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목차
I. 예수와 사도들의 시대 (B.C 6-A.D 70)
II. 가톨릭 기독교 시대
III. 기독교 로마 제국의 시대(312-590) - 콘스탄티누스 황제
IV. 중세 기독교 시대(590-1517)
V. 종교개혁의 시대(1517-1648)
VI. 이성과 부흥의 시대(1648-1789)
참고문헌
I. 예수와 사도들의 시대 (B.C 6-A.D 70)
II. 가톨릭 기독교 시대
III. 기독교 로마 제국의 시대(312-590) - 콘스탄티누스 황제
IV. 중세 기독교 시대(590-1517)
V. 종교개혁의 시대(1517-1648)
VI. 이성과 부흥의 시대(1648-1789)
참고문헌
본문내용
의 목자, 바나바서, 열 두 사도의 교훈, 히브리 복음서
4) 300년 유세비우스에 의해 사용되었던 신약
오리겐 신약과의 차이점:
모두 동일하지만 요한 계시록 저자에 관한 시비가 있었음
시비는 있었으나 널리 알려졌던 책들:
야고보서, 베드로 후서, 요한 2,3서, 유다서
5) 400년 카르타고 회의에서 서방 교회를 위하여 확정된 신약
4복음서, 사도 행전, 바울 서신들, 히브리서, 야고보서, 베드로 전후서, 요 한 1,2,3서, 유다서, 계시록
제외시킨 것들:
헤르마스의 목자, 바나바서, 히브리 복음서, 베드로 계시록, 베드로 행전, 디다케
7. 죄인들을 위한 학교: 감독들의 권위
초대 교회의 지도자는 장로들과 집사들로 구분되었다. 이것은 집단 지도 체제였는데 이들 장로 중 가장 유력한 한 사람이 감독(목사)로 세워졌다.
1,2세기 신자들은 성령의 능력의 증거를 교회내 직책이 아니라, 신자들 의 생활 가운데서 찾았는데, 3세기 초에 들어서서 교회의 뛰어났던 도덕 적 성결의 모습이 약화되기 시작했다. 그렇다면 과연 용서 받을 죄와 용 서 받지 못할 죄의 구별은 무엇인가? 하는게 난제가 되었으며 이것을 결 정하는데 큰 자격이 주어진 자들이 바로 감독이었다. 정죄와 용서의 범위 를 정하고 이에 관한 여러 제도를 만들게 되면서 감독의 위치는 성령을 인도할 만큼 강화되었다.
8. 지성인들의 사도: 알렉산드리아인들
3세기에 들어 급속한 성장이 된 기독교의 과제는 헬라 철학과 신앙과의 관계였다. 터툴리안은 “아테네와 예루살렘사이에 무슨 상관이 있느냐?”는 말로 신앙과 철학을 분리시켰다. 그러나 복음을 헬라 사상의 용어와 벙법 을 통해 제시하고자 하는 노력으로 결국 황제가 복음을 받아들이고 제국 은 기독교화하였다. 이것에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한 자가 알렉산드리아의 클레멘트와 그의 제자인 오리겐이 주도한 “교리 문답 학파(Catechetical School)\"였다. 이들은 헬라 지혜에 정통하고 그 지혜를 사랑할 뿐 아니라 그리스도의 교훈을 충실하게 섬긴 기독교 학자들의 효시가 되었다.
이들은 성경을 비롯하여 헬라 철학 고전 문학에 정통하였을 뿐 아니라 무지를 경건에의 가장 큰 장애물로 여기고 학문을 통한 성경의 가르침의 길을 열었다. 그들은 사상 뿐 아니라 인격 형성을 위한 삶 자체를 통해 제자들을 자극하였다. 클레멘트와 오리겐은 기독교를 위해 인문 주의를 간직해 주었던 인물들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III. 기독교 로마 제국의 시대(312-590) - 콘스탄티누스 황제
콘스탄티누스 황제 의 개종으로 기독교는 박해받던 수난의 종교에서 궁 정의 특권을 누리는 제국의 공식적 종교가 되었다.
9. 제왕의 홀을 내리다.
