헤지펀드(Hedge Fund)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헤지펀드(Hedge Fund)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헤지펀드란?

1. 헤지펀드의 유래와 특성

2. 헤지펀드의 분류

3. 헤지펀드의 성장

4. 헤지펀드의 현황

5. 환율에 대한 헤지펀드의 입장

6. 헤지펀드의 국내투자 전망

7. 헤지펀드의 국제동향 및 국내 도입 방향 & 시사점

헤지펀드 [Hedge Fund] 란?

본문내용

을 가지고 있다.
첫째, 헤지펀드는 운용실태나 투자규모, 투자대상을 공개하지 않기 때문에 회사의 정확한 숫자나 자본금 규모도 알려져 있지 않다. 일반 투자펀드와의 경계도 분명하지 않고 투자활동이 다양하기 때문에 펀드 메니저들도 자신의 펀드 이외에는 알지 못한다. 세계적인 헤지펀드의 수는 측정기관에 따라 다르지만 대체로 1998년 말 현재 4000-5000여 개에 이르며 3000억 달러 규모의 자본금을 운용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둘째, 헤지펀드는 소수 투자자를 대상으로 하는 펀드이기 때문에 미국 증권감독위원회(SEC)의 규제를 거의 받지 않는다. 따라서 헤지펀드는 월가의 투자은행이나 뮤추얼 펀드와 같은 복잡한 체계를 갖추지 않아도 마음대로 투자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파생 금융 상품, 외환거래, 주식, 채권 등 어떤 상품에라도 수익이 나올 것 같으면 다양한 기법을 동원하여 투자에 나설 수 있다.
2. 헤지펀드의 분류
- 근거법의 국적에 따라 역내 헤지펀드와 역외 헤지펀드로 구분되며, 단독펀드와 헤지펀드에 분산투자하는 펀드 오브 헤지펀드로 구분
역내펀드란 우리나라의 법률에 따라 만들어진 펀드를 말하며, 역외펀드란 외국의 법률에 따라 만들어진 펀드를 말합니다.
역외 펀드란 국내에서 자금이 조성되는 역내 펀드와 비교되는 개념으로 주식투자 대상국이 아닌 제3국에서 조성되는 주식투자용 기금이다.
다시 말해 한국증시에 투자하기 위해 일본이나 유럽, 미국 등지에서 조성된 모든 펀드가 역외 펀드의 범주에 속한다.
역외 펀드는 투자가가 속한 특정 국가의 조세제도, 또한 운용상의 제약을 피할 수 있고 조세, 금융, 행정면에서 여러 가지 이점을 향유하려는 목적에서 이용된다.
우리 나라에서 투자하는 역외 펀드는 주로 매매차익에 대한 과세가 없고 자산운용상의 법적 규제가 없는 버뮤다, 영국령 버진 아일랜드 등 조세피난지에 본거지를 두고 있는 경우가 많고 최근에는 아일랜드의 더불린이나 룩셈부르크 등이 자주 이용된다.
대표적인 역외 펀드로는 1984년에 1억 달러로 출발, 1995년 현재 6억 달러로 커진 코리아 아시아 펀드 등 모두 120개 정도의 역외 펀드가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반대로 역내펀드는 국내에서 자금이 조성되는 만큼 국내의 조세제도등에 따르게 됩니다. 역외펀드는 원칙적으로 외국법의 적용만을 받지만, 역외펀드를 내국인에게 판매하는 경우에는 제한적으로 국내법의 적용을 받게됩니다.
- 투자전략에 따른 헤지펀드 분류 체계가 조사기관별로 상이하나, Credit Suisse/Tremont 기준으로 차익거래 및 상대가치투자, 상황투자, 방향성, 기타 전략으로 구분
3.헤지펀드의 성장
□ 헤지펀드이 역사적 발전
- \'49년 알프레드 존스가 최초로 도입
- \'60년대 후반에서 \'70년대 초반까지 주식시장 침체 속에서 헤지펀드는 새로운 투자대안으로 각광받음
