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청소년 약물남용의 개념
2. 청소년 약물남용의 동기 및 과정
1) 청소년 약물남용 동기
2) 청소년의 약물남용 과정
3. 약물중독의 징후와 증상
4. 약물이 인체에 미치는 영향
1) 알코올(Alcohol)
2) 담배(Nicotine)
3) 흡입제(Inhalants)
4) 대마초
5) 각성제(Stimulants)
6) 신경안정제(Minor tranquilizer)
7) 마약(Opiates)
8) 진해제·항히스타민제
5. 청소년 약물남용의 원인
1) 개인적 원인
2) 사회 환경적 원인
3) 생물학적 원인
6. 청소년 약물남용의 실태(2012년)
1) 청소년 유해약물 사용경험
2) 약물 처음 이용시기
3) 청소년 유해약물 이용 계기
4) 유해환경 이용동반자
5) 약물 이용시간대
6) 약물 이용장소
7) 약물 입수경로
8) 약물 연간 이용빈도
9) 유해약물 접촉에 대한 의견
10) 유해약물 예방교육 경험
11) 상담∙치료 경험
7. 청소년 약물남용의 대책방안
1) 가정의 대책
2) 학교의 대책
3) 사회의 대책
4) 정부의 대책
【 참고자료 】
2. 청소년 약물남용의 동기 및 과정
1) 청소년 약물남용 동기
2) 청소년의 약물남용 과정
3. 약물중독의 징후와 증상
4. 약물이 인체에 미치는 영향
1) 알코올(Alcohol)
2) 담배(Nicotine)
3) 흡입제(Inhalants)
4) 대마초
5) 각성제(Stimulants)
6) 신경안정제(Minor tranquilizer)
7) 마약(Opiates)
8) 진해제·항히스타민제
5. 청소년 약물남용의 원인
1) 개인적 원인
2) 사회 환경적 원인
3) 생물학적 원인
6. 청소년 약물남용의 실태(2012년)
1) 청소년 유해약물 사용경험
2) 약물 처음 이용시기
3) 청소년 유해약물 이용 계기
4) 유해환경 이용동반자
5) 약물 이용시간대
6) 약물 이용장소
7) 약물 입수경로
8) 약물 연간 이용빈도
9) 유해약물 접촉에 대한 의견
10) 유해약물 예방교육 경험
11) 상담∙치료 경험
7. 청소년 약물남용의 대책방안
1) 가정의 대책
2) 학교의 대책
3) 사회의 대책
4) 정부의 대책
【 참고자료 】
본문내용
2012.12))
※ “전혀 그렇지 않다(1)~매우 그렇다(5)”의 평균값
10) 유해약물 예방교육 경험
사례수(명)
예방교육 경험(%)
있다
없다
흡연 예방교육*
74,186
61.4
38.6
음주 예방교육*
74,186
34.3
65.7
환각성 물질 예방교육
14,731
28.4
71.6
(자료: 여성가족부(2012.12))
※ “2012년 청소년건강행태온라인조사”(교육과학기술부보건복지부질병관리본부)의 조사결과임
11) 상담치료 경험
< 약물 이용 관련 상담치료 경험 >
(자료: 여성가족부(2012.12))
7. 청소년 약물남용의 대책방안
1) 가정의 대책
(1) 자녀에게 모범적인 생활습관을 보여준다.
술이나 약물남용에 대한 자녀의 교육은 부모의 실제 생활여부에 달려있다고 하여도 과언이 아니다. 부모가 어려운 일이나 괴로운 일이 있을 때 그것을 술이나 어떤 약물을 복용함으로써 해결하려고 한다면 자녀도 성장한 후 그렇게 할 것이다. 그러나 부모가 술을 마시되 적당히 마시고 흐트러진 모습을 보이지 않는다면 자녀들도 이를 배우게 될 것이다. 그리고 부모들이 평소에 자녀들에게 주장한 가치관대로 행동한다면 자녀들은 부모를 품위 있고 존경할 만한 사람으로 대할 것이고 자기들도 부모님처럼 행동하려고 노력할 것이다(최영자, 2013).
(2) 가정에서의 교육 및 관심이 필요하다.
모근 부문에서의 가정교육이 중요하지만 약물과 관련해서 조기에 가정에서의 교육은 청소년들의 약물 사용예방에 절대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따라서 부모들의 교육과 지도가 절실히 요구되고 있으며 자녀들에 대한 관심과 사랑이 있어야 약물 남용을 예방할 수 있을 것이다(김석병, 2003).