284년 로마의 디오클레안이 즉위할 때, 로마 제국은 황제의 지위 유지로 혼란에 빠져 있었다. 힘 있는 자가 황제가 될 수 있었으므로 제국은 항상 불안했다. 이 때문에 그는 황제가 되면서 황권을 분리하였다. 그가 죽자 콘스탄티누스는 그의 경쟁자 막센티우스와 결전하여 승리를 얻어 황제가 되었다. 그는 기독교로 개종하여 기독교를 공인했으며, 콘스탄티노플(비잔 틴, 동로마 제국의 수도 현재의 이스탄불)을 수도로 정하고 많은 교회를 지었다. 380년 데오도시우스 황제는 칙령을 내려 기독교를 국교로 선포 했다.
10. 삼위 일체 교리의 정립
콘스탄티누스에 의해 기독교가 공인된 후 교회는 분열을 겪게 되었다. 동방의 알렉산드리아가 그 분쟁의 시작이었는데 아리우스는 예수를 진정 한 하나님이 아니며 전혀 다른 본질이라 주장하게 되었다. 이 때문에 콘 스탄티누스는 니케아로 모든 감독들을 초청하여 이 문제를 논의하게 하 였는데 이 곳에서 삼위 일체 교리가 정식 논의되고 니케아 신경(Nicene Creed)이 성립되었다.
그러나 이 때부터 교회는 황제와 그의 관계들에 의해 좌우되기 시작했 으며 아타나시우스는 50년 간 아리우스에 대항하였다. 니케아 회의 이후 Semi-Arius(반-아리우스파)가 가 나타나 아타나시우스와 논쟁하였다. 이 논쟁에서 아타나시우스는 세 위격의 한 하나님(One Godhead in three Persons) 교리를 정립하였다.
11. 임마누엘! 신앙 고백들 속의 그리스도
“기독론”이라고 불리우는 “과연 그리스도는 누구신가?”라는 문제는 제국 시대 이전부터 제기되었다.
기독론을 둘러싼 논쟁은 정치적 세력 다툼과 함께 줄기차게 계속되어왔 다. 알렉산드리아와 로마, 안디옥과 콘스탄티노플은 서로서로 동맹하였다. 그 논쟁 중 중요한 이단들을 살펴보면 첫째, 아폴리나리우스의 주장이다. 그는 “신적인 말씀의 하나의 육신”이라는 표현으로 그리스도의 신성을 강 조하는 알렉산드리아 학파였다. 이 주장에 대해 381년 콘스탄티노플에서 열린 두 번째 공의회에서 그 이론은 묵살되었다. 둘째는, 네스토리우스라 는 인물인데 그는 “하나님을 낳은 자, 하나님의 아들”이라는 표현을 부정 하였고 이 때 정치적 이해 괸계와 맞물려 탄압을 받았다. 세째, 에베소 회의(431) 얼마 후 유티게스라는 콘스탄티노플 근처의 수도원의 지도자에 의해 “단성론”이 주장되었다. 이는 그리스도의 인성이 마치 완전히 신성 속에 포함된 듯 설명하였다. 이에 대해 451년 칼케톤에서 제 4 차 공의회 가 소집되고 그는 이단으로 정죄되었다.
어떻게 신성과 인성이 한 위격 속에 연합될 수 있는가? 인간의 논리나 언어의 한계에서는 불가능한지도 모른다. 칼케톤 신경의 중요성은 진리의 경계를 확정했다는데 있다.
*주요 공의회에서의 기독론
1). 니케아 공의회(325): 그리스도는 완전히 하나님이다.
2). 콘스탄티노플 공의회(381): 그리스도는 완전히 인간이다.
3). 에베소 공의회(431), 칼케톤 공의회(451): 그리스도는 연합된 인격이 다. 그리스도는 한 인격 안에 인간이며 신이다.
12. 삶으로부터의 유배: 수도원 운동의 시작
수도원 운동의 참 모습과 그 의미는 무엇인가? 사도 시대 직후 부터 믿 음 소망 사랑의 세 가지 덕목 뿐 아니라 결혼 생활까지도 포기하는 금욕 주의가 나타났다. 이집트에서 이 운동은 시작되었는데 이들은 황량한 광 야에서 살았다. 320년 경 파르미우스가 최초의 기독교 수도원을 조직하였 다. 수도
4) 300년 유세비우스에 의해 사용되었던 신약
오리겐 신약과의 차이점:
모두 동일하지만 요한 계시록 저자에 관한 시비가 있었음
시비는 있었으나 널리 알려졌던 책들:
야고보서, 베드로 후서, 요한 2,3서, 유다서
5) 400년 카르타고 회의에서 서방 교회를 위하여 확정된 신약
4복음서, 사도 행전, 바울 서신들, 히브리서, 야고보서, 베드로 전후서, 요 한 1,2,3서, 유다서, 계시록
제외시킨 것들:
헤르마스의 목자, 바나바서, 히브리 복음서, 베드로 계시록, 베드로 행전, 디다케
7. 죄인들을 위한 학교: 감독들의 권위
초대 교회의 지도자는 장로들과 집사들로 구분되었다. 이것은 집단 지도 체제였는데 이들 장로 중 가장 유력한 한 사람이 감독(목사)로 세워졌다.
