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교회와 빈곤의 문제에 대한 연구
들어가는 말: 교회와 빈곤의 문제
Ⅰ.서 론
1. 들어가는 말
2. 문제제기
Ⅱ. 본 론
1.이론적 고찰
1) 절대 빈곤과 상대빈곤
2) 빈곤의 측정
3) 빈곤의 관점
2. 한국사회의 빈곤 문제와 실태
1) 1인 가구 빈곤
2) 아동 빈곤
3) 노인 빈곤
≪OECD 회원국 노인 상대적 빈곤율 및 순위, OECD≫
3. 빈곤 정책의 문제점 및 개선 방안
기타.빈곤의 사회적 기능
참고 자료
들어가는 말: 교회와 빈곤의 문제
Ⅰ.서 론
1. 들어가는 말
2. 문제제기
Ⅱ. 본 론
1.이론적 고찰
1) 절대 빈곤과 상대빈곤
2) 빈곤의 측정
3) 빈곤의 관점
2. 한국사회의 빈곤 문제와 실태
1) 1인 가구 빈곤
2) 아동 빈곤
3) 노인 빈곤
≪OECD 회원국 노인 상대적 빈곤율 및 순위, OECD≫
3. 빈곤 정책의 문제점 및 개선 방안
기타.빈곤의 사회적 기능
참고 자료
본문내용
무려 30%포인트로 회원국 중에 최악이어서 앞으로도 고령층의 빈곤 정도는 더욱 심해질 것이라고 한다.
상황은 갈수록 더 심각해지고 있다. 한국의 노인 인구는 지난해 500만명을 넘어 전체 인구에서 차지하는 비율이 10.3%로 높아졌다. 2050년에는 38.2%로 선진국 평균 26.2%보다도 더 높아질 전망이라고 한다. 인구 역시 지금보다 641만명이 줄어 노동인구 한 명이 노인 한 사람을 부양해야 할 판이다. 한국이 역사상 가장 빠른 속도로 초고령 사회가 될 것이라고 OECE는 경고한다.
≪OECD 회원국 노인 상대적 빈곤율 및 순위, OECD≫
국가
한국
아일
랜드
멕시코
호주
미국
그리스
일본
스위스
스페인
포르
투갈
OECD
평균
노인
빈곤율
45%
31%
28%
27%
4%
23%
22%
18%
17%
17%
13%
3. 빈곤 정책의 문제점 및 개선 방안
1. 기회 평등의 제고
2. 사회보장의 확충
현실성 있는 제도, 국민기초생활보장 제도의 개선
3. 적극적 노동시장 정책
실업대책, 일자리 창출, 비정규직 문제 해결
4. 자활사업의 확충
고용지원센터, 직업 훈련원 증가
5. 최저임금의 상향
참고 자료
-사회문제론, 김종일외(청목출판사: 2005)
-사회문제와 사회복지, 홍금자외(인간과 복지: 2000)
-최신사회문제론, 김윤재(유풍출판사: 2005)
-사회문제론, 원석조(양서원: 2001)
-사회문제와 사회복지, 표갑수(나남출판: 2006)
-http://blog.naver.com/pmsns02?Redirect=Log&logNo=10086441959
-http://blog.naver.com/parisienne_e?Redirect=Log&logNo=150104783519
기타.빈곤의 사회적 기능
가난으로부터 고통을 받고 있는 빈민들은 가난으로부터 벗어나기를 간절히 원하고, 또 일반사람들은 가난이라는 사회문제가 해결되길 바란다. 그럼에도 빈곤은 잘 해결되지 않고 있다. 그 이유 중 하나는 우리는 H.J.Gans가 말한 빈곤의 사회적 기능에서 찾을 수 있다. Gans는 사회적 현상을 기능과 역기능으로 파악하는 Merton의 기능분성을 빈곤에 적용시켜 빈곤에 무려 열다섯 가지의 기능이 있다고 주장하였다.
①빈민은 '지저분한 일'을 처리해 준다. 빈민이 존재하기 때문에 낮은 임금에 지저분한 일, 그래서 중간계층은 하지 않으려 하는 일들을 해결할 수 있다.
