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본론
피아제와 비고스키가 언어발달에 대해 제시한 이론적 내용 설명
1. 피아제의 이론적 내용과 나의 경험
1) 감각 운동기
2) 전조작기
3) 구체적 조작기
4) 형식적 조작기
2. 비고스키(비고츠키)의 이론적 내용과 나의 경험
1) 제 1단계(0세~ 2세)
2) 제 2단계(2~3세)
3) 제 3단계(3~6세)
4) 제 4단계(7세)-내적인 언어 단계
Ⅲ. 결론
Ⅳ. 참고자료
Ⅱ. 본론
피아제와 비고스키가 언어발달에 대해 제시한 이론적 내용 설명
1. 피아제의 이론적 내용과 나의 경험
1) 감각 운동기
2) 전조작기
3) 구체적 조작기
4) 형식적 조작기
2. 비고스키(비고츠키)의 이론적 내용과 나의 경험
1) 제 1단계(0세~ 2세)
2) 제 2단계(2~3세)
3) 제 3단계(3~6세)
4) 제 4단계(7세)-내적인 언어 단계
Ⅲ. 결론
Ⅳ. 참고자료
본문내용
억 보조수단을 사용하기도 한다.
비고츠키는 개인정신간 기능의 국면에서 언어의 매개기능과 개인 정신 내 기능의 국면에서의 매개기능의 중간지점에서 자기중심적 언어를 설명한다. 자기중심적 말은 겉으로 표현된 외적 언어이긴 하지만 스스로를 조절하고 긴장을 완화시키는 내적 언어의 속성도 지니고 있어서 문제해결을 위한 계획을 세우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자기중심적 언어는 아동의 사회적 언어와 행동을 개인 내부의 정신기능의 한 영역으로 변형시키는 한 근거이기도하다. 다시 말하면 타인과의 의사소통했던 것처럼 자기 자신과의 의사소통을 시작하게 되는 것인데 생각해서 말한다기보다는 소리 내어 생각한다고 표현할 수 있겠다. 혼잣말은 아동으로 하여금 자신의 행동을 더욱 신중하게 하는데 도움을 주기도 할 뿐만 아니라 직접 자신의 행동을 통제하도록 하는 기능도 지닌다.
5살 무렵 나는 사과를 사가로 불렀고, 친 언니를 언니 이름의 뒷글짜를 본 따 후야라고 불렀다고 한다. 즉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단어가 아닌 자기중심적 언어를 구사한 것이다.
4) 제 4단계(7세)-내적인 언어 단계
이 단계는 언어가 사고로 내면화 된 단계이다. 혼잣말은 아동이 자람에 따라 사라지지 않고 내적 언어를 구성하기 위한 기초가 되고, 아동내부의 내적 언어가 된 뒤에는 곧 언어적 사고(verbal thinking)가 된다. 내적 언어는 아동의 혼잣말 형태와 비슷해서 자기 지향적이다. 내적이고 자기 자신에게 말하는 것이므로 스스로 그 말을 들을 수는 있지만 소리 내어 말하지는 않는다.
초등학교에 입학한 후 나는 내가 간호사가 되고, 선생님이 되었다는 가정을 한 후 나에 대해 말을 하고 친구들이나 환자들에게 말을 하는 혼자놀이를 많이 한것 같다. 약간 이상하게 생각될지도 모르겠으나, 아직까지 나는 나 스스로에게 말을 자주 거는 편이다.
Ⅲ. 결론
지금까지 피아제와 비고스키 언어발달 이론에 대하여 기술해보고 각 단계에 맞는 나의 경험도 서술해 보았다. 각기 다른 두 언어발달 이론 중에 어떤 이론이 맞고 틀리다고 말하는 것은 무의미 하다고 생각한다. 영유아 교육현장에서 두 이론을 참고로 영유아 발달에 유용하게 쓰일 수 있는 이론을 참고하여 영유아 발달에 만전을 기해야 되지 않을까 생각해본다.