1,2세기 신자들은 성령의 능력의 증거를 교회내 직책이 아니라, 신자들 의 생활 가운데서 찾았는데, 3세기 초에 들어서서 교회의 뛰어났던 도덕 적 성결의 모습이 약화되기 시작했다. 그렇다면 과연 용서 받을 죄와 용 서 받지 못할 죄의 구별은 무엇인가? 하는게 난제가 되었으며 이것을 결 정하는데 큰 자격이 주어진 자들이 바로 감독이었다. 정죄와 용서의 범위 를 정하고 이에 관한 여러 제도를 만들게 되면서 감독의 위치는 성령을 인도할 만큼 강화되었다.
8. 지성인들의 사도: 알렉산드리아인들
3세기에 들어 급속한 성장이 된 기독교의 과제는 헬라 철학과 신앙과의 관계였다. 터툴리안은 “아테네와 예루살렘사이에 무슨 상관이 있느냐?”는 말로 신앙과 철학을 분리시켰다. 그러나 복음을 헬라 사상의 용어와 벙법 을 통해 제시하고자 하는 노력으로 결국 황제가 복음을 받아들이고 제국 은 기독교화하였다. 이것에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한 자가 알렉산드리아의 클레멘트와 그의 제자인 오리겐이 주도한 “교리 문답 학파(Catechetical School)\"였다. 이들은 헬라 지혜에 정통하고 그 지혜를 사랑할 뿐 아니라 그리스도의 교훈을 충실하게 섬긴 기독교 학자들의 효시가 되었다.
이들은 성경을 비롯하여 헬라 철학 고전 문학에 정통하였을 뿐 아니라 무지를 경건에의 가장 큰 장애물로 여기고 학문을 통한 성경의 가르침의 길을 열었다. 그들은 사상 뿐 아니라 인격 형성을 위한 삶 자체를 통해 제자들을 자극하였다. 클레멘트와 오리겐은 기독교를 위해 인문 주의를 간직해 주었던 인물들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III. 기독교 로마 제국의 시대(312-590) - 콘스탄티누스 황제
콘스탄티누스 황제 의 개종으로 기독교는 박해받던 수난의 종교에서 궁 정의 특권을 누리는 제국의 공식적 종교가 되었다.
9. 제왕의 홀을 내리다.
284년 로마의 디오클레안이 즉위할 때, 로마 제국은 황제의 지위 유지로 혼란에 빠져 있었다. 힘 있는 자가 황제가 될 수 있었으므로 제국은 항상 불안했다. 이 때문에 그는 황제가 되면서 황권을 분리하였다. 그가 죽자 콘스탄티누스는 그의 경쟁자 막센티우스와 결전하여 승리를 얻어 황제가 되었다. 그는 기독교로 개종하여 기독교를 공인했으며, 콘스탄티노플(비잔 틴, 동로마 제국의 수도 현재의 이스탄불)을 수도로 정하고 많은 교회를 지었다. 380년 데오도시우스 황제는 칙령을 내려 기독교를 국교로 선포 했다.
10. 삼위 일체 교리의 정립
콘스탄티누스에 의해 기독교가 공인된 후 교회는 분열을 겪게 되었다. 동방의 알렉산드리아가 그 분쟁의 시작이었는데 아리우스는 예수를 진정 한 하나님이 아니며 전혀 다른 본질이라 주장하게 되었다. 이 때문에 콘 스탄티누스는 니케아로 모든 감독들을 초청하여 이 문제를 논의하게 하 였는데 이 곳에서 삼위 일체 교리가 정식 논의되고 니케아 신경(Nicene Creed)이 성립되었다.