(3) 부모는 자녀의 말을 경청(敬聽)하며 자녀가 긍정적인 감정을 형성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기술을 발전시켜야 한다.
2) 학교의 대책
(1) 조기교육이 필요
우리나라 청소년들의 음주와 흡연의 경우 시작연령이 매우 낮은 수준임에도 불구하고 계속 낮아지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약물 등의 예방교육은 어린 시기에 이루어져야 더욱 효과가 있고 이미 약물을 시작하고 있는 시기에는 교육이 이루어진다해도 그 효과를 크게 기대할 수 없으므로 조기에 교육이 이루어져 아예 약물 시작 그 자체를 방지하여야 하기 때문이다(김석병, 2003).
(2) 집단상담 교육을 통하여 집단성원끼리 상호간의 개인적 문제를 같이 협의하고 도와주는 기회를 마련해 준다. 이를 통해 다른 또래들의 경험·감정·괌심 등을 알게 됨으로써 자신의 문제를 보다 깊이 탐구할 수 있게 되며, 상담자와 집단 성원들의 도움을 받을 수 있고 자신도 다른 성원에게 도움을 주게 된다.
(3) 친구들의 경우 약물을 사용하는데 절대적인 영향을 미치기도 하지만 약물을 끊는데도 친구들의 영향은 매우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하기도 한다. 따라서 생활지도 등을 강화하여 친구들이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도록 특별한 관리를 해 주어야 한다.
3) 사회의 대책
(1) 유해환경의 정화
감수성이 예민한 청소년들은 환경의 영향을 쉽게 받는다. 성인들을 위한 유흥업소, 공연장, 관광업소 등의 환경은 건전하지 못한 면이 많고, 청소년들의 접근이 쉬워 성인 모방심리를 자극하여 사치와 유형 등에 휩싸여 불량화 또는 약물남용에 빠지게 되는 결과를 낳게 된다(오영균, 2002).
(2) 건전한 놀이문화 정착
학생들이 공부에 대한 흥미가 없고, 그렇다고 마땅히 재미있는 놀이나 놀이공간이 있는 우리의 현실이 아니므로 약물 오·남용으로 무료함을 달래고 도피처를 찾는지도 모른다. 습관적인 약물 오·남용으로 이성을 잃은 상태에서 청소년의 비행이 발생하는 경우가 많다. 청소년들을 위한 건전한 놀이공간이 매우 부족한 실정이므로 청소년의 건전한 놀이를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보급하는 것이 필요하다(오영균, 2002).
(3) 청소년들의 행동 양식이 TV에 의해 좌우되는 현실이므로 TV방송사는 건전하고 유익한 청소년 프로그램을 방영하며 약물의 오·남용의 폐해 등을 홍보하여 약물의 오남용을 예방하는데 일정한 역할을 하도록 하여 모방범죄의 역기능을 최소화하는 범위 내에서 계몽하고 보도하여야 하겠다(김소라, 2004).
(4) 지역단위에서 활동하고 있는 기관이나 단체 등은 학교와의 협력체계가 필요하다. 각 기관들은 독자적으로 청소년 약물 예방활동을 전개하다보면 정보 부족, 중복 수행 등 그 효율성이 떨어질 뿐만 아니라 사업수행이 어렵기 때문에 상호 유기적인 협조 즉, 정보공유, 공동사업 추진, 특정기관의 사업추진 등을 통해 사업을 전개하는 것이 필요하다(김석병, 2003).
4) 정부의 대책
(1) 청소년들의 약물 오·남용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현재 법적반영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흡입제 및 신종약물에 대한 법적조치를 강화해야 한다.
(2) 청소년 대상 약물이 유통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도록 법적 보완 및 관련제도의 강화가 필요하다.
(3) 법적·제도적 차원의 청소년 약물남용 치료 및 예방을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많은 재원이 필요하므로 약물 퇴치 기금을 조성하여 약물 중독자 치료 및 재활과 교육사업에 소요되는 비용을 충당한다(오영균, 2002).
