
2. 주제를 향한 집중력과 속도감
3. 보편성/ 합리성/ 대중성
Ⅶ. 동화와 동화작가
Ⅷ. 동화와 천도교소년운동
참고문헌
본문내용
Mann zu ihr hereinkam, wie ihre Augen noch nie einen erblickt hatten [...] Da verlor Rapunzel ihre Angst, und als er sie fragte, ob sie ihn zum Manne nehmen wollte, und sie sah, daB er jung und schon war[...] und sagte ja und legte ihre Hand in seine Hand. Sie sprach: Ich will gerne mit dir gehen,
우리에게 널리 알려진 이야기는 이 최종판의 이야기이다. 다시 말하면 본래 행실 나쁜 처녀의 이야기였던 것이 그림형제 민담집의 편찬과정에서 요조숙녀의 이야기로 변형되고, 그같이 변형된 형태로 우리에게 알려져 온 것이다.
2. 근친상간적 이야기
근친상간은 시대를 막론하고 모든 사회계층에 걸쳐 타부로 존재하며, 근친상간의 모티브는 수많은 유럽 민담의 밑바닥에 잠복하고 있다. 그것이 그림형제의 아동과 가정을 위한 동화에서 ‘명시적으로’ 표출되는 것은 단 한 번, 털복숭이 Allerleirauh 이야기에서일 뿐이다. 현실에서와 마찬가지로 민담에서도 근친상간적 소망은 딸에 대한 아버지의 욕망인 경우가 많은데, 이 경우에 아버지는 가정에서의 자신의 절대적 권위를 이용하여 폭력적 방법으로 이 소망을 성취하려고 한다.
1) 털복숭이
죽어 가는 왕비의 요청에 따라, 왕은 다음과 같이 약속한다. 새 왕비로는 오로지 그녀만큼 아름답고 그녀의 머리털처럼 아름다운 금발여인을 취하겠노라고. 하지만 온 천하에서 그러한 여인을 찾지 못했던 왕은 문득 자신의 딸이 유일하게 그같은 조건을 충족하는 여인임을 발견하게 된다. 왕은 딸에게 결혼을 요구하고, 딸은 얼핏 불가능해 보이는 조건 - 온갖 짐승털로 만들어진 옷을 만들어 달라는 조건을 내걸며 아버지의 요구를 따돌리고자 한다. 결국 집요한 아버지의 청혼을 피하기 위해 궁정을 빠져 나와 도망한다. 그러다가 우여곡절 끝에 다른 나라의 왕의 아내가 된다.
부녀간의 근친상간적 모티브가 핵심을 이루고 있는 민담이다. 아버지가 딸을 아내로 취하는 것은 역사적으로 고대 드루이드 족의 원시풍습에 속한다. 이러한 관습이 소멸되는 시점에서 구습을 고수하고자 하는 아버지와 이를 거부하는 딸 사이에 일어날 수 있는 충돌을 보여주는 것이 털복숭이 이야기이다. 원시적 관습의 의미가 사람들의 의식 속에서 더 이상 기억되지 않게 되었을 때, 사람들은 행위로만 잔존하는 이 의미 모르는 사건에 환상적 이야기를 덧붙이게 된다. 이것이 환상적 민담의 출생배경인 것이다.
원시민족의 풍습을 알 리 없는 까마득한 후대의 사람들에게는 이같은 근친상간적 사건이 충격일 수밖에 없으며, 그러한 이야기가 언감생심 “아동과 가정을 위한 동화”가 된다는 것은 아무래도 적절하지 못하다. 하지만 딸에 대한 아버지의 요구라는 행위가 이야기의 핵심을 이루는 한, 그 행위의 제거는 애초부터 이야기를 송두리째 제거하지 않는 한 불가능한 것이다.
그림형제의 민담집 초판부터 최종판에 이르기까지 상황묘사의 변화는 이같은 딜레마를 해결하고자 하는 민담편찬자의 고심을 확인하게 해준다. 민담집 초판부터 최종판까지의 상황은 일관되게 왕이 딸에게 결혼을 집요하게 요구하는 것이다. 하지만 제 2판에서부터는 궁정대신들의 엄중한 경고가 삽입된다. “아버지가 자기 딸과 결혼할 수는 없습니다. 하나님이 금하시는 일입니다. 그러한 죄악에서 좋은 결과가 나올 수가 없지요. Gott hat verboten, daB der Vater seine Tochter heirate, aus der Sunde kann nichts Gutes entspringen.” 왕의 죄악에 왕국전체가 들끓는 듯한 분위기가 그려짐으로써, 근친상간의 부도덕성에 대한 그림형제의 비판의식이 삽입되고 있는 것이다. 근친상간의 모티브가 털복숭이 민담의 핵심을 구성하기 때문에 이 요소를 제거하지는 않지만, 그림형제는 그것의 비윤리성을 짚고 넘어가고 있는 것이다. 여기에서 우리는 두 가지 차원에서 그림형제의 의식을 확인할 수 있다. 민담원형에 대한 의식과 시민적 윤리관이다.
