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건을 매주 월요일마다 떼 오고 하기 때문에 물건에 대한 얘기와 물건 값 그리고 각각의 가게에서 나오는 매출 등을 얘기할 수 있는 좋은 기회였다. 이때 회의는 언니의 주두로 이어지지 않았다. 다들 발언의 기회가 있었고 언니든 동생이든 할 것 없이 서로의 제안과 발언을 존중해 주었다. 가끔 동생의 발언에 나무라하는 언니가 있으면 옆에 다른 언니들이 제제를 하곤 했다. 여기서 우리는 유기체적 조직의 장점을 볼 수 있다. 통제 권한 그리고 의사소통의 구조가 네트워크 형식이라는 점 그리고 의사소통이 수평적으로 이루어진다는 점이다. 하지만 이러한 점은 자칫 일에 대한 책임이 서로에게 미루어 질 수 있거나 다른 사람에게 책임을 전가할 수 있다는 단점도 있다.
세 번째 학습적 조직
다음으로 살펴봐야할 조직은 학습적 조직이다.
사실 생선가게를 하는 다섯 자매에게서 학습적 조직을 찾기란 힘들었다. 생선가게를 하면서 딱히 생선을 팔기 위해 뭔가를 배운다는 것이 없을뿐더러 다섯 자매에게는 그럴 시간조차도 없는 듯 보였다. 그러던 중 다큐멘터리에서 다섯째의 경매공부를 하는 모습을 볼 수 있었다. 막내는 제일 마지막에 생선가게에 같이 하게 되었다. 그녀는 처음에 생선가게를 할 마음이 없었다. 다른 사람들과 같이 회사생활을 하던 그녀였는데 결혼을 하고나서 회사보다 생선장사의 수익이 더 크다는 생각을 했고 어머니 아버지의 가업을 이어받아 열심히 사는 언니들을 보고 자신 또한 그렇게 해보자는 마음이 생겨 시작하게 되었다고 했다. 그러한 탓에 그녀는 처음에 좋은 생선을 볼 줄도 그리고 생선가게를 함에 있어서 중요한 경매를 보는 방법도 몰랐다. 그러한 다섯째에게 언니들은 경매를 할 줄 아는 방법부터 익히도록 한다. 앞서 말했듯이 물건을 떼 오는 일은 다섯 명의 자매가 돌아가면서 하기로 했기 때문에 다섯째에게도 경매할 줄 아는 능력이 있어야만 했다. eh한 어니들은 다섯째가 물건을 떼 오게 하면서 좀 더 많은 시간을 돌아다니며 생선을 볼 줄 아는 안목도 키우고 다른 사람들이 장사하는 모습도 보면서 좀 더 많은 것을 배우라는 의미로 다섯째를 꼭 물건을 떼 오는 일에 참여시켰다. 이는 학습조직의 모습을 잘 보여주고 있었다. 좀 더 발전할 수 있도록 기회와 자원을 제공하고 있는 모습과 또 학습을 통해 변화하는 조직의 모습을 잘 보여주고 있었다.
네 번째 문화적 조직
다섯 자매의 생선 가게에는 몇 개의 방침이 있다. 절대 좋지 않은 물건을 팔지 않겠다는 것과 손님의 돈에 욕심을 내지 않는 것 또 손님에게 있어서 예쁜 모습을 보이는 것이다.
첫째 다섯 자매는 손님을 위해 진한 화장을 한다.