그러나 이 때부터 교회는 황제와 그의 관계들에 의해 좌우되기 시작했 으며 아타나시우스는 50년 간 아리우스에 대항하였다. 니케아 회의 이후 Semi-Arius(반-아리우스파)가 가 나타나 아타나시우스와 논쟁하였다. 이 논쟁에서 아타나시우스는 세 위격의 한 하나님(One Godhead in three Persons) 교리를 정립하였다.
11. 임마누엘! 신앙 고백들 속의 그리스도
“기독론”이라고 불리우는 “과연 그리스도는 누구신가?”라는 문제는 제국 시대 이전부터 제기되었다.
기독론을 둘러싼 논쟁은 정치적 세력 다툼과 함께 줄기차게 계속되어왔 다. 알렉산드리아와 로마, 안디옥과 콘스탄티노플은 서로서로 동맹하였다. 그 논쟁 중 중요한 이단들을 살펴보면 첫째, 아폴리나리우스의 주장이다. 그는 “신적인 말씀의 하나의 육신”이라는 표현으로 그리스도의 신성을 강 조하는 알렉산드리아 학파였다. 이 주장에 대해 381년 콘스탄티노플에서 열린 두 번째 공의회에서 그 이론은 묵살되었다. 둘째는, 네스토리우스라 는 인물인데 그는 “하나님을 낳은 자, 하나님의 아들”이라는 표현을 부정 하였고 이 때 정치적 이해 괸계와 맞물려 탄압을 받았다. 세째, 에베소 회의(431) 얼마 후 유티게스라는 콘스탄티노플 근처의 수도원의 지도자에 의해 “단성론”이 주장되었다. 이는 그리스도의 인성이 마치 완전히 신성 속에 포함된 듯 설명하였다. 이에 대해 451년 칼케톤에서 제 4 차 공의회 가 소집되고 그는 이단으로 정죄되었다.
어떻게 신성과 인성이 한 위격 속에 연합될 수 있는가? 인간의 논리나 언어의 한계에서는 불가능한지도 모른다. 칼케톤 신경의 중요성은 진리의 경계를 확정했다는데 있다.
*주요 공의회에서의 기독론
1). 니케아 공의회(325): 그리스도는 완전히 하나님이다.
2). 콘스탄티노플 공의회(381): 그리스도는 완전히 인간이다.
3). 에베소 공의회(431), 칼케톤 공의회(451): 그리스도는 연합된 인격이 다. 그리스도는 한 인격 안에 인간이며 신이다.
12. 삶으로부터의 유배: 수도원 운동의 시작
수도원 운동의 참 모습과 그 의미는 무엇인가? 사도 시대 직후 부터 믿 음 소망 사랑의 세 가지 덕목 뿐 아니라 결혼 생활까지도 포기하는 금욕 주의가 나타났다. 이집트에서 이 운동은 시작되었는데 이들은 황량한 광 야에서 살았다. 320년 경 파르미우스가 최초의 기독교 수도원을 조직하였 다. 수도
키워드
추천자료
종교개혁의 중심에 섰던 마르틴 루터의 삶과 그의 종교 개혁적 발견
“영웅”인가 “하나님의 종”인가? (16세기 종교개혁)
종교개혁과 반종교개혁을 읽고
종교개혁과 한국교회개혁
루터와 칼빈의 신학이론과 종교개혁의 사회적 영향력에 대한 비판적 검토
종교개혁과 개신교
종교개혁과 개혁신앙
(A+) 계몽주의사상의 시대적 배경과 근대 자유민주주의에 미친 영향에 대한 나의 생각
계몽주의사상의 시대적 배경과 근대 자유민주주의에 미친 영향에 대한 나의 생각
[블라디미르 대공(블라디미르 1세)]블라디미르 대공(블라디미르 1세)의 종교개혁, 블라디미르...
[에라스무스] 에라스무스 교육사상, 에라스무스 생애, 에라스무스 신학, 종교개혁사상, 에라...
[유아교육사와 보육] 근대사회의 유아교육 - 중세의 교육, 르네상스, 종교개혁기, 실학주의, ...
3당(로마당, 개혁당, 급진당) 초청 100분 토론, sola scriptura, [오직 성서만으로, 종교개혁]
유럽의 종교개혁,종교개혁의 정의,종교개혁의 발생배경,스위스의 종교개혁,독일의 종교개혁,...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