【 참고자료 】
김성이 외(2004)「청소년복지학」집문당
김성이(2002)「약물중독총론」서울: 양서원
주왕기(1994)「약물 남용」지식산업사
주왕기(1989)「청소년 약물남용」세계사
최영자(2013)「한국 청소년 약물오남용예방교육에 관한 연구」한성대학교 행정대학원 논문
김소라(2004)「靑少年 藥物 濫用 進化過程과 對策에 關한 硏究」광운대학교 정보복지대학원 논문
김석병(2003)「藥物 濫用 靑少年 治療再活制度 活性化方案 硏究」연세대학교 행정대학원 논문
남성우(2003)「청소년 약물남용 실태 및 선도 방안에 관한 연구」단국대학교 행정법무대학원 논문
오영균(2002)「청소년 약물남용 실태와 대책에 관한 연구」중앙대학교 행정대학원 논문
장혜수(2000)「청소년 약물남용의 사회적 원인과 대책에 관한 연구」단국대학교 행정대학원 논문
이종원,이유진,김준켓(2012.12)「2012년 청소년유해환경 접촉 종합실태조사」여성가족부
통계청·여성가족부(2013)「2013 청소년 통계」
※ “전혀 그렇지 않다(1)~매우 그렇다(5)”의 평균값
10) 유해약물 예방교육 경험
사례수(명)
예방교육 경험(%)
있다
없다
흡연 예방교육*
74,186
61.4
38.6
음주 예방교육*
74,186
34.3
65.7
환각성 물질 예방교육
14,731
28.4
71.6
(자료: 여성가족부(2012.12))
※ “2012년 청소년건강행태온라인조사”(교육과학기술부보건복지부질병관리본부)의 조사결과임
11) 상담치료 경험
< 약물 이용 관련 상담치료 경험 >
(자료: 여성가족부(2012.12))
7. 청소년 약물남용의 대책방안
1) 가정의 대책
(1) 자녀에게 모범적인 생활습관을 보여준다.
술이나 약물남용에 대한 자녀의 교육은 부모의 실제 생활여부에 달려있다고 하여도 과언이 아니다. 부모가 어려운 일이나 괴로운 일이 있을 때 그것을 술이나 어떤 약물을 복용함으로써 해결하려고 한다면 자녀도 성장한 후 그렇게 할 것이다. 그러나 부모가 술을 마시되 적당히 마시고 흐트러진 모습을 보이지 않는다면 자녀들도 이를 배우게 될 것이다. 그리고 부모들이 평소에 자녀들에게 주장한 가치관대로 행동한다면 자녀들은 부모를 품위 있고 존경할 만한 사람으로 대할 것이고 자기들도 부모님처럼 행동하려고 노력할 것이다(최영자, 2013).
(2) 가정에서의 교육 및 관심이 필요하다.
모근 부문에서의 가정교육이 중요하지만 약물과 관련해서 조기에 가정에서의 교육은 청소년들의 약물 사용예방에 절대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따라서 부모들의 교육과 지도가 절실히 요구되고 있으며 자녀들에 대한 관심과 사랑이 있어야 약물 남용을 예방할 수 있을 것이다(김석병, 2003).
(3) 부모는 자녀의 말을 경청(敬聽)하며 자녀가 긍정적인 감정을 형성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기술을 발전시켜야 한다.
2) 학교의 대책
(1) 조기교육이 필요
우리나라 청소년들의 음주와 흡연의 경우 시작연령이 매우 낮은 수준임에도 불구하고 계속 낮아지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약물 등의 예방교육은 어린 시기에 이루어져야 더욱 효과가 있고 이미 약물을 시작하고 있는 시기에는 교육이 이루어진다해도 그 효과를 크게 기대할 수 없으므로 조기에 교육이 이루어져 아예 약물 시작 그 자체를 방지하여야 하기 때문이다(김석병, 2003).
(2) 집단상담 교육을 통하여 집단성원끼리 상호간의 개인적 문제를 같이 협의하고 도와주는 기회를 마련해 준다. 이를 통해 다른 또래들의 경험·감정·괌심 등을 알게 됨으로써 자신의 문제를 보다 깊이 탐구할 수 있게 되며, 상담자와 집단 성원들의 도움을 받을 수 있고 자신도 다른 성원에게 도움을 주게 된다.
(3) 친구들의 경우 약물을 사용하는데 절대적인 영향을 미치기도 하지만 약물을 끊는데도 친구들의 영향은 매우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하기도 한다. 따라서 생활지도 등을 강화하여 친구들이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도록 특별한 관리를 해 주어야 한다.
3) 사회의 대책
(1) 유해환경의 정화
감수성이 예민한 청소년들은 환경의 영향을 쉽게 받는다. 성인들을 위한 유흥업소, 공연장, 관광업소 등의 환경은 건전하지 못한 면이 많고, 청소년들의 접근이 쉬워 성인 모방심리를 자극하여 사치와 유형 등에 휩싸여 불량화 또는 약물남용에 빠지게 되는 결과를 낳게 된다(오영균, 2002).
