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의생활의 역사적 변천과정
본 자료는 7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해당 자료는 7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7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일본 의생활의 역사적 변천과정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일본 의생활의 역사적 변천과정
 ⅰ. 일본옷과 일본옷의 특징
 ⅱ. 일본복식의 역사적 변천

Ⅱ. 전통복식-여성 기모노
 ⅰ. 기모노의 종류
 ⅱ. 浴衣(ゆかた) 유카타
 ⅲ. 한*일 전통의상 비교

Ⅲ. 전통복식-남성 기모노

Ⅳ. 기모노(着物)
 ⅰ. 기모노 명칭과 입는법
 ⅱ. 오비 및 기모노를 입는날

Ⅴ.의생활과 관련된 생활예절
 ⅰ. 기모노의 문양
 ⅱ. 기모노 관련예절과 상식
 ⅲ.기모노에 대한 속설

본문내용

여성들 사이에서 유카타를 즐겨 입는다. 보통의 경우 키모노는 가격이 비싸기 때문에 매년 새것을 구입하여 입기는 어렵지만, 유카타는 원피스나 블라우스 한 장 정도 사는 것과 가격상에 큰 차이가 없어 매년 구입하여 멋을 낼 수가 있기 때문이다.
① 유래와 변천
유카타는 \'浴衣\'라고 표기한다. \'浴\'은 물을 뒤집어 쓰고 나서, 몸을 씻는다는 뜻이고, \'衣\'는 옷 즉 사람이 몸을 가리는 것의 총칭이다. 유카타의 유래는 옛날 천황이나 귀족들이 목욕할 때 사용하던 것으로, 유카타는 유카타비라(湯かたびら, 목욕 후에 몸을 닦는 수건)라는 말에서 변화된 것이며, 본래는 마지(麻紙, 목화섬유로 만든 종이)에 한정되어 있었다. 에도 시대에 들어와 서민들 생활 속으로 공중 목욕탕이 보급되면서 그때까지 마지(麻紙)였던 유카타(浴衣)도 목화지(木花紙, 목화섬유로 만든 종이)로 바뀌어, 목욕 후 땀이 나는 잠깐 사이에 입을 수 있게 되었다. 즉, 민간에서 유카타를 착용하게 된 것은 무로마치 시대 말부터 에도 시대 초기에 걸쳐서이며, 에도 시대 후기에는 홑옷 대신으로 착용한 사람도 있었다고 한다. 지금도 목욕 후에 입는 유카타와, 홑옷으로 입는 유카타로 크게 나뉘어 있다.
보통 목욕 후에 입는 유카타는 \'히로소데\'라고 해서, 겨드랑이 부분을 꿰매지 않는다. 유카타의 천은 원래 목면을 이용했으나 지금은 폴리노직, 폴리에스테르 등과 같은 화학섬유나 혼방된 천을 이용하며 유카타의 문양을 만들어 염색한다.
젊은 사람들은 핑크나 곤색같이 밝은 색깔을 주로 입는다. 일본에서 보라색은 연령에 관계 없이 입을 수 있는 무난한 색깔이라고 한다. 물론 요즈음은 다른 밝은 계통 색들도 눈에 많이 띈다. 유카타에 들어가는 문양은 남녀 차이가 있는데 여성은 주로 문양이 작고 섬세한 것이 이용되며, 남성은 큰 모양을 주로 쓰고 있다. 여성들 디자인은 능사, 버드나무에 앉은 제비 등이며, 남성인 경우는 배의 닻 등을 넣는 경우가 많다. 대부분이 자연에 관계된 것이 많으나 지금은 개성적인 디자인이 많이 나오고 있다.
② 유카타와 네마키의 차이
온천가를 가면 관광객들이 유카타 차림으로 길을 거니는 모습을 곧잘 볼 수 있다. 이들이 입고 다니는 옷은 실제로는 \'네마키\'이다. 네마키는 남녀 구별이 없고, 입었을 때 옷의 길이가 딱 맞아 앞을 여민 후에 간단한 끈 하나만 묶는다. 그에 반해 유카타는 활동할 때 입는 의상으로 옷 길이가 길다. 옷을 걸치고 여민 다음, 길이를 맞추기 위해서 허리 부분에서 옷을 접어 올려 일단 끈으로 묶게 된다. 그리고 다시 넓고 아름다운 오비를 두른다.
③소재와 무늬
