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1. LVMH 개요
1) LVMH기업이 갖는 차별성
2) LVMH의 핵심!! “베르나르 아르노”-베르나르 아르노, 그는 누구인가.
Ⅱ. 본론
1. LVMH의 마케팅 및 성공 전략
1) 공격적인 성장 전략
2) 시너지 전략
3) 분권화된 브랜드 전략
4) 스토리텔링과 이미지를 결합한 마케팅 전략
2. LVMH 최고의 브랜드 ‘루이비통’
1) 루이비통 소개
2) 루이비통의 SWOT 분석
3) 루이비통의 STP 전략
4) 루이비통의 4P`s
5) 루이비통의 브랜드전략
6) Demarketing 전략
Ⅲ. 결론
Ⅳ. 토론 문제
토론문제 1 ~ 3
Ⅴ. 참고 문헌 및 웹사이트
1. LVMH 개요
1) LVMH기업이 갖는 차별성
2) LVMH의 핵심!! “베르나르 아르노”-베르나르 아르노, 그는 누구인가.
Ⅱ. 본론
1. LVMH의 마케팅 및 성공 전략
1) 공격적인 성장 전략
2) 시너지 전략
3) 분권화된 브랜드 전략
4) 스토리텔링과 이미지를 결합한 마케팅 전략
2. LVMH 최고의 브랜드 ‘루이비통’
1) 루이비통 소개
2) 루이비통의 SWOT 분석
3) 루이비통의 STP 전략
4) 루이비통의 4P`s
5) 루이비통의 브랜드전략
6) Demarketing 전략
Ⅲ. 결론
Ⅳ. 토론 문제
토론문제 1 ~ 3
Ⅴ. 참고 문헌 및 웹사이트
본문내용
고와 뒤섞여 버리기 때문에 오히려 역효과를 낸다. 게다가 프로그램 사이에 광고가 들어가면 해당 프로그램의 인상이 남는다는 것을 부정할 수 없다. 예를 들어 어떤 프로그램을 보려고 텔레비전을 켰는데 우연히 루이비통의 광고가 흘러나왔고 그 직후 보려고 했던 프로그램이 시작하면 루이비통 광고는 그 프로그램의 이미지와 영향을 받게 된다. 15초의 광고와 프로그램으로 제품에 대한 인상과 프로그램의 정보를 내보내려고 하는 것이 텔레비전이다.
루이비통뿐 아니라 브랜드를 관리할 때는 브랜드 이미지의 일관성을 중요시한다. 비록 ㅖ은 순간이라도 다른 정보가 뒤섞일 가능성이 있는 텔레비전 광고는 선택하지 않는 편이 브랜드 이미지의 일관성에 더욱 뛰어난 효과가 있다고 판단하는 것이다.
3. 리치와 리치니스의 상충관계
리치와 리치니스는 정보의 경제성이나 광고 미디어의 특성 등 을 이야기할 때 등장하는 용어로써 리치는 정보 도달범위의 크기를 말하고, 리치니스는 전달되는 정보의 충실도를 말한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텔레비전 광고 등은 리치 중시의 광고 수단이고, 개별 면담을 통한 제품 소개 등은 리치니스 중시의 광고 수단이다. 리치와 리치니스는 통상 상충관계에 있다. (trade-off) 귀족 마케팅을 주도하는 루이비통은 단연 리치니스를 중시한 광고를 선택할 것이다.
<리치 중시를 선택하면 안되는 이유>
1) 루이비통 같은 럭셔리 브랜드 비즈니스는 대량 마케팅이 아니다.
대중 전체를 상대로 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도달 범위의 크기는 중요하지 않다. 도달 범위의 크기는 리치니스 중시 정보 발신의 약점이지만, 루이비통은 이 약점에 신경 쓸 필요가 없다.
2) 리치 중시의 광고 매체는 정보량이 적다.
