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없음.
본문내용
. 챙이 없는 것이 특징. 이집트에서는 흔히 관리나 화이트-칼라층에서 이용
그러나 이 관습은 1950년대 말-1960년대 초에 중동에서 점차 사라짐. 1960년대 초 이후 이 모자를 쓰는 사람을 가난한 구식 인물로 간주하고 있다.
② 갈라비야(gallabi:yah, 이집트) : 이집트 남녀의 전통 의상. 더운 날씨에 대단히 이상적이며 대체적으로 헐겁고 길며 원피스형의 품이 큰 까운같은 겉옷. 보통 면으로 만들어 시원한 느낌을 주고 있음. 겨울에는 긴 팬티와 함께 내복을 함께 착용
③ 꾸프탄(quftan,caftan) : 갈라비아보다는 좀 더 격식 있는 형태로 겨울에 입도록 면과 실크를 혼합한 재료로 만드는 경우가 많고 남녀 모두 사용. 보통 앞이 열려 있고 혁대를 함께 사용
④ 부르꽈(burqu\',borko) : 얼굴의 아래 부분(눈 아래)을 가려주는 베일로 보통 검은 크레이프 (crepe)나 황금색을 뛴 천을 사용. 얼굴 전체를 감싸는 여성의 베일은 히잡이라고 함
음식 문화 : 빨간 토마토 소스에 올리브 기름, 독특한 향의 스파이스가 듬뿍 들어간 것이 특징.
고기 요리
- 이슬람 신자는 돼지고기는 금기시하지만 양고기, 소고기, 닭고기, 꿩고기, 비둘기 고기, 토끼고기 등을 이용하여 요리를 한다. 특히 양고기는 우리나라 사람들이 돼지고기를 애용하는 것 만큼 이집트 사람들이 즐겨 먹는 육류로서 이것을 이용한 육류 요리에는 케바브와 케프타가 있다. 케프타는 양고기를 갈아만든 구이이고, 케바브는 연하고 맛있는 부위의 생 양고기를 작은 크기로 잘라 쇠꼬챙이에 끼워 구워낸 것이다.
그밖에 강낭콩과 양고기에 토마토로 맛을 낸 요리 \'파소리아\', 감자와 양고기에 토마토로 맛을 낸 요리 \'바타테스 비 라하마\', 잘게 썬 고기에 계란과 토마토를 넣고 조려 담백한 맛을 내는 이집트 전통요리 \'샤쿠슈카\', 다진 양고기를 경단으로 만들어 \'타히나\' 소스로 맛을 내어 에이시(이집트식 빵)에 끼워서 먹는 \'코푸타\', 가지와 다진 고기를 이용한 요리 \'무사아\' 등이 있다.
생선요리
- 홍해와 지중해를 동쪽과 북쪽에 접하고 있는 이집트에서 당연히 물고기 요리가 발달되었다. 조리법은 주로 굽거나 튀기는 것이다. 보리새우 커리 요리는 이집트 뿐 아니라 아랍 걸프 지역의 모든 국가에서 대중화되었다. 나일강의 담수어로도 생선요리가 가능하며 기름을 칠해 굽거나 튀긴 생선에 레몬즙을 짜서 에이시(이집트식 빵)에 싸서 먹으면 된다.
샐러드와 수프
- 빵이나 고기 요리를 먹을 때 허브 향이 그윽한 샐러드 요리를 먹는다. 토마토 등의 야채에 향신료가 듬뿍 들어간 드레싱을 끼얹는 것이 일반적인 샐러드 요리이고 야채를 절여 샌드위치 사이에 끼워서 먹는 \'토르시\', 요구르트를 샐러드에 넣어 담백한 맛을 내는 \'자바디\', 렌즈콩 수프-\'쇼르바트 앗츠\', 깨를 빻아 걸죽하게 만든 소스-\'타히나\', 후르와 빵을 넣어 만든 수프 \'나비트\' 등이 있다.
아랍빵
- 식사 때마다 나오게 마련인 아랍 빵은 아랍인들의 주식으로, 종류도 여럿이고 모양과 크기도 다양하다. 쿱즈 아라비(khuubz Arabi)로 대표되는, 아랍지역에서 가장 유명하고 대표적인 둥글고 넓적한 빵이 있는데 일반적으로 \'쿱즈\'로 통한다. 이집트에서는 샤미(shaamy)로 불려지고 있다. 크기는 호떡보다 조금 더 크고, 안이 비어 있으며 이중으로 되어있다. 또 누런 색의 거친 밀가루 빵이 있는데 한국인들은 이것을 걸레빵\'이라고도 부른다. 이집트인들은 이것을 샤미보다 더 즐겨먹으며 콩가루나 꿀을 찍어먹어도 맛있다.
