멀티플렉스 롯데시네마 마케팅전략분석및 기업경영전략분석, 환경분석, 롯데시네마 현문제점과 새로운 마케팅전략제안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멀티플렉스 롯데시네마 마케팅전략분석및 기업경영전략분석, 환경분석, 롯데시네마 현문제점과 새로운 마케팅전략제안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1. 멀티플렉스 산업 선정배경
2. 멀티플렉스(Multi Plex)란?
3. 롯데시네마 기업선정배경

Ⅱ. 본론
1. 롯데시네마 소개
1-1. 롯데시네마 개요
1-2. 롯데시네마 경영 이념
1-3. 롯데시네마 연혁

2. 롯데시네마 환경 분석
2-1. 거시 환경 분석
2-2. 미시 환경 분석(롯데시네마 3C분석)
2-2-1. 고객(Customer)
2-2-2. 기업(Company)
2-2-3. 마케팅 중간상(Marketing Intermediaries)
2-2-4. 공급자(Supplier)
2-2-5. 경쟁사분석(Competitor)

3. 환경 분석 결과3-1. 롯데시네마의 SWOT 분석
강점 (strength)
약점 (weakness)
기회 (opportunity)
위협 (threat)
3-2. 롯데시네마의 STP분석
Segmentation(세분화)
Targeting(타겟 선정)
Positioning(위치)
3-3. 롯데시네마 마케팅 믹스(4P) 전략분석
제품(PRODUCT)
가격(PRICE)
유통(PLACE)
촉진(PROMOTION)


4. 롯데시네마 현문제 분석

5. 설문 분석

6. 롯데시네마 새로운 마케팅믹스 전략 제안
제품(PRODUCT)
가격(PRICE)
유통(PLACE)
촉진(PROMOTION)