②빈민은 직.간접적으로 부유층에 이익을 주는 활동을 재정적으로 지원한다. 빈민의 저임금은 민간경제의 소비와 투자를 진작시킨다. 예컨대, 저 임금의 가정부는 고용주의 생활을 편하게 해주고, 부유층 여성들이 다양한 전문적, 문화적, 사회적 활동을 할 수 있게 만든다. 그리고 역진적인 지방세와 상품세를 부담함으로써 더 잘사는 납세자들을 재정적으로 지원한다. 또 빈민은 병원 환자나 의학의 실험대상이 됨으로써 그런 의학적 성과의 수혜자가 되느 부자들을 돕고 있다.
③빈민은 많은 직업과 전문직종을 만들게 해준다. 빈민을 대상이나 고객으로 활동하는 경찰, 변호사, 사법당국, 사회사업가 등이 그들이다. 또 빈민을 대상으로 번성하는 도박, 마약, 값싼 술, 목사, 전도사, 전당포등도 마찬가지이다.
④빈민은 일반 사람들이 피하는 상품을 구입함으로써 그 상품의 경제적 유용성을 연장시켜 준다.오래된 빵이나 과일과 야채, 중고 의류, 중고차, 낡은 집 등이 그것이다. 또 빈민은 부유한 고객이 외면하는 늙고 실력없는 의사, 변호사, 교사, 기술자 들이 고객이 되어 이들의 주수입원이 되어 주기도 한다.
⑤빈민은 지배적 법규범을 강화시켜 준다. 근명, 정직, 일부일처제 등 지배적인 규범을 강화하기 위해서는 나태, 낭비, 부정직, 성 문란등을 이유로 도덕적 또는 법적 제재의 대상이 되는 사람이 필요하다. 빈민들이 주로 그 대상이 된다.
⑥빈민들에게 도움을 주는 사람에게 심리적 만족감을 준다. 연민, 자비심, 동정심을 가진 사람들이 빈민을 돕는 활동을 함으로써 스스로를 도덕적인 사람이나 기독교 윤리의 실천자로 여기게 된다.
⑦ ⑤의 설명과 반대로 빈민은 부유한 사람들에게 대리경험의 기회를 준다. 빈민들의 무절제한 성행위, 알코올중독, 마약남용 등에 대한 부유층의 반응이 그것이다.
⑧빈민은 비빈민의 사회적 지위를 보장해준다. 비빈민은 빈민과의 지위 비교를 통해 자신의 지위를 확인한다.
⑨빈민은 비빈민의 계층 상승을 도와준다. 빈민을 교육기회를 거부하거나 어리석고 가르치기 힘든 존재로 정형화함으로써 다른 사람들이 더 나은 일자리를 갖기 위해 노력하도록 독려한다. 또 경찰이나 빈민가의 상정 주인이 되어 자신과 그 자녀들의 지위 상승을 도모할 수 있다.
⑩빈민은 비영리적 집단을 활성화시켜 준다. 자선사업이나 사회사업기관 및 협회등이 대표적이다.
⑪빈민은 문화적 기능도 수행한다. 빈민은 피라미드, 사원, 교회 등의 건축에 육체노동을 제공했다. 또 고급문화를 만드는 예술가와 지식인을 재정적으로 지원하는데 소요되는 잉여가치를 생산하는 사람도 빈민이다.
⑫빈민이 만든 빈곤 하위문화를 부유층이 수용하기도 했다. 빈민들의 음악, 예컨대 재즈, 블루스, 흑인 영가, 록과 빈민 묵학 등이 그것이다.
⑬빈민은 사회의 변화와 성장에 필요한 경제적, 정치적 비용을 부담한다. 빈민은 도시의 건설 노동자, 도시재개발의 대상, 도시 발전에 필요한 공간의 양보, 군 입영 등등을 통해 그런 역할을 감수한다.
⑭빈민은 정치과정의 형성에도 기여해왔다. 빈민은 투표율이 매우 낮아 정치체계로부터 무시당해왔다. 이는 미국 정치를 더욱 중앙집권화 시켰을 뿐만 아니라 안정시키기도 했다. 또 빈민은 주로 민주당에 투표해왔는데, 이로써 민주당이 빈민의 표에 의존하게 만들었고, 공화당 지지자로 돌아설지도 모르는 유권자들(백인 노동자 계층)을 의식하게 만들었다.