그들의 장사에 대한 방침 중 손님에게 예쁜 모습을 보여줘야 한다는 방침 때문에 다섯 자매는 매일 아침마다 진한 화장을 한다. 심지어 바빠서 화장을 못하고 나오는 날이면 장터에서 장을 열 기전에 후다닥 화장을 하는 경우도 있었다. 화장을 해야 한다는 것은 다섯 자매에게 룰과 같았지만 절대 강요적인 것은 아니었다. 다섯 자매 모두 다 손님에게 좋은 모습을 보여주고 싶은 마음이었고 그렇기 때문에 화장은 꼭 하자는 약속과도 같았다. 세월이 흐르다 보니 예전의 약속은 그들에게 문화와 같이 변해버렸고 진한 화장은 다섯 자매를 대표하는 것이 되었다. 종종 손님들 중에는 이러한 다섯 자매의 화장 덕분에 찾아오는 사람도 있었다. 다섯 자매는 그런 식으로 손님들에 대한 예의를 지켰고 그런 다섯 자매를 손님들은 좋게 봐주었다.
둘째 다섯 자매는 항상 바닷가가 보이는 장터 입구에서 장사를 한다.
이것은 다섯 자매의 판매 전략이기도 하다. 그들은 장터 주위의 사람뿐 아니라 관광객들을 상대로 장사를 하고 있었다. 그렇기 때문에 바닷가가 보이는 장터 입구는 그들의 생선이 싱싱하게 보일 수 있도록 해주었고 사람들의 이목을 끌기에도 좋은 장소였다. 일부러 바닷가가 보이는 장터에서 장사하기 위해 많은 돈의 자릿세를 내면서 그 자리를 지키는 경우도 있었다. 그들에게는 하나의 방침이었지만 어느새 자신들의 문화이기도 했다. 손님들은 그러한 다섯 자매를 쉽게 기억할 수 있었고 항상 그 자리만을 고집해왔기 때문에 쉽게 손님들이 찾아 올 수 있었다.
셋째 다섯 자매의 장사에도 각각의 자리가 정해져 있다.
다섯 자매는 그들의 장터 터전뿐 아니라 자기들 사이에서도 자리를 확실히 하고 있었다. 건어물장사를 하는 넷째가 가장 끝에서 그리고 그 옆으로 둘째와 첫째가 그리고 셋째와 다섯째가 나란히 장사를 하고 있다. 넷째의 가게 옆에는 다른 가게가 없다. 다른 생선가게와
세 번째 학습적 조직
다음으로 살펴봐야할 조직은 학습적 조직이다.
사실 생선가게를 하는 다섯 자매에게서 학습적 조직을 찾기란 힘들었다. 생선가게를 하면서 딱히 생선을 팔기 위해 뭔가를 배운다는 것이 없을뿐더러 다섯 자매에게는 그럴 시간조차도 없는 듯 보였다. 그러던 중 다큐멘터리에서 다섯째의 경매공부를 하는 모습을 볼 수 있었다. 막내는 제일 마지막에 생선가게에 같이 하게 되었다. 그녀는 처음에 생선가게를 할 마음이 없었다. 다른 사람들과 같이 회사생활을 하던 그녀였는데 결혼을 하고나서 회사보다 생선장사의 수익이 더 크다는 생각을 했고 어머니 아버지의 가업을 이어받아 열심히 사는 언니들을 보고 자신 또한 그렇게 해보자는 마음이 생겨 시작하게 되었다고 했다. 그러한 탓에 그녀는 처음에 좋은 생선을 볼 줄도 그리고 생선가게를 함에 있어서 중요한 경매를 보는 방법도 몰랐다. 그러한 다섯째에게 언니들은 경매를 할 줄 아는 방법부터 익히도록 한다. 앞서 말했듯이 물건을 떼 오는 일은 다섯 명의 자매가 돌아가면서 하기로 했기 때문에 다섯째에게도 경매할 줄 아는 능력이 있어야만 했다. eh한 어니들은 다섯째가 물건을 떼 오게 하면서 좀 더 많은 시간을 돌아다니며 생선을 볼 줄 아는 안목도 키우고 다른 사람들이 장사하는 모습도 보면서 좀 더 많은 것을 배우라는 의미로 다섯째를 꼭 물건을 떼 오는 일에 참여시켰다. 이는 학습조직의 모습을 잘 보여주고 있었다. 좀 더 발전할 수 있도록 기회와 자원을 제공하고 있는 모습과 또 학습을 통해 변화하는 조직의 모습을 잘 보여주고 있었다.