Ⅵ.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의 단축을 도와줄 것이다.
6-4. 촉진(PROMOTION)
롯데시네마는 반복되는 일상과 과도한 업무로 스트레스를 받고 있는 직장인들에게 그들의 스트레스를 해소해주며 삶의 질을 개선해 줄 수 있는 여가생활공간이라는 인식을 만들어 주어야 한다. 이를 위해 BUSINESS과 BUSYNESS의 이중적 의미를 담은 직장인의 바쁜 일상, BUSYːNESS(바쁨) 프로모션을 진행한다. 바쁨이라는 단어를 부정적으로 인식할 수도 있지만, 바쁜 일상에서의 힐링 공간이 롯데시네마라는 측면에서 프로모션을 접근한다. 바쁜 직장인들에게 반복되는 일상, 숨 막히는 업무로 부터의 일탈, 휴식하는 곳이 바로 롯데시네마인 것이다. 마련한 영화관 내 휴식 공간, 오락 공간을 광고를 통해 적극적으로 프로모션 할 것이며 직장인을 위한 멤버십을 만들어 그들을 위한 전반적인 서비스에 할인 혜택을 제공할 것이다.
또 영화관 주변의 회사와 제휴를 맺어 직장인들이 점심시간이나 퇴근 1~2시간 전에 동료들과 단체로 영화 관람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이벤트 성의 서비스를 진행하여 반복되는 일상에서 권태를 느끼고 있는 직장인들에게 영화관이 작은 활력이 될 수 있도록 할 것이다.
Ⅵ. 결론
1,2차 자료 수집을 바탕으로 롯데시네마를 분석한 결과 경쟁이 심화되고 있는 시장에서 STP가 잘못 설정되어 있었고, 이에 올바른 4P전략을 이행하지 못해 결론적으로 소비자들에게 쉽게 인식될 수 있는 프로모션조차 제대로 되어있지 않은 것으로 파악되었다. 이로 인해 관객은 롯데시네마에 대해 낙후된 이미지를 갖게 되었고, 한 번 각인된 이미지는 쉽게 바뀌지 않는다. 이에 롯데시네마는 올바른 타겟 설정을 하고 포화되어 있는 시장에서 살아남기 위해 독창적인 마케팅 전략이 필요하다.
롯데시네마는 기존 중장년층 위주의 관객에서 영화관 소비가 많은 젊은 연령층을 최대한 리스크 없이 확보해야 하며 젊은 연령층 중에서도 기존의 타겟과의 위화감이 적고 경제능력을 갖춘 직장인들을 타겟으로 설정하여야 한다. 직장인들이 영화관을 많이 찾지 못하는 이유는 주로 직장에 시간을 많이 뺏기고 여가 시간에도 휴식을 원하기 때문이다.
여가 생활로 영화를 즐기고자 하는 어떤 직장인이 직장 일에 쫓겨 영화관 방문이 어려운 상황일 경우, 출퇴근 시 지하철에서 보이는 지면광고에서 롯데시네마의 분할영화 상영을 보고 한 번쯤 가고 싶다는 생각을 할 것이다. 새로워진 롯데시네마는 가독성 높은 간판이 설치되어 있거나, 직장 주변에서 흔히 볼 수 있게 되었기 때문에 쉽게 찾아가 영화를 감상할 수 있다. 이 때 롯데시네마에 방문함으로 인해 롯데시네마에 직장인 데이 등의 할인행사가 있다는 사실을 알고 재 구매 의사가 발생할 것이다. 롯데시네마에 대해 긍정적 이미지를 갖게 된 고객은, 광고 등의 프로모션 전략으로 롯데시네마에 대해 더 많은 관심을 갖게 되고 방문할 때마다 휴대폰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손쉽게 예매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영화를 기다리는 동안 혼자 또는 일행과 함께 마련된 휴식 및 오락공간에서 쉬거나 즐거운 시간을 보내다가 영화 시작 직전 휴대폰에 저장된 바코드로 바로 영화관으로 입장하여 영화를 감상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으로 이 고객은 롯데시네마에 대한 호의적인 브랜드이미지를 갖게 되며 롯데시네마를 방문하여 직장으로 인한 스트레스를 해소하게 될 것이다.
이러한 전략을 통해 롯데시네마가 직장인들의 시간을 빼앗지 않으면서 휴식이 가능한 공간이라면 직장인들은 롯데시네마로 발걸음을 옮기게 될 것이다. 직장인을 타겟으로 한 개성 있는 프로모션과 시설 개선으로 롯데시네마는 브랜드이미지를 구축할 수 있게 될 것이며, 이는 고객의 충성도가 낮은 영화관 시장에서 중요한 경쟁력으로 작용하여 롯데시네마가 선두기업이 되는 길에 큰 구름판이 될 것이다.
참고문헌
홍성욱, 『하이브리드 세상읽기』, (서울 :안그라픽스, 2003)
김주호, “멀티플렉스 영화관시설에 대한 소비자 감정 반응과 재방문 의도에 대한 실증 연구”(마케팅관리연구 제 16권 제1호 2011, 1)
조숙경, “멀티플렉스 상영관 비주얼 디자인 아이덴터티의 비교 연구”(성균관대학교 디자인대학원, 2012, 8)
채윤희 외, 『영화 프로듀싱과 홍보마케팅 입문』, (서울 : 도서출판 소고, 2001)
Kotler, 『Kotler의 마케팅 입문』, 경문사, 2011
국가고객만족지수(National Customer Satisfaction Index : NCSI)
국가브랜드경쟁력지수(National Brand Competitveness Index : NBCI)
각 회사. CGV, 롯데시네마.
김승범 기자, ‘복합영화관, 그리고 팝콘’ 조선일보, 06.04.11
송형국 기자, ‘멀티플렉스에 밀린 ’나홀로 극장‘, 작지만 의미있는 실험’ 06.05.09, 경향신문
위키백과
네이버사전
영화진흥위원회.
< 목차 >
Ⅰ. 서론
1. 멀티플렉스 산업 선정배경
2. 멀티플렉스(Multi Plex)란?
3. 롯데시네마 기업선정배경
Ⅱ. 본론
1. 롯데시네마 소개
1-1. 롯데시네마 개요
1-2. 롯데시네마 경영 이념
1-3. 롯데시네마 연혁
2. 롯데시네마 환경 분석
2-1. 거시 환경 분석
2-2. 미시 환경 분석(롯데시네마 3C분석)
2-2-1. 고객(Customer)
2-2-2. 기업(Company)
2-2-3. 마케팅 중간상(Marketing Intermediaries)
2-2-4. 공급자(Supplier)
2-2-5. 경쟁사분석(Competitor)
3. 환경 분석 결과3-1. 롯데시네마의 SWOT 분석
강점 (strength)
약점 (weakness)
기회 (opportunity)
위협 (threat)
3-2. 롯데시네마의 STP분석
Segmentation(세분화)
Targeting(타겟 선정)
Positioning(위치)
3-3. 롯데시네마 마케팅 믹스(4P) 전략분석
제품(PRODUCT)
가격(PRICE)
유통(PLACE)
촉진(PROMOTION)
4. 롯데시네마 현문제 분석
5. 설문 분석
6. 롯데시네마 새로운 마케팅믹스 전략 제안
제품(PRODUCT)
가격(PRICE)
유통(PLACE)
촉진(PROMOTION)
Ⅵ. 결론
참고문헌
  • 가격6,500
  • 페이지수43페이지
  • 등록일2013.08.28
  • 저작시기2013.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7549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