Gans가 제시한 빈민의 사회적 기능들 중에는 사실 견강부회한 점들도 많다. 그러나 빈곤현상이 사회적으로 바람직하지 않으므로 반드시 해결되어야 한다고 믿고 있는 중산층들에게 그런 빈곤현상 때문에 일정 부분 이익을 보고 있다는 사실을 깨닫게 했다는 점만큼은 인정해야 할 것이다.(미국과 멕시코 불법 이민자 들, 우리나라 불법이민자들: 값싼 노동)
상황은 갈수록 더 심각해지고 있다. 한국의 노인 인구는 지난해 500만명을 넘어 전체 인구에서 차지하는 비율이 10.3%로 높아졌다. 2050년에는 38.2%로 선진국 평균 26.2%보다도 더 높아질 전망이라고 한다. 인구 역시 지금보다 641만명이 줄어 노동인구 한 명이 노인 한 사람을 부양해야 할 판이다. 한국이 역사상 가장 빠른 속도로 초고령 사회가 될 것이라고 OECE는 경고한다.
≪OECD 회원국 노인 상대적 빈곤율 및 순위, OECD≫
국가
한국
아일
랜드
멕시코
호주
미국
그리스
일본
스위스
스페인
포르
투갈
OECD
평균
노인
빈곤율
45%
31%
28%
27%
4%
23%
22%
18%
17%
17%
13%
3. 빈곤 정책의 문제점 및 개선 방안
1. 기회 평등의 제고
2. 사회보장의 확충
현실성 있는 제도, 국민기초생활보장 제도의 개선
3. 적극적 노동시장 정책
실업대책, 일자리 창출, 비정규직 문제 해결
4. 자활사업의 확충
고용지원센터, 직업 훈련원 증가
5. 최저임금의 상향
참고 자료
-사회문제론, 김종일외(청목출판사: 2005)
-사회문제와 사회복지, 홍금자외(인간과 복지: 2000)
-최신사회문제론, 김윤재(유풍출판사: 2005)
-사회문제론, 원석조(양서원: 2001)
-사회문제와 사회복지, 표갑수(나남출판: 2006)
-http://blog.naver.com/pmsns02?Redirect=Log&logNo=10086441959
-http://blog.naver.com/parisienne_e?Redirect=Log&logNo=150104783519
기타.빈곤의 사회적 기능
가난으로부터 고통을 받고 있는 빈민들은 가난으로부터 벗어나기를 간절히 원하고, 또 일반사람들은 가난이라는 사회문제가 해결되길 바란다. 그럼에도 빈곤은 잘 해결되지 않고 있다. 그 이유 중 하나는 우리는 H.J.Gans가 말한 빈곤의 사회적 기능에서 찾을 수 있다. Gans는 사회적 현상을 기능과 역기능으로 파악하는 Merton의 기능분성을 빈곤에 적용시켜 빈곤에 무려 열다섯 가지의 기능이 있다고 주장하였다.
①빈민은 '지저분한 일'을 처리해 준다. 빈민이 존재하기 때문에 낮은 임금에 지저분한 일, 그래서 중간계층은 하지 않으려 하는 일들을 해결할 수 있다.
②빈민은 직.간접적으로 부유층에 이익을 주는 활동을 재정적으로 지원한다. 빈민의 저임금은 민간경제의 소비와 투자를 진작시킨다. 예컨대, 저 임금의 가정부는 고용주의 생활을 편하게 해주고, 부유층 여성들이 다양한 전문적, 문화적, 사회적 활동을 할 수 있게 만든다. 그리고 역진적인 지방세와 상품세를 부담함으로써 더 잘사는 납세자들을 재정적으로 지원한다. 또 빈민은 병원 환자나 의학의 실험대상이 됨으로써 그런 의학적 성과의 수혜자가 되느 부자들을 돕고 있다.