(2) 건전한 놀이문화 정착
학생들이 공부에 대한 흥미가 없고, 그렇다고 마땅히 재미있는 놀이나 놀이공간이 있는 우리의 현실이 아니므로 약물 오·남용으로 무료함을 달래고 도피처를 찾는지도 모른다. 습관적인 약물 오·남용으로 이성을 잃은 상태에서 청소년의 비행이 발생하는 경우가 많다. 청소년들을 위한 건전한 놀이공간이 매우 부족한 실정이므로 청소년의 건전한 놀이를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보급하는 것이 필요하다(오영균, 2002).
(3) 청소년들의 행동 양식이 TV에 의해 좌우되는 현실이므로 TV방송사는 건전하고 유익한 청소년 프로그램을 방영하며 약물의 오·남용의 폐해 등을 홍보하여 약물의 오남용을 예방하는데 일정한 역할을 하도록 하여 모방범죄의 역기능을 최소화하는 범위 내에서 계몽하고 보도하여야 하겠다(김소라, 2004).
(4) 지역단위에서 활동하고 있는 기관이나 단체 등은 학교와의 협력체계가 필요하다. 각 기관들은 독자적으로 청소년 약물 예방활동을 전개하다보면 정보 부족, 중복 수행 등 그 효율성이 떨어질 뿐만 아니라 사업수행이 어렵기 때문에 상호 유기적인 협조 즉, 정보공유, 공동사업 추진, 특정기관의 사업추진 등을 통해 사업을 전개하는 것이 필요하다(김석병, 2003).
4) 정부의 대책
(1) 청소년들의 약물 오·남용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현재 법적반영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흡입제 및 신종약물에 대한 법적조치를 강화해야 한다.
(2) 청소년 대상 약물이 유통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도록 법적 보완 및 관련제도의 강화가 필요하다.
(3) 법적·제도적 차원의 청소년 약물남용 치료 및 예방을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많은 재원이 필요하므로 약물 퇴치 기금을 조성하여 약물 중독자 치료 및 재활과 교육사업에 소요되는 비용을 충당한다(오영균, 2002).
【 참고자료 】
김성이 외(2004)「청소년복지학」집문당
김성이(2002)「약물중독총론」서울: 양서원
주왕기(1994)「약물 남용」지식산업사
주왕기(1989)「청소년 약물남용」세계사
최영자(2013)「한국 청소년 약물오남용예방교육에 관한 연구」한성대학교 행정대학원 논문
김소라(2004)「靑少年 藥物 濫用 進化過程과 對策에 關한 硏究」광운대학교 정보복지대학원 논문
김석병(2003)「藥物 濫用 靑少年 治療再活制度 活性化方案 硏究」연세대학교 행정대학원 논문
남성우(2003)「청소년 약물남용 실태 및 선도 방안에 관한 연구」단국대학교 행정법무대학원 논문
오영균(2002)「청소년 약물남용 실태와 대책에 관한 연구」중앙대학교 행정대학원 논문
장혜수(2000)「청소년 약물남용의 사회적 원인과 대책에 관한 연구」단국대학교 행정대학원 논문
이종원,이유진,김준켓(2012.12)「2012년 청소년유해환경 접촉 종합실태조사」여성가족부
통계청·여성가족부(2013)「2013 청소년 통계」
키워드
추천자료
지역사회 협력체계망을 활용한 청소년 약물남용 예방 및 치료 시범사업보고서
청소년 약물 오남용
청소년문제에 대한 현황과 해결방안 - 10대 임신,학업중퇴,약물남용,범죄와 폭력 등등..
청소년 문제, 청소년 약물 오남용의 유형과 대처방안
청소년과 약물 남용
청소년들의 각종 문제 (성, 시설보호, 가출, 학교폭력, 따돌림, 약물남용, 인터넷등)에 대하...
청소년 약물남용의 위험요인 및 보호요인과 임파워먼트 접근방법을 활용한 다체계적 개입전략
청소년들의 각종문제 조사 (성, 시설보호, 학교폭력, 따돌림, 약물남용)
청소년들의 각종문제(성,시설보호,가출,학교폭력, 따돌림,약물남용,인터넷등)에 대하여 조사...
사회복지실천현장에서 정신지체의 청소년클라이언트가 건강하지 않은 생활태도를 보일 때 (예...
청소년 약물 남용-현황과 문제점 및 예방과 치료 방안
[청소년 문제] 청소년기 문제행동(청소년 음주, 약물남용, 이성관계, 청소년 자살문제, 청소...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