2) 손없는 소녀
민담 전승과정에서 은폐된 것이지만, 사실상 근친상간의 모티브가 밑바닥에 자리잡고 있는 또 하나의 민담이 있다. 일반 독자에게 알려진 손없는 소녀 이야기에서는 악마와의 계약이 가시적으로 문제가 될 뿐, 근친상간의 모티브는 은폐되어 있다. 널리 알려진 이야기는 다음과 같다. 가난한 방앗간 주인이 들판에서 악마의 나무를 베다가 악마에게 들킨다. 주인은 자기 집 방아 뒤에 있는 것을 악마에게 넘겨주기로 약속하고 목숨을 건지고, 동시에 부유한 삶을 약속 받는다. 방아 뒤에 있는 것을 사과나무라고 생각했던 그에게 악마가 삼 년 후에 찾아와서 그의 딸을 요구한다. 뒤 늦게야 자신의 과오를 깨달았지만 악마와의 약속을 피할 수 없게 된 그는 악마의 요구대로 딸의 두 손을 도끼로 자른다. 양손을 잃은 딸은 집을 떠나 헤매다가 우여곡절 끝에 이웃나라 왕의 아내가 된다. 그러나 악마가 또 여기에 끼어들어 왕모가 왕에게 전하는 편지를 바꿔쳐서, 여주인공은 또 한차례 시련을 겪는다. 그러나 마지막엔 모든 것이 해결되고 여주인공은 왕과 더불어 행복하게 산다.
그림형제의 민담집 초판에서는 아버지가 극구 말리고 집에서 편히 잘 살게 해주겠다고 약속함에도 불구하고 딸은 잘린 양손을 등에 메고 집을 떠난다. 그녀가 집을 나가야 할만한 설득력 있는 이유가 제시되지 않는다. 그림형제 민담집 초판의 손없는 소녀는 Marie Hassenpflug로부터 전해들은 Hessen 판본에 의거한 것으로, 여기에서는 악마와의 계약 때문에 아버지가 눈물을 머금고 딸의 팔을 자른다. 초판을 발행한 후에 그림형제는 여러 개의 다른 판본을 접하게 되는데(Zwehrn판본, Paderborn판본, Meklenburg판본 등등), 거기에서는 딸이 집을 떠나게 되는 보다 설득력 있는 동기가 부여되어 있다. 이들 판본에서는 아버지가 자기 딸을 탐하여 결혼을 요구한다. 딸이 아버지를 거부하자, 아버지가 딸의 손과 젖가슴을 자르고 내
우리에게 널리 알려진 이야기는 이 최종판의 이야기이다. 다시 말하면 본래 행실 나쁜 처녀의 이야기였던 것이 그림형제 민담집의 편찬과정에서 요조숙녀의 이야기로 변형되고, 그같이 변형된 형태로 우리에게 알려져 온 것이다.
2. 근친상간적 이야기
근친상간은 시대를 막론하고 모든 사회계층에 걸쳐 타부로 존재하며, 근친상간의 모티브는 수많은 유럽 민담의 밑바닥에 잠복하고 있다. 그것이 그림형제의 아동과 가정을 위한 동화에서 ‘명시적으로’ 표출되는 것은 단 한 번, 털복숭이 Allerleirauh 이야기에서일 뿐이다. 현실에서와 마찬가지로 민담에서도 근친상간적 소망은 딸에 대한 아버지의 욕망인 경우가 많은데, 이 경우에 아버지는 가정에서의 자신의 절대적 권위를 이용하여 폭력적 방법으로 이 소망을 성취하려고 한다.
1) 털복숭이
죽어 가는 왕비의 요청에 따라, 왕은 다음과 같이 약속한다. 새 왕비로는 오로지 그녀만큼 아름답고 그녀의 머리털처럼 아름다운 금발여인을 취하겠노라고. 하지만 온 천하에서 그러한 여인을 찾지 못했던 왕은 문득 자신의 딸이 유일하게 그같은 조건을 충족하는 여인임을 발견하게 된다. 왕은 딸에게 결혼을 요구하고, 딸은 얼핏 불가능해 보이는 조건 - 온갖 짐승털로 만들어진 옷을 만들어 달라는 조건을 내걸며 아버지의 요구를 따돌리고자 한다. 결국 집요한 아버지의 청혼을 피하기 위해 궁정을 빠져 나와 도망한다. 그러다가 우여곡절 끝에 다른 나라의 왕의 아내가 된다.
부녀간의 근친상간적 모티브가 핵심을 이루고 있는 민담이다. 아버지가 딸을 아내로 취하는 것은 역사적으로 고대 드루이드 족의 원시풍습에 속한다. 이러한 관습이 소멸되는 시점에서 구습을 고수하고자 하는 아버지와 이를 거부하는 딸 사이에 일어날 수 있는 충돌을 보여주는 것이 털복숭이 이야기이다. 원시적 관습의 의미가 사람들의 의식 속에서 더 이상 기억되지 않게 되었을 때, 사람들은 행위로만 잔존하는 이 의미 모르는 사건에 환상적 이야기를 덧붙이게 된다. 이것이 환상적 민담의 출생배경인 것이다.