패스트푸드
- 이집트 카이로 시내 길에는 고기를 회전시키면서 구워먹는 요리 \'샤와르마\'를 쉽게 볼 수 있다. 커다란 양고기 덩어리를 쇠꼬챙이에 꽂아 세로로 세우고 이글거리는 불꽃에 대고 돌려가며 익히는데 요리가 양고기 바깥 쪽을 기다란 나이프로 썰어 그것을 타히나와 함께 빵에 넣어 먹는다. 샤와르마 만큼이나 길거리에 널린 것이\'타메이야\' 인데, 타메이야는 풋콩을 으깨서 옷을 입힌 뒤에 튀긴 고로케의 일종이다. 짭짤한 맛이 나는데 둥글고 평평한 빵에 넣어서 포테이토나 샐러드를 곁들여 먹는다. \'쿱바\'는 밀이나 다른 곡식가루에다 양파를 아주 잘게 썰어 넣고 잣과 각종 양념, 올리브유를 쳐 계란 모양으로 둥글게 빚되 속을 비게 하고 그 안에다가 간 양고기를 넣어 만든 음식으로 입맛을 돋구는 \'에피타이저\'이다. 대표적인 마카로니 요리로는 \'쿠샤리\'가 있는데 소금과 후추를 넣어 비벼 먹는다.
후식과 음료수
- 쌀을 갈아 만든 푸딩인 \'무할라비야\' 는 전통적인 아랍 후식이고, 가느다란 당면을 버터, 크림치즈로 튀긴 후 설탕이나 꿀로 달게 한 \'쿠나파\' 역시 즐겨먹는 후식이다.(대체적으로 달게 먹는 경향이 있다)
이집트의 과일은 종류도 풍부하고 맛있다. 더운 나라의 특성상 곳곳에 주스 스탠드가 있어서 갈증이 나면 어디서든 앉아 쉴 수 있다. 때로는 생과일 주스에 우유를 넣어서 쉐이크처럼 만들어 먹기도 한다. 더운 지방 사람들의 당분 공급원이기도 한 사탕수수는 깔끔하고 단맛의 특징을 살려 주스로 만들어 먹기도 한다. 가장 일상적인 음료수는 홍차로 \'샤이\'라고 불리는데 우리들이 마시는 홍차보다 맛이 강하고 달다. 더위에 지쳐 있을 때 달고 뜨거운 홍차는 피로회복제가 된다. 알코올류는 이슬람 국가인 까닭에 드러내놓고 마시지 않는 게 좋다.
식사매너
- 우선 식사 전 손을 닦는 것은 기본이다. 격식을 차리는 식탁에서는 식전에 손 씻는 물 그릇이 나오기도 하는데 이때 손님의 입장에서 형식적으로라도 오른손 손가락을 그 안에 살짝 담갔다가 빼낸다. 지름이 60~90되는 큰 쟁반 위에 아랍빵과 레몬이 놓여있다. 지금은 숟가락을 사용하지만 예전과 마찬가지로 둥근 빵이 개인 접시 대용으로 쓰이고 있다. 일단 음식을 가져다가 이 빵 위에 놓아두었다가 먹는다. 여러 요리 접시들이 고기, 패소, 파스타 등의 음식을 담아 한꺼번에 상 위로 올라오는 것이 전형적인 이집트식 상차림이기도 하다.
무릎 위에는 냅킨을 놓고 음식을 먹기 전에는 \"비스밀라\"(알라의 이름으로)라고 중얼거리는데 이것은 우리의 관습에서 웃어른이 수저를 들어야 비로소 식사가 시작되는 것과 같다. 서로에게 \"타
그러나 이 관습은 1950년대 말-1960년대 초에 중동에서 점차 사라짐. 1960년대 초 이후 이 모자를 쓰는 사람을 가난한 구식 인물로 간주하고 있다.