- \'80년대에서 \'90년대 중반까지 거시경제변수의 영향을 분석하는 매크로 펀드가 헤지펀드 시장을 주도
- \'90년대 이후 금융자유화 및 금융공학 발달로 신흥시장 펀드와 매크로 펀드가 급성장했으나, \'98년 LTCM 등 대규모 헤지펀드의 파산과 금융위기의 원흉이라는 비난으로 헤지펀드 위축
- \'00년 세계적 주식시장 침체 소에서 상대적으로 수익률이 높은 헤지펀드에 일반투자자는 물론 연기금 등 기관투자자가 몰림
- \'07년말 현재 세계 헤지펀드 운용자산은 2.3조 달러로 \'95년 970억달러 대비 23.2배 증가했으며, \'07년 말 447억 달러를 운용하는 대형 헤지펀드도 탄생
□ 헤지펀드 자산 및 펀드 수의 증가
- 헤지펀드 자산은 정보 비공개 특성 등의 이유로 발표기관별로 수치가 다양하나 공통적으로 지속 증가 추세
- 최근 들어 순자산 유입이 지속되고 있으나 미 서브프라임 모기지발 신용위기와 헤지펀드 산업 구조조정으로 투자자금유입규모 및 운용수익이 감소하여 총자산이 정체상태
Ⅱ. 산업 동향
1. 헤지펀드의 대형화
- 07년말 헤지펀드 1개당 평균 자산규모는 2.05억달러로 대형화 추세
- 기관투자자들의 투자성향 변화, 투자은행들과의 제휴, 난립했던 헤지펀드의 구조조정 등이 헤지펀드 대형화에 일조함
2. 상대적 고수익률
- 고위험, 고수익, 고변동성으로 인식되는 헤지펀드에 대한 고정관념과는 달리 과거 15년간 글로벌 헤지펀드 높은 수익률, 낮은 변동성, 높은 위험조정수익률을 기록
- 최근 미 서브프라임 사태 확산에 따른 금융시장 불안으로 헤지펀드 수이률이 정체되었으나 여전히 시장수익률보다 높은 수익률을 기록
3. 투자패턴 및 전략적 변화
□ 레버리지 축소와 공매도 증가
- \'01~\'06년중 레버리지 사용 비중이 증가했으나 \'07년 축소
- 공매도는 미 서브프라임 위기직후 큰 폭으로 증가
□ α(Alpha)값 하락 및 전통적 β에 대한 의존도가 상승
- 최근 투자자들의 고수익 기대 성향과 펀드 관리비 및 성과급 비용 등의 이유로 헤지펀드는 시장초과수익률을 추구하는 α전략을 선호
- 그러나 α값이 하락세로 인해 전통적 β에 대한 의존도가 상승
□ 헤지펀드 투자 전략의 변화
- 전략별 비중 변화 추이를 살펴보면, \'99년 이후 Long/Short Equity 전략이 가장 많이 사용되었으며, 최근 인수합병기업공개방식을 통한 수익찰출 선호 트랜드를 반영하여 Event Driven 전략의 증가세가 두드러짐
- 아울러, 최근 기관투자자들의 펀드 오브 헤지펀드나 멀티 전략에 대한 투자 증가
4. 투자자 구성 및 성향의 변화
□ 기관투자자의 비중 증가
- 펀드를 포함한 기관투자자의 비중은 \'07년 69%로 \'98년 대비 23% 상승한 반면, 개인투자자의 비중은 \'07년 31%로 기관투자자 증가분만큼 감소
□ 투자자의 상황 변화
- 일반적으로 공격적 투자성향 강화
- 그러나, IMF에 따르면 \'07.10월 이후 투자자들은 리스크 회피 경향이 강화
□ 주주행동주의 강화
- 20세기 후반 영미계 펀드를 중심으로 기업경영에 영향력을 행사하는 펀드 자본주의가 강화되는 가운데, 적대적 M&A를 활용한 경영권 쟁취 등 강성전략을 구사하는 헤지펀드가 증가
5. 감독 및 규제 강화 경향
□ 헤지펀드 감독 및 규제 강화 논의 배경
- 기관투자자
  • 가격1,4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13.08.23
  • 저작시기2013.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7469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