유카타의 어원에서도 알 수 있듯이 원래는 모시가 유카타의 주소재였다. 그 후 무더운 여름날 시원하게 입을 수 있고 더러워져도 손쉽게 씻을 수 있으며 잘 오그라들거나 하지 않는 면 소재의 유카타가 주류가 되었다. 유카타의 무늬로는 역시 꽃 무늬가 가장 많다. 전통적인 무늬나 현대풍의 무늬할 것 없이 가장 인기가 있다. 그 밖에도 나비, 불꽃, 동물, 금붕어 등 여러 가지가 있지만, 무늬를 맞추는 방법에 따라 느낌이 다르게 연출할 수 있다.
ⅲ. 한*일 전통의상 비교
① 한복의 역사
한복이란 한민족(韓民族)의 고유한 전통 의상이며, 당(唐) 원(元) 명대(明代)의 관복제도를 받아들여 한국 고유의 복식과 조화시키면서 발전시킨 것으로, 조선옷이라고도 한다. 한복의 역사는 고구려, 백제, 신라의 삼국시대로부터 시작되었다. 처음 한복의 흔적을 발견한 것은 고구려 시대의 왕과 귀족들의 무덤 속 벽화에서였다. 고구려는 중국 당나라시대의 의상과 불교의 영향을 받았다. 그 후 한국의 왕과 몽골족 공주와의 혼사로 중국 용안시대의 옷이 한국에 들어왔고, 그것이 한복의 시초가 된 것으로 보인다. 그 오랜동안 한복은 시대에 따라 저고리 길이, 소매통 넓이, 치마폭이 약간씩 달라질 뿐, 큰 변화는 없었다. 오늘날에는 명절과 결혼식 같은 특별한 날 주로 입는다.
② 한복과 기모노의 특징
한복은 직선과 약간의 곡선이 기본을 이루어, 옷의 선이 아름답다. 특히 저고리와 치마가 쭉 뻗은 직선과 부드러운 곡선이 조화를 이루어 옷차림이 단정하고 아담하다.
한복의 아름다움은 외관으로 보이는 선의 흐름과 옷감이 지닌 색채의 조화에서 찾아볼 수 있다. 추녀의 곡선과 같이 하늘을 향한 듯한 저고리의 배레선과 도련의 곡선 동정의 예리한 직선과 조화를 이루며 여기에 깜찍하고도 앙증스러우리만큼 둥글면서도 뾰족한 작은 섶코의 선은 저고리를 한층 돋보이게 해준다.
배색도 신분 관념이 엄격한 옛날에는 나라에서 정한 금색(禁色)이 있어 이를 함부로 사용해서는 안되었다. 여자의 경우 저고리는 노란색 연두색 또는 옥색이 주를 이루었다. 그러나 오늘날에는 취미 개성 유행에 따라 여러 가지로 자유롭게 맞춰서 입는다.
한복은 둥글고, 조용하고, 한국의 얼을 담고 있다. 실크나 면, 모시로 주로 만들어졌으며, 고름의 색상이나 소매통 색상이 여자의 신분을 나타낸다. 또한 나이와 사회적 지위, 계절에 따라 색상에 변화를 줄뿐 옷의 모양은 모두 똑같다. 18m의 원단에도 불구하고 가볍고, 입기 쉬운 점이 한복의 장점이다. 최근 국내에는 한복의 장점에 실용성을 가미한 개량 한복이 자리잡아가고 있다.
기모노는 펼쳐 놓으면 완전 직선형 평면으로 구성되어 있고, 겨드랑이 부분이 트여 있다. 기본적으로 원피스 형태이며, 그 위에 덧옷을 입는 구조이다. 호주머니 대신 소매 끝을 호주머니처럼 사용할 수 있게 만들어져 있다. 기모노는 신체조건에 관계없이 재단 방법이나 크기가 일정하여 부모 자식간에도 대대로 물려 입을 수 있다.
기모노는 몸에 달라붙게 입기 때문에 행동이 조심스럽고 움직임이 자유스럽지 못한 특징이 있다. 양복과 달리 깃의 좌우방향이 남녀구별 없이 똑같은데 모두 자기쪽에서 보아 왼쪽 깃이 위로 오게 입는다. 오른쪽 옷깃이 위로 올라오게 입지 않는 것은 그것이 죽은 사람에게 입히는 방법이기 때문이다.
기모노의 가장 큰 특징은 허리에 칭칭 감는 오비이다. 허리띠를 몇 겹씩 감아 뒤쪽으로 매듭을 지은 복식은 일본이 유일하다고 한다. 오비를 뒤쪽에 감아 배면미를 연출한 것은 인간이 인간을 감상할
  • 가격2,400
  • 페이지수20페이지
  • 등록일2013.08.26
  • 저작시기2013.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7511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