② 갈라비야(gallabi:yah, 이집트) : 이집트 남녀의 전통 의상. 더운 날씨에 대단히 이상적이며 대체적으로 헐겁고 길며 원피스형의 품이 큰 까운같은 겉옷. 보통 면으로 만들어 시원한 느낌을 주고 있음. 겨울에는 긴 팬티와 함께 내복을 함께 착용
③ 꾸프탄(quftan,caftan) : 갈라비아보다는 좀 더 격식 있는 형태로 겨울에 입도록 면과 실크를 혼합한 재료로 만드는 경우가 많고 남녀 모두 사용. 보통 앞이 열려 있고 혁대를 함께 사용
④ 부르꽈(burqu\',borko) : 얼굴의 아래 부분(눈 아래)을 가려주는 베일로 보통 검은 크레이프 (crepe)나 황금색을 뛴 천을 사용. 얼굴 전체를 감싸는 여성의 베일은 히잡이라고 함
음식 문화 : 빨간 토마토 소스에 올리브 기름, 독특한 향의 스파이스가 듬뿍 들어간 것이 특징.
고기 요리
- 이슬람 신자는 돼지고기는 금기시하지만 양고기, 소고기, 닭고기, 꿩고기, 비둘기 고기, 토끼고기 등을 이용하여 요리를 한다. 특히 양고기는 우리나라 사람들이 돼지고기를 애용하는 것 만큼 이집트 사람들이 즐겨 먹는 육류로서 이것을 이용한 육류 요리에는 케바브와 케프타가 있다. 케프타는 양고기를 갈아만든 구이이고, 케바브는 연하고 맛있는 부위의 생 양고기를 작은 크기로 잘라 쇠꼬챙이에 끼워 구워낸 것이다.
그밖에 강낭콩과 양고기에 토마토로 맛을 낸 요리 \'파소리아\', 감자와 양고기에 토마토로 맛을 낸 요리 \'바타테스 비 라하마\', 잘게 썬 고기에 계란과 토마토를 넣고 조려 담백한 맛을 내는 이집트 전통요리 \'샤쿠슈카\', 다진 양고기를 경단으로 만들어 \'타히나\' 소스로 맛을 내어 에이시(이집트식 빵)에 끼워서 먹는 \'코푸타\', 가지와 다진 고기를 이용한 요리 \'무사아\' 등이 있다.
생선요리
- 홍해와 지중해를 동쪽과 북쪽에 접하고 있는 이집트에서 당연히 물고기 요리가 발달되었다. 조리법은 주로 굽거나 튀기는 것이다. 보리새우 커리 요리는 이집트 뿐 아니라 아랍 걸프 지역의 모든 국가에서 대중화되었다. 나일강의 담수어로도 생선요리가 가능하며 기름을 칠해 굽거나 튀긴 생선에 레몬즙을 짜서 에이시(이집트식 빵)에 싸서 먹으면 된다.
샐러드와 수프
- 빵이나 고기 요리를 먹을 때 허브 향이 그윽한 샐러드 요리를 먹는다. 토마토 등의 야채에 향신료가 듬뿍 들어간 드레싱을 끼얹는 것이 일반적인 샐러드 요리이고 야채를 절여 샌드위치 사이에 끼워서 먹는 \'토르시\', 요구르트를 샐러드에 넣어 담백한 맛을 내는 \'자바디\', 렌즈콩 수프-\'쇼르바트 앗츠\', 깨를 빻아 걸죽하게 만든 소스-\'타히나\', 후르와 빵을 넣어 만든 수프 \'나비트\' 등이 있다.
아랍빵
- 식사 때마다 나오게 마련인 아랍 빵은 아랍인들의 주식으로, 종류도 여럿이고 모양과 크기도 다양하다. 쿱즈 아라비(khuubz Arabi)로 대표되는, 아랍지역에서 가장 유명하고 대표적인 둥글고 넓적한 빵이 있는데 일반적으로 \'쿱즈\'로 통한다. 이집트에서는 샤미(shaamy)로 불려지고 있다. 크기는 호떡보다 조금 더 크고, 안이 비어 있으며 이중으로 되어있다. 또 누런 색의 거친 밀가루 빵이 있는데 한국인들은 이것을 걸레빵\'이라고도 부른다. 이집트인들은 이것을 샤미보다 더 즐겨먹으며 콩가루나 꿀을 찍어먹어도 맛있다.