③빈민은 많은 직업과 전문직종을 만들게 해준다. 빈민을 대상이나 고객으로 활동하는 경찰, 변호사, 사법당국, 사회사업가 등이 그들이다. 또 빈민을 대상으로 번성하는 도박, 마약, 값싼 술, 목사, 전도사, 전당포등도 마찬가지이다.
④빈민은 일반 사람들이 피하는 상품을 구입함으로써 그 상품의 경제적 유용성을 연장시켜 준다.오래된 빵이나 과일과 야채, 중고 의류, 중고차, 낡은 집 등이 그것이다. 또 빈민은 부유한 고객이 외면하는 늙고 실력없는 의사, 변호사, 교사, 기술자 들이 고객이 되어 이들의 주수입원이 되어 주기도 한다.
⑤빈민은 지배적 법규범을 강화시켜 준다. 근명, 정직, 일부일처제 등 지배적인 규범을 강화하기 위해서는 나태, 낭비, 부정직, 성 문란등을 이유로 도덕적 또는 법적 제재의 대상이 되는 사람이 필요하다. 빈민들이 주로 그 대상이 된다.
⑥빈민들에게 도움을 주는 사람에게 심리적 만족감을 준다. 연민, 자비심, 동정심을 가진 사람들이 빈민을 돕는 활동을 함으로써 스스로를 도덕적인 사람이나 기독교 윤리의 실천자로 여기게 된다.
⑦ ⑤의 설명과 반대로 빈민은 부유한 사람들에게 대리경험의 기회를 준다. 빈민들의 무절제한 성행위, 알코올중독, 마약남용 등에 대한 부유층의 반응이 그것이다.
⑧빈민은 비빈민의 사회적 지위를 보장해준다. 비빈민은 빈민과의 지위 비교를 통해 자신의 지위를 확인한다.
⑨빈민은 비빈민의 계층 상승을 도와준다. 빈민을 교육기회를 거부하거나 어리석고 가르치기 힘든 존재로 정형화함으로써 다른 사람들이 더 나은 일자리를 갖기 위해 노력하도록 독려한다. 또 경찰이나 빈민가의 상정 주인이 되어 자신과 그 자녀들의 지위 상승을 도모할 수 있다.
⑩빈민은 비영리적 집단을 활성화시켜 준다. 자선사업이나 사회사업기관 및 협회등이 대표적이다.
⑪빈민은 문화적 기능도 수행한다. 빈민은 피라미드, 사원, 교회 등의 건축에 육체노동을 제공했다. 또 고급문화를 만드는 예술가와 지식인을 재정적으로 지원하는데 소요되는 잉여가치를 생산하는 사람도 빈민이다.
⑫빈민이 만든 빈곤 하위문화를 부유층이 수용하기도 했다. 빈민들의 음악, 예컨대 재즈, 블루스, 흑인 영가, 록과 빈민 묵학 등이 그것이다.
⑬빈민은 사회의 변화와 성장에 필요한 경제적, 정치적 비용을 부담한다. 빈민은 도시의 건설 노동자, 도시재개발의 대상, 도시 발전에 필요한 공간의 양보, 군 입영 등등을 통해 그런 역할을 감수한다.
⑭빈민은 정치과정의 형성에도 기여해왔다. 빈민은 투표율이 매우 낮아 정치체계로부터 무시당해왔다. 이는 미국 정치를 더욱 중앙집권화 시켰을 뿐만 아니라 안정시키기도 했다. 또 빈민은 주로 민주당에 투표해왔는데, 이로써 민주당이 빈민의 표에 의존하게 만들었고, 공화당 지지자로 돌아설지도 모르는 유권자들(백인 노동자 계층)을 의식하게 만들었다.
Gans가 제시한 빈민의 사회적 기능들 중에는 사실 견강부회한 점들도 많다. 그러나 빈곤현상이 사회적으로 바람직하지 않으므로 반드시 해결되어야 한다고 믿고 있는 중산층들에게 그런 빈곤현상 때문에 일정 부분 이익을 보고 있다는 사실을 깨닫게 했다는 점만큼은 인정해야 할 것이다.(미국과 멕시코 불법 이민자 들, 우리나라 불법이민자들: 값싼 노동)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