15초라는 ㅖ은 시간의 영상 표현으로는 루이비통이 의도하는 메시지를 시청자에게 전달할 수 없다고 판단했을 것이다. 차라리 잡지나 백화점에서의 고급스럽고 인상깊은 한 장의 화보사진이 소비자에게 강렬한 인상을 남길 수 있을 것이며. 일부 vip초청 및 루이비통 주최의 행사를 개최하여 방송매체의 조명을 받는 것이 TV 광고보다 더 브랜드 이미지를 높일 수 있을 것이다.
<리치니스 중시의 정보 발신이 장점>
리치니스 중시의 정보발신은 마인드 쉐어(광고 등의 커뮤니케이션 활동을 통해 수신자 측의 마음속에 광고 상품이나 서비스 또는 기업이 자리잡게 하는것)를 확대할 수 있기 때문에 브랜드 로열티를 의도적으로 겨냥하여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는 점이다. 마인드 쉐어는 마켓 쉐어(시장점유율)와 비교하여 자주 등장하는 용어이다.
마켓 쉐어를 확대한다는 것은 신규 고객을 획득하여 고객 수를 늘리려는 움직임을 말하며 ‘숫자’ 차원에서의 점유를 뜻한다. 그에 반해 마인드 쉐어는 기존 고객을 더욱 확실하게 잡아 두려는 움직임을 말하며 ‘정서’ 차원의 점유를 뜻한다. “당신이 좋아하는 브랜드는 무엇인가?” 라는 질문을 받았을 때 가장 먼저 머리에 떠오르는 브랜드가 당신의 마인드 쉐어 1위 브랜드이다. 브랜드 로열티는 특정 브랜드를 매우 좋아하는 열렬한 고객을 말한다. 루이비통을 자주 이용하는 상류층들의 마인드 쉐어는 루이비통이 차지한다. 브랜드 로열티의 획득은 대다수 기업이 원하는 것으로 그를 위해 기존 고객 만족에 힘쓰거나 리치니스 중시의 정보 발산하는 접근 방법을 쓴다. 가방의 손질방법, 신제품의 특징이나 무라카미 다카시나 마크 제이콥스에 관한 이야기 등 루이비통은 직원과 고객이 친밀한 대화를 나눌 수 있도록 정보의 충실도를 중요시하고 있다.
토론문제 3. 2008년 3월, 유로/달러의 환율은 1유로당 1.5달러였다. 11월에는 1유로당 1.25달러였다. 11월
에는 1유로당 1.25달러로 달러가 강화되었다. 유럽의 명품 시장 관계자가 12월이 휴가 매출에
관련하여 8,000유로 상당의 트위드 슈트의 가격을 10% 인하했다고 가정해 보자. 이러한 상황에
서 달러를 유로로 환전했을 때, 이것이 수익에 영향을 끼치는가.
2008년 3월 유로/달러 = 1유로 : 1.5달러,
11월 유로/달러 = 1유로 : 1.25달러 유로화 약세/달러화 강세
만약 3월에 8,000유로의 트위드 슈트 구매시 = 12,000달러
11월에 8,000유로의 트위드 슈트 구매시 = 10,000달러
이런 상황에서 8,000유로의 트위드 슈트 가격을 10% 인하 = 7,200유로
달러화 소지자가 달러를 유로화로 환전시 더 많은 유로화를 소지할 수 있으며, 달러화 강세가 지속되는 상황에서 유로화 표시 상품 가격이 하락하므로 구매력이 상승할 것으로 예상됨. 그러므로 수익이 개선될 수 있는 여지가 충분하다고 판단됨.