원시민족의 풍습을 알 리 없는 까마득한 후대의 사람들에게는 이같은 근친상간적 사건이 충격일 수밖에 없으며, 그러한 이야기가 언감생심 “아동과 가정을 위한 동화”가 된다는 것은 아무래도 적절하지 못하다. 하지만 딸에 대한 아버지의 요구라는 행위가 이야기의 핵심을 이루는 한, 그 행위의 제거는 애초부터 이야기를 송두리째 제거하지 않는 한 불가능한 것이다.
그림형제의 민담집 초판부터 최종판에 이르기까지 상황묘사의 변화는 이같은 딜레마를 해결하고자 하는 민담편찬자의 고심을 확인하게 해준다. 민담집 초판부터 최종판까지의 상황은 일관되게 왕이 딸에게 결혼을 집요하게 요구하는 것이다. 하지만 제 2판에서부터는 궁정대신들의 엄중한 경고가 삽입된다. “아버지가 자기 딸과 결혼할 수는 없습니다. 하나님이 금하시는 일입니다. 그러한 죄악에서 좋은 결과가 나올 수가 없지요. Gott hat verboten, daB der Vater seine Tochter heirate, aus der Sunde kann nichts Gutes entspringen.” 왕의 죄악에 왕국전체가 들끓는 듯한 분위기가 그려짐으로써, 근친상간의 부도덕성에 대한 그림형제의 비판의식이 삽입되고 있는 것이다. 근친상간의 모티브가 털복숭이 민담의 핵심을 구성하기 때문에 이 요소를 제거하지는 않지만, 그림형제는 그것의 비윤리성을 짚고 넘어가고 있는 것이다. 여기에서 우리는 두 가지 차원에서 그림형제의 의식을 확인할 수 있다. 민담원형에 대한 의식과 시민적 윤리관이다.
2) 손없는 소녀
민담 전승과정에서 은폐된 것이지만, 사실상 근친상간의 모티브가 밑바닥에 자리잡고 있는 또 하나의 민담이 있다. 일반 독자에게 알려진 손없는 소녀 이야기에서는 악마와의 계약이 가시적으로 문제가 될 뿐, 근친상간의 모티브는 은폐되어 있다. 널리 알려진 이야기는 다음과 같다. 가난한 방앗간 주인이 들판에서 악마의 나무를 베다가 악마에게 들킨다. 주인은 자기 집 방아 뒤에 있는 것을 악마에게 넘겨주기로 약속하고 목숨을 건지고, 동시에 부유한 삶을 약속 받는다. 방아 뒤에 있는 것을 사과나무라고 생각했던 그에게 악마가 삼 년 후에 찾아와서 그의 딸을 요구한다. 뒤 늦게야 자신의 과오를 깨달았지만 악마와의 약속을 피할 수 없게 된 그는 악마의 요구대로 딸의 두 손을 도끼로 자른다. 양손을 잃은 딸은 집을 떠나 헤매다가 우여곡절 끝에 이웃나라 왕의 아내가 된다. 그러나 악마가 또 여기에 끼어들어 왕모가 왕에게 전하는 편지를 바꿔쳐서, 여주인공은 또 한차례 시련을 겪는다. 그러나 마지막엔 모든 것이 해결되고 여주인공은 왕과 더불어 행복하게 산다.
그림형제의 민담집 초판에서는 아버지가 극구 말리고 집에서 편히 잘 살게 해주겠다고 약속함에도 불구하고 딸은 잘린 양손을 등에 메고 집을 떠난다. 그녀가 집을 나가야 할만한 설득력 있는 이유가 제시되지 않는다. 그림형제 민담집 초판의 손없는 소녀는 Marie Hassenpflug로부터 전해들은 Hessen 판본에 의거한 것으로, 여기에서는 악마와의 계약 때문에 아버지가 눈물을 머금고 딸의 팔을 자른다. 초판을 발행한 후에 그림형제는 여러 개의 다른 판본을 접하게 되는데(Zwehrn판본, Paderborn판본, Meklenburg판본 등등), 거기에서는 딸이 집을 떠나게 되는 보다 설득력 있는 동기가 부여되어 있다. 이들 판본에서는 아버지가 자기 딸을 탐하여 결혼을 요구한다. 딸이 아버지를 거부하자, 아버지가 딸의 손과 젖가슴을 자르고 내
추천자료
판타지 동화의 추천 및 작품성에 관한 연구
환상동화의 특징 가치 유형 평가 준거
생활동화 그림책과 지식 그림책
[환상][환상성][소설]환상(환상성)의 의미, 동화에 나타난 환상(환상성), 판타지영화에 나타...
동화란 무엇이며 동화의 특성과 동화의 종류에는 어떤 것이 있는지 논하라 - 동화종류, 동화...
생활동화와 환상동화의 비교분석.
[동화][글감][환상성][동화운동][아동문학][전래민담][헤르만 헤세]동화의 종류, 동화의 글감...
[동화][동화 가정파괴적 요소][동화 성차별의식][동화와 게르하르트 하우프트만]동화의 유형,...
[유아문학] <유아문학> 유아문학의 장르별 개념과 이념 - 운문(동시), 산문(전래동화, 환상동...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