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본론
ⅰ. <영월영감> 이태준
ⅱ. <노다지><금따는 콩밭> 김유정
Ⅲ. 결론
Ⅱ. 본론
ⅰ. <영월영감> 이태준
ⅱ. <노다지><금따는 콩밭> 김유정
Ⅲ. 결론
본문내용
정상적이고 온건한 생각을 가진 인물이었으나 수재의 꾀임에 넘어가고 만다. 결국 그 나오기는 틀렸음을 깨닫게 되었음에도 그는 계속해서 땅을 파헤치는 바보형 인물로 전락한다. 더욱이 마지막에 이르러 수재에게 속아 넘어가는 장면에 이르러서는 완전한 바보형 인물로 고착화되고 마는 것을 볼 수 있다.
“그 흙 속에 금이 있지요?”
영식이 처가 너무 기뻐서 코다리에 고래등 같은 집까지 연상할제 수재는 시원스러이,
“네, 한 포에 오십 원씩 나와유.”하고 대답하고 오늘밤에는 꼭, 정녕코 꼭 달아나리라 생각하였다. 거짓말이란 오래 못 간다. 봉이 나서 뼈다귀도 못 추리기 전에 훨훨 벗어나는게 상책이겠다. 「금따는 콩밭」김유정.
이렇게 비정상적인 가치관, 전도된 윤리관에 바탕을 둔 욕구의 실현에서 실패하고 있는 ‘바보형 인물’들은 바로 김유정이 살던 당시의 현실세계가 무언가 전도되고 근원적으로 잘못된 것이라는 점을 시사하는 반어적 표현으로 작용하고 있는 것이다.
하지만 김유정이 그의 작품에서 묘하사고 있는 바보형 인물들의 창조는 결코 농민의 무지나 도시하층민들의 악착스러움을 비웃고자 하는 의도에서가 아님을 알 수 있다. 그것은 특히 그러한 상황의 배경이 되는 궁핍한 현실의 질곡이 어디로부터 연유하는가를 보여줌과 동시에 참혹한 현실과 절박한 상황들에서 오는 충격을 완화시키고 상황에 따르는 비애를 차단함으로써 대상을 보다 객관적으로 인식하고 그 본질에 접근시키려는 명백한 문학적 노력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Ⅲ.결론
금에대해 좋은 인식이라기 보다는 모든 작품에서 알 수 있듯이 작가들은 그 시대를 경험한 선진으로써 금에 대한 부정적인 시각을 가지로 작품에 임하였던 것으로 보인다. 이태준, 김유정 뿐만이 아니라 채만식도 「정거장근처」나 「금의 정열」에서도 알 수 있듯이 이 시대의 사람들은 황금에 정신이 팔려 식민지의 최악의 경제 상태에서도 사람의 욕망이란 식을 줄을 몰랐다. 1930년대에 불어닥친 한반도의 골드러쉬는 단순한 이야깃거리가 아니라 사회, 정기, 경제 문화 들 여러 가지 문제가 마구 뒤엉켜 빚어진 복잡한 사회현상이다. 바로 돈에 대한 열망과 황금을 향한 한국인의 뿌리깊고 집요한 집념에 인간의 도덕성과 인간다움의 상실을 낳았다. 일제 강점기속에서 근대화로 인한 자본주의로 접어들면서 함께 할 수 밖에 없었던 자본주의적 욕망을 잘 나타내 주는 이와 같은 작품들이야 말로 역사적 사실이라고 인정할 수 밖에 없을것이다.
“그 흙 속에 금이 있지요?”
영식이 처가 너무 기뻐서 코다리에 고래등 같은 집까지 연상할제 수재는 시원스러이,
“네, 한 포에 오십 원씩 나와유.”하고 대답하고 오늘밤에는 꼭, 정녕코 꼭 달아나리라 생각하였다. 거짓말이란 오래 못 간다. 봉이 나서 뼈다귀도 못 추리기 전에 훨훨 벗어나는게 상책이겠다. 「금따는 콩밭」김유정.
이렇게 비정상적인 가치관, 전도된 윤리관에 바탕을 둔 욕구의 실현에서 실패하고 있는 ‘바보형 인물’들은 바로 김유정이 살던 당시의 현실세계가 무언가 전도되고 근원적으로 잘못된 것이라는 점을 시사하는 반어적 표현으로 작용하고 있는 것이다.
하지만 김유정이 그의 작품에서 묘하사고 있는 바보형 인물들의 창조는 결코 농민의 무지나 도시하층민들의 악착스러움을 비웃고자 하는 의도에서가 아님을 알 수 있다. 그것은 특히 그러한 상황의 배경이 되는 궁핍한 현실의 질곡이 어디로부터 연유하는가를 보여줌과 동시에 참혹한 현실과 절박한 상황들에서 오는 충격을 완화시키고 상황에 따르는 비애를 차단함으로써 대상을 보다 객관적으로 인식하고 그 본질에 접근시키려는 명백한 문학적 노력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Ⅲ.결론
금에대해 좋은 인식이라기 보다는 모든 작품에서 알 수 있듯이 작가들은 그 시대를 경험한 선진으로써 금에 대한 부정적인 시각을 가지로 작품에 임하였던 것으로 보인다. 이태준, 김유정 뿐만이 아니라 채만식도 「정거장근처」나 「금의 정열」에서도 알 수 있듯이 이 시대의 사람들은 황금에 정신이 팔려 식민지의 최악의 경제 상태에서도 사람의 욕망이란 식을 줄을 몰랐다. 1930년대에 불어닥친 한반도의 골드러쉬는 단순한 이야깃거리가 아니라 사회, 정기, 경제 문화 들 여러 가지 문제가 마구 뒤엉켜 빚어진 복잡한 사회현상이다. 바로 돈에 대한 열망과 황금을 향한 한국인의 뿌리깊고 집요한 집념에 인간의 도덕성과 인간다움의 상실을 낳았다. 일제 강점기속에서 근대화로 인한 자본주의로 접어들면서 함께 할 수 밖에 없었던 자본주의적 욕망을 잘 나타내 주는 이와 같은 작품들이야 말로 역사적 사실이라고 인정할 수 밖에 없을것이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