네 번째 문화적 조직
다섯 자매의 생선 가게에는 몇 개의 방침이 있다. 절대 좋지 않은 물건을 팔지 않겠다는 것과 손님의 돈에 욕심을 내지 않는 것 또 손님에게 있어서 예쁜 모습을 보이는 것이다.
첫째 다섯 자매는 손님을 위해 진한 화장을 한다.
그들의 장사에 대한 방침 중 손님에게 예쁜 모습을 보여줘야 한다는 방침 때문에 다섯 자매는 매일 아침마다 진한 화장을 한다. 심지어 바빠서 화장을 못하고 나오는 날이면 장터에서 장을 열 기전에 후다닥 화장을 하는 경우도 있었다. 화장을 해야 한다는 것은 다섯 자매에게 룰과 같았지만 절대 강요적인 것은 아니었다. 다섯 자매 모두 다 손님에게 좋은 모습을 보여주고 싶은 마음이었고 그렇기 때문에 화장은 꼭 하자는 약속과도 같았다. 세월이 흐르다 보니 예전의 약속은 그들에게 문화와 같이 변해버렸고 진한 화장은 다섯 자매를 대표하는 것이 되었다. 종종 손님들 중에는 이러한 다섯 자매의 화장 덕분에 찾아오는 사람도 있었다. 다섯 자매는 그런 식으로 손님들에 대한 예의를 지켰고 그런 다섯 자매를 손님들은 좋게 봐주었다.
둘째 다섯 자매는 항상 바닷가가 보이는 장터 입구에서 장사를 한다.
이것은 다섯 자매의 판매 전략이기도 하다. 그들은 장터 주위의 사람뿐 아니라 관광객들을 상대로 장사를 하고 있었다. 그렇기 때문에 바닷가가 보이는 장터 입구는 그들의 생선이 싱싱하게 보일 수 있도록 해주었고 사람들의 이목을 끌기에도 좋은 장소였다. 일부러 바닷가가 보이는 장터에서 장사하기 위해 많은 돈의 자릿세를 내면서 그 자리를 지키는 경우도 있었다. 그들에게는 하나의 방침이었지만 어느새 자신들의 문화이기도 했다. 손님들은 그러한 다섯 자매를 쉽게 기억할 수 있었고 항상 그 자리만을 고집해왔기 때문에 쉽게 손님들이 찾아 올 수 있었다.
셋째 다섯 자매의 장사에도 각각의 자리가 정해져 있다.
다섯 자매는 그들의 장터 터전뿐 아니라 자기들 사이에서도 자리를 확실히 하고 있었다. 건어물장사를 하는 넷째가 가장 끝에서 그리고 그 옆으로 둘째와 첫째가 그리고 셋째와 다섯째가 나란히 장사를 하고 있다. 넷째의 가게 옆에는 다른 가게가 없다. 다른 생선가게와
추천자료
비공식조직의 종류와 그 기능 및 통제
학교조직풍토
조직의 구성요소
행정조직의 모든이론
교육조직이론
행정조직의 팀제 도입ㆍ운영에 관한 연구
조직변화와 쇄신
조직성과의 진단과 분석기법
경찰조직의 편성원리
사회복지조직에 적용하기에 적합한 개방체계이론에 대하여 서술
사회복지조직 내에서 일어나는 갈등의 유형과 원인을 설명하고, 이러한 갈등을 해결하기 위한...
사회복지조직에서의 총체적 품질관리(TQM : Total Quality Management)의 적용가능성
조직행동론 레포트 - 스트레스 관리의 필요성 (오토에버 시스템즈, 시스코, 사우스웨스트 항공)
경찰조직의 바람직한 방향성 A+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