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초 치료학] 견관절 복합체[shoulder complex]에 관해 - 질환별 물리치료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기초 치료학] 견관절 복합체[shoulder complex]에 관해 - 질환별 물리치료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bone

2. joint

3. muscle

4. 관련 질환

본문내용

r
- medial & lateral pectoral N 지배
- humerus adduction, int. rotation , clavicular head- humerus flexion
4. 관련 질환
1) 유착성 관절낭염(Adhesive Capsulitis, Frozen Shoulder)
- 진단 기준 ① 견관절의 수동적 외전이 100도 이하(정상의 60%) ② 외 회전 50도 이하(정상의 55%) ③ 내회전이 70도 이하(정상의 75%) ④굴곡이 140도 이하(정상의 80%)
- 동통기(painful phase) : 점차적인 견관절의 도통이 증가하는 시기로, 수주에서 수개월간 지속된다. 통증은 외전, 외회전, 신전 시 악화된다. 심해지면 야간통이 심하고, 통증이 지속되고 환자의 팔의 움직임이 저하된다.
- 동결기(stiffening phase) : 환자는 동통 감소의 목적으로 움직임을 제한하며, 기간은 4개월에서 12개월간 지속된다. 일상 생활 활동에 제약을 받으며, 거의 항상 어깨관절에 둔통을 호소하며, 운동시에 날카로운 통증을 호소한다.
- 해리기(thawing phase) : 수주에서 수개월 지속, 운동범위가 증가되고 동통이 감소되는시기이다. 치료 없이도 운동이 정상적으로 회복되는 것을 느끼지만, 객관적인 운동 범위의완전 회복은 일어나지 않는다. 치료 없이도 운동이 정상적으로 회복 되는 것을 느끼지만객관적인 운동 범위의 완전한 회복은 일어나지 않는다.
2) 견봉하 증후군(Subacromial Syndrome)
- 견봉하 공간 : acromion과 humerus 사이의 공간, 견봉하 점액낭(subacromail bursa)과 어깨세모근 점액낭(subdeltoid bursa), rotator cuff, biceps brachii tendon 등이 있다.
- 견봉하 공간의 구조물에 염증, 유착, 파열등이 있는 경우 나타나는 임상 증상
(1) 가시위근 힘줄염(Supraspinatus Tendinitis)
- 어깨관절 자체 통증의 가장 흔한 원인
-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점액낭의 보호가 약해지며, 계속적인 기계적인 자극과 함께 가시위근 힘줄의 섬유의 퇴행성 변화와 혈류 공급의 감소가 극상 건의 염증성 반응과 석회화를 일으키고 심하면 파열될 수 있다.
a. 급성 석회화 건염(Acute Calcareous Tendinitis)
- 급성 염증은 석회화 현상과 동반
- 주로 25세에서 45세 젊은 층에 호발
- 견관절 과용후 극심한 통증 호소
- 회전 및 외전 운동은 현저히 제한되나, 시상면(sagittal plane)으로의 운동은 거의 제한 되지 않음
b. 만성 건염(Chronic Tendinitis)
- 50~60세에 호발
- 어깨관절이 60-90도 벌림 시킨 상태에서 견봉이 병변과 접촉되므로 이 범위에서 어깨관절을 능동적으로 벌림 시킬 때 동통이 유발됨 => 동통 궁 증후군(painful arc syndrome)
(2) 점액낭염(Bursitis)
- 어깨관절 부에는 견봉하 점액낭, 어깨세모근 아래 점액낭, 어
  • 가격1,8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13.08.29
  • 저작시기2013.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7564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