Ⅴ. 참고 문헌 및 웹사이트
[참고 문헌]
남양호 연구원, 명품의 탄생과 성공 비결, 삼성경제연구소, 2006.11
LVMH 반기보고서(Rapport Semestriel), LVMH 홈페이지, 2011.6
LVMH 2010년 연례보고서(Annual Report), LVMH 홈페이지, 2011
LVMH 2009년 연례보고서(Annual Report), LVMH 홈페이지, 2010
조선일보사, 주간조선, 2006년 9월 4일자 (1920호)
이학식 안광호 하영원, 소비자행동 - 마케팅 전략적 접근, 법문사, 2005, 제3판 9쇄
김대영, 명품 마케팅, 미래의창, 2004
박찬표, 프랑스 광고 산업의 이해, 한국방송광고공사, 2004
[참고 웹사이트]
LVMH 그룹 홈페이지, http://www.lvmh.com
루이 비통 홈페이지, http://www.louisvuitton.co.kr
헤네시 홈페이지, http://www.hennessy.com
PPR 그룹 홈페이지, http://www.ppr.com
로레알 그룹 홈페이지, http://www.loreal.com
로레알 코리아 홈페이지, http://www.loreal.co.kr
리치몬트 그룹 홈페이지, http://www.richemont.com
프라다 그룹 홈페이지, http://www.prada.com
삼성경제연구소, http://www.seri.org
LG경제연구원, http://www.lgeri.com
네이버 뉴스에 취합된 각종 언론 기사, http://news.naver.com
루이비통뿐 아니라 브랜드를 관리할 때는 브랜드 이미지의 일관성을 중요시한다. 비록 ㅖ은 순간이라도 다른 정보가 뒤섞일 가능성이 있는 텔레비전 광고는 선택하지 않는 편이 브랜드 이미지의 일관성에 더욱 뛰어난 효과가 있다고 판단하는 것이다.
3. 리치와 리치니스의 상충관계
리치와 리치니스는 정보의 경제성이나 광고 미디어의 특성 등 을 이야기할 때 등장하는 용어로써 리치는 정보 도달범위의 크기를 말하고, 리치니스는 전달되는 정보의 충실도를 말한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텔레비전 광고 등은 리치 중시의 광고 수단이고, 개별 면담을 통한 제품 소개 등은 리치니스 중시의 광고 수단이다. 리치와 리치니스는 통상 상충관계에 있다. (trade-off) 귀족 마케팅을 주도하는 루이비통은 단연 리치니스를 중시한 광고를 선택할 것이다.
<리치 중시를 선택하면 안되는 이유>
1) 루이비통 같은 럭셔리 브랜드 비즈니스는 대량 마케팅이 아니다.
대중 전체를 상대로 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도달 범위의 크기는 중요하지 않다. 도달 범위의 크기는 리치니스 중시 정보 발신의 약점이지만, 루이비통은 이 약점에 신경 쓸 필요가 없다.
2) 리치 중시의 광고 매체는 정보량이 적다.
15초라는 ㅖ은 시간의 영상 표현으로는 루이비통이 의도하는 메시지를 시청자에게 전달할 수 없다고 판단했을 것이다. 차라리 잡지나 백화점에서의 고급스럽고 인상깊은 한 장의 화보사진이 소비자에게 강렬한 인상을 남길 수 있을 것이며. 일부 vip초청 및 루이비통 주최의 행사를 개최하여 방송매체의 조명을 받는 것이 TV 광고보다 더 브랜드 이미지를 높일 수 있을 것이다.
<리치니스 중시의 정보 발신이 장점>
리치니스 중시의 정보발신은 마인드 쉐어(광고 등의 커뮤니케이션 활동을 통해 수신자 측의 마음속에 광고 상품이나 서비스 또는 기업이 자리잡게 하는것)를 확대할 수 있기 때문에 브랜드 로열티를 의도적으로 겨냥하여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는 점이다. 마인드 쉐어는 마켓 쉐어(시장점유율)와 비교하여 자주 등장하는 용어이다.