Ⅳ. 참고자료
사고와 언어 L.S. 비고츠키 저 | 윤초희 역 | 교육과학사 | 2012.09.30
영유아발달 이영, 이정희 외 3명 저 | 학지사 | 2013.03.13
비고츠키는 개인정신간 기능의 국면에서 언어의 매개기능과 개인 정신 내 기능의 국면에서의 매개기능의 중간지점에서 자기중심적 언어를 설명한다. 자기중심적 말은 겉으로 표현된 외적 언어이긴 하지만 스스로를 조절하고 긴장을 완화시키는 내적 언어의 속성도 지니고 있어서 문제해결을 위한 계획을 세우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자기중심적 언어는 아동의 사회적 언어와 행동을 개인 내부의 정신기능의 한 영역으로 변형시키는 한 근거이기도하다. 다시 말하면 타인과의 의사소통했던 것처럼 자기 자신과의 의사소통을 시작하게 되는 것인데 생각해서 말한다기보다는 소리 내어 생각한다고 표현할 수 있겠다. 혼잣말은 아동으로 하여금 자신의 행동을 더욱 신중하게 하는데 도움을 주기도 할 뿐만 아니라 직접 자신의 행동을 통제하도록 하는 기능도 지닌다.
5살 무렵 나는 사과를 사가로 불렀고, 친 언니를 언니 이름의 뒷글짜를 본 따 후야라고 불렀다고 한다. 즉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단어가 아닌 자기중심적 언어를 구사한 것이다.
4) 제 4단계(7세)-내적인 언어 단계
이 단계는 언어가 사고로 내면화 된 단계이다. 혼잣말은 아동이 자람에 따라 사라지지 않고 내적 언어를 구성하기 위한 기초가 되고, 아동내부의 내적 언어가 된 뒤에는 곧 언어적 사고(verbal thinking)가 된다. 내적 언어는 아동의 혼잣말 형태와 비슷해서 자기 지향적이다. 내적이고 자기 자신에게 말하는 것이므로 스스로 그 말을 들을 수는 있지만 소리 내어 말하지는 않는다.
초등학교에 입학한 후 나는 내가 간호사가 되고, 선생님이 되었다는 가정을 한 후 나에 대해 말을 하고 친구들이나 환자들에게 말을 하는 혼자놀이를 많이 한것 같다. 약간 이상하게 생각될지도 모르겠으나, 아직까지 나는 나 스스로에게 말을 자주 거는 편이다.
Ⅲ. 결론
지금까지 피아제와 비고스키 언어발달 이론에 대하여 기술해보고 각 단계에 맞는 나의 경험도 서술해 보았다. 각기 다른 두 언어발달 이론 중에 어떤 이론이 맞고 틀리다고 말하는 것은 무의미 하다고 생각한다. 영유아 교육현장에서 두 이론을 참고로 영유아 발달에 유용하게 쓰일 수 있는 이론을 참고하여 영유아 발달에 만전을 기해야 되지 않을까 생각해본다.
Ⅳ. 참고자료
사고와 언어 L.S. 비고츠키 저 | 윤초희 역 | 교육과학사 | 2012.09.30
영유아발달 이영, 이정희 외 3명 저 | 학지사 | 2013.03.13
추천자료
피아제와 비고스키의 구성주의적 인식론 비교
비고스키(Vygotsky)의 이론에 대한 자료
레지오 에밀리아
교육심리학 키워드 정리
비고츠키의 인지발달이론과 교육에의 적용
[언어발달이론] 아동의 학습이론, 생득이론, 인지발달이론(피아제, 비고츠키 이론)
[아동발달]비고츠키의 인지이론에 대한 모든 것(비고츠키의 사회문화적 인지이론의 정의 및 ...
피아제와 비고츠키의 이론 설명 및 두이론의 비교(공통점과 차이점), 영유아 교육에 미친 시...
영유아 프로그램 개발과 평가 (레지오 에밀리아 접근법 개념)
영유아프로그램개발과평가 - 구성주의와 문화맥락주의
영유아교육프로그램- 구성주의호원대부속유치원
아동수학교육에 대한 각 학자들의 이론을 정리해 보고 한 가지 이론에 근거한 실제 아동수학...
유아의 긁적거리기 행동의 중요성을 유아의 쓰기발달 이론에 기초하여 논의하시오.
[교육과정 A형] 교육에서 구성주의 이론의 정의가 무엇인지 설명하고 구성주의에 근거한 교수...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