패스트푸드
- 이집트 카이로 시내 길에는 고기를 회전시키면서 구워먹는 요리 \'샤와르마\'를 쉽게 볼 수 있다. 커다란 양고기 덩어리를 쇠꼬챙이에 꽂아 세로로 세우고 이글거리는 불꽃에 대고 돌려가며 익히는데 요리가 양고기 바깥 쪽을 기다란 나이프로 썰어 그것을 타히나와 함께 빵에 넣어 먹는다. 샤와르마 만큼이나 길거리에 널린 것이\'타메이야\' 인데, 타메이야는 풋콩을 으깨서 옷을 입힌 뒤에 튀긴 고로케의 일종이다. 짭짤한 맛이 나는데 둥글고 평평한 빵에 넣어서 포테이토나 샐러드를 곁들여 먹는다. \'쿱바\'는 밀이나 다른 곡식가루에다 양파를 아주 잘게 썰어 넣고 잣과 각종 양념, 올리브유를 쳐 계란 모양으로 둥글게 빚되 속을 비게 하고 그 안에다가 간 양고기를 넣어 만든 음식으로 입맛을 돋구는 \'에피타이저\'이다. 대표적인 마카로니 요리로는 \'쿠샤리\'가 있는데 소금과 후추를 넣어 비벼 먹는다.
후식과 음료수
- 쌀을 갈아 만든 푸딩인 \'무할라비야\' 는 전통적인 아랍 후식이고, 가느다란 당면을 버터, 크림치즈로 튀긴 후 설탕이나 꿀로 달게 한 \'쿠나파\' 역시 즐겨먹는 후식이다.(대체적으로 달게 먹는 경향이 있다)
이집트의 과일은 종류도 풍부하고 맛있다. 더운 나라의 특성상 곳곳에 주스 스탠드가 있어서 갈증이 나면 어디서든 앉아 쉴 수 있다. 때로는 생과일 주스에 우유를 넣어서 쉐이크처럼 만들어 먹기도 한다. 더운 지방 사람들의 당분 공급원이기도 한 사탕수수는 깔끔하고 단맛의 특징을 살려 주스로 만들어 먹기도 한다. 가장 일상적인 음료수는 홍차로 \'샤이\'라고 불리는데 우리들이 마시는 홍차보다 맛이 강하고 달다. 더위에 지쳐 있을 때 달고 뜨거운 홍차는 피로회복제가 된다. 알코올류는 이슬람 국가인 까닭에 드러내놓고 마시지 않는 게 좋다.
식사매너
- 우선 식사 전 손을 닦는 것은 기본이다. 격식을 차리는 식탁에서는 식전에 손 씻는 물 그릇이 나오기도 하는데 이때 손님의 입장에서 형식적으로라도 오른손 손가락을 그 안에 살짝 담갔다가 빼낸다. 지름이 60~90되는 큰 쟁반 위에 아랍빵과 레몬이 놓여있다. 지금은 숟가락을 사용하지만 예전과 마찬가지로 둥근 빵이 개인 접시 대용으로 쓰이고 있다. 일단 음식을 가져다가 이 빵 위에 놓아두었다가 먹는다. 여러 요리 접시들이 고기, 패소, 파스타 등의 음식을 담아 한꺼번에 상 위로 올라오는 것이 전형적인 이집트식 상차림이기도 하다.
무릎 위에는 냅킨을 놓고 음식을 먹기 전에는 \"비스밀라\"(알라의 이름으로)라고 중얼거리는데 이것은 우리의 관습에서 웃어른이 수저를 들어야 비로소 식사가 시작되는 것과 같다. 서로에게 \"타
추천자료
[성] 선사시대,메소포타미아, 이집트, 그리스와 로마의 성문화
[기독교 영화 감상문]이집트 왕자
낫세르, 사다트, 무바라크가 그들의 정권 유지를 할 수 있었던 정책들, 이집트의 민주화 전망...
[4대문명]황화문명 인더스문명 이집트문명 메소포타미아 문명
[결혼문화A+] 우리나라와 이슬람 국가(이집트)의 결혼문화 소개 및 비교분석
동성애의 종교적 판단, 상부상조의 종교적 동기, 이집트 벽화의 종교적 배경, 사물의 종교적 ...
고대의 조각1 - 선사시대ㆍ고대 이집트
이슬람 여성 인권 혁명, 이집트 선거, 아랍의 봄, 이슬람 여권 실태, 해결 방안, 현황, 관리,...
[서평] 얀 아스만의 이집트인 모세를 읽고
[A+] [공학윤리사례] 이집트 여객선 침몰사건 알 살람 보카치오 98호 침몰 사건의 피해 사...
[디자인사] 서양 - 미술사 {선사(구석기 미술), 메소포타미아 / 이집트 / 에게 미술, 그리스 ...
매너와 에티켓 - 터키, 그리스, 이집트 세 나라에 대한 에티켓과 매너에 관하여
[영화 감상문] 『이집트왕자』 를 보고나서
[영화 감상문] ‘이집트 왕자’ 를 보고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