마켓 쉐어를 확대한다는 것은 신규 고객을 획득하여 고객 수를 늘리려는 움직임을 말하며 ‘숫자’ 차원에서의 점유를 뜻한다. 그에 반해 마인드 쉐어는 기존 고객을 더욱 확실하게 잡아 두려는 움직임을 말하며 ‘정서’ 차원의 점유를 뜻한다. “당신이 좋아하는 브랜드는 무엇인가?” 라는 질문을 받았을 때 가장 먼저 머리에 떠오르는 브랜드가 당신의 마인드 쉐어 1위 브랜드이다. 브랜드 로열티는 특정 브랜드를 매우 좋아하는 열렬한 고객을 말한다. 루이비통을 자주 이용하는 상류층들의 마인드 쉐어는 루이비통이 차지한다. 브랜드 로열티의 획득은 대다수 기업이 원하는 것으로 그를 위해 기존 고객 만족에 힘쓰거나 리치니스 중시의 정보 발산하는 접근 방법을 쓴다. 가방의 손질방법, 신제품의 특징이나 무라카미 다카시나 마크 제이콥스에 관한 이야기 등 루이비통은 직원과 고객이 친밀한 대화를 나눌 수 있도록 정보의 충실도를 중요시하고 있다.
토론문제 3. 2008년 3월, 유로/달러의 환율은 1유로당 1.5달러였다. 11월에는 1유로당 1.25달러였다. 11월
에는 1유로당 1.25달러로 달러가 강화되었다. 유럽의 명품 시장 관계자가 12월이 휴가 매출에
관련하여 8,000유로 상당의 트위드 슈트의 가격을 10% 인하했다고 가정해 보자. 이러한 상황에
서 달러를 유로로 환전했을 때, 이것이 수익에 영향을 끼치는가.
2008년 3월 유로/달러 = 1유로 : 1.5달러,
11월 유로/달러 = 1유로 : 1.25달러 유로화 약세/달러화 강세
만약 3월에 8,000유로의 트위드 슈트 구매시 = 12,000달러
11월에 8,000유로의 트위드 슈트 구매시 = 10,000달러
이런 상황에서 8,000유로의 트위드 슈트 가격을 10% 인하 = 7,200유로
달러화 소지자가 달러를 유로화로 환전시 더 많은 유로화를 소지할 수 있으며, 달러화 강세가 지속되는 상황에서 유로화 표시 상품 가격이 하락하므로 구매력이 상승할 것으로 예상됨. 그러므로 수익이 개선될 수 있는 여지가 충분하다고 판단됨.
Ⅴ. 참고 문헌 및 웹사이트
[참고 문헌]
남양호 연구원, 명품의 탄생과 성공 비결, 삼성경제연구소, 2006.11
LVMH 반기보고서(Rapport Semestriel), LVMH 홈페이지, 2011.6
LVMH 2010년 연례보고서(Annual Report), LVMH 홈페이지, 2011
LVMH 2009년 연례보고서(Annual Report), LVMH 홈페이지, 2010
조선일보사, 주간조선, 2006년 9월 4일자 (1920호)
이학식 안광호 하영원, 소비자행동 - 마케팅 전략적 접근, 법문사, 2005, 제3판 9쇄
김대영, 명품 마케팅, 미래의창, 2004
박찬표, 프랑스 광고 산업의 이해, 한국방송광고공사, 2004
[참고 웹사이트]
LVMH 그룹 홈페이지, http://www.lvmh.com
루이 비통 홈페이지, http://www.louisvuitton.co.kr
헤네시 홈페이지, http://www.hennessy.com
PPR 그룹 홈페이지, http://www.ppr.com
로레알 그룹 홈페이지, http://www.loreal.com
로레알 코리아 홈페이지, http://www.loreal.co.kr
리치몬트 그룹 홈페이지, http://www.richemont.com
프라다 그룹 홈페이지, http://www.prada.com
삼성경제연구소, http://www.seri.org
LG경제연구원, http://www.lgeri.com
네이버 뉴스에 취합된 각종 언론 기사, http://news.naver.com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