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목 차 >>
1. 청소년의 흡연과 음주
2.청소년의 약물남용
3.청소년의 성행위와 성범죄
4. 가출
5.자살
6.청소년의 학교폭력
7.식이장애
1. 청소년의 흡연과 음주
2.청소년의 약물남용
3.청소년의 성행위와 성범죄
4. 가출
5.자살
6.청소년의 학교폭력
7.식이장애
본문내용
가정내 자녀교육(예절교육 및 인성교육)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다.
② 핵가족내의 결손가정이 증가하고 있는데 결손가정의 경우는 더욱 자녀교육이 어렵다.
③ 부부사이의 폭력과 자녀에 대한 학대를 들 수 있는데 이런 폭력적인 장면을 보고 자란 아동의 경우 대화보다는 폭력으로서 자신들의 문제를 해결하는 경향이 있으며 결국 학교에 가서도 폭력을 정당화하는 성향이 크다고 말할 수 있다.
④ 학교폭력에 대한 부모의 인식부족 : 자신의 아이가 단지 공부만 잘 하면 된다는 의식을 가지고 있다. 그로 인하여 인격형성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고 공부에서 소외된 대다수의 학생들이 반발심에서 폭력을 행사하고 있음에도 내아이는 아니겠지 하는 생각과 자신의 아이만을 무조건 믿은 나머지 친구 탓으로 돌리려는 이기적인 태도를 종종 볼 수 있다.
⑵ 학교에서의 원인
① 입시위주의 교육 제도와 교사들의 태도 : 현재 학교에서 행해지고 있는 지식편중의 교육제도와 학생개개인의 개성을 무시하는 획일적인 진로지도는 많은 학생들에게 부담적으로 작용한다. 또한 학교에서의 인성교육의 부재는 원만한 인격형성을 이루지 못하게 하고 그로 인한 스트레스를 폭력적인 방법으로 해소하고 있다.
② 교실 내에서 행해지는 교사의 체벌이 합당한 방법으로 이루어지기 보다는 감정 폭발적인 방법으로 전해지기 때문에 학생들은 경우에 따라서 정신적인 피해를 입을 수도 있으며 무의식 중에 교사의 폭력을 모방하게되며 폭력을 정당화시키는데 작용한다.
⑶ 사회적인 문제
아동이나 청소년들은 TV나 기타 대중 매체와 많이 관련되어 있으며 이들 대중매체들은 정신적인 면이나 행동적인 면에서 청소년에게 영향을 미친다.
7.식이장애
1)비만
비만증은 과잉 지방의 축적으로 청년기에 한정된 질병은 아니지만 일생 중 청소년기에 최대의 중요성을 가진다. 유아기엔 비만증이 거의 항상 일시적이며 장기적인 중요성은 없다. 그러나 학령기에 있어 과잉지방의 축적은 어린이에게 이후에 미칠 영향을 고려하여 신중이 다루어져야 한다. 그러나 비만증이 주는 가장 큰 신체적 충격은 청년기에 이르러 그것이 운동과 사회적 활동에 참여하는 것을 방해하고 더 나아가 그의 체격이 정상인으로부터 이탈된 데 대해 걱정하기 시작함으로써 보통 나타난다.
비만증의 원인은 다음과 같다.
①과도한 음식 섭취 : 단순 과식으로 장기간 열량 섭취 과다에 의한다.
만한 소아가 동료들보다 먹는 음식이 다르거나 음식 을 더 먹거나, 탄수화물을 더 먹는 것이 아니다. 식욕은 심리적 원인, 뇌하수체 등 뇌병변, 고인슐 린혈증등에서 증가한다.
②유전적 소인 : 가족적으로 호발하는 경향이 있다.
③사회 경제적 요인 : 비만은 도시에 흔하며 부모의 비만,고소득,고학력,핵 가족,비활동적인 성향과 연관이 있다. TV를 보는 시 간이 길면 소아비만도 증가하는데 단순히 앉아 있는 것 뿐 아니라 TV에서 나오는 음식광고를 보고 사 먹게 되기 때문이다.
④운동부족 : 특히 질병으로 장기간 침상에서 와병 중일 때 , 추운 지방, 비 만한 소아가 운동을 하면 전체 열량으로 소모는 증가하지만 비만한 체중으로 환산하면 비만하지 않은 소아의 열량소모 비율과 같다.
⇒특정 음식을 피하기보다는 보통 음식을 제한하는 방법을 권장한다.(식이 요법)
규칙적인 식사와 운동을 권장한다.
영양교육과 식이계획을 통해 지속적인 관리가 되도록 한다.
2)신경성 식욕부진
신경성 식욕부진은 뚜렷한 신체적 원인 없이 심각하게 체중이 감소되는 장기화된 질환을 뜻하며, 남자보다 여자 특히 16~18세의 여자에서 가장 많으며 가족력과 관계가 있다.
신경성 식욕부진에서 두드러진 심리적 측면은 날씬함에 대한 끊임없는 추구와 비만에 대한 두려움이며 1~2년 동안 기분장애와 행위변화가 선행된다. 월경시작이나 대인관계의 손상과 같은 전형적인 청소년기 위기에 의해 흔히 체중감소가 유발된다.
요즘은 날씬함에 대한 강조가 중요한 요인이다.
신경성 식욕부진은 두드러진 증상이 없기 때문에 조기발견이 어렵다. 피로나 짜증과 같이 미미한 증상을 호소하거나 복통, 월경불순 또는 과잉운동으로 인한 사고 등의 증상을 보이기도 한다.
한편 음식과 관련하여 몇가지 습관이 눈데 뛸 수 있는데 예를 들자면 숟가락에 입술을 대지 않고 음식을 먹는다던가 한입에 들어가는 음식의 무게를 재고 음식을 작게 썰어 접시 위에서 이리저리 굴린다든가 식사시간에 혼자서 중얼거리는 습관이다. 과잉운동, 몸무게 재기에 집착하기, 구토하기, 이뇨제나 하제 도는 식욕감퇴제 복용, 다른 사람의 식사행위에 대한 지나친 관심 등도 신경성 식욕부진과 관련 있다. 체중 감소가 현저해짐에 따라 아동은 무월경, 탈모현상, 피로, 변비, 저혈압, 부종 및 서맥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
⇒음식섭취 권장으로 영양상태를 향상시킨다.
⇒긍정적인 자아정체감 형성하도록 돕는다.
3)거식증
거식증은 다량의 음식을 빨리 먹은 후 토해내는 병이다. 환자는 자신이 이런 행동을 한다는 것을 알고 있으나 스스로 이것을 억제하지 못하는 것에 대하여 두려움을 갖고 있다.
거식증은 보통 청소년기에 시작되며 남자보다 여자에게 더 자주 나타난다. 거식증 환자는 대부분 정상체중을 유지하므로 증상이 쉽게 나타나지는 않는다. 거식증은 초기에는 서서히 시작하나 만성화되며 주로 2시간 이내에 고칼로리의 단음식을 많이 삼킨 후 손가락을 넣거나 과량의 하제를 먹고 음식물을 토해낸다. 거식증과 신경성 식욕부진이 공존하는 경우도 있다.
합병증으로는 칼륨부족으로 인한 심장마비, 경련성 결장염, 근육 강직성 경련, 치아손실 또는 충치, 고혈압, 식도 또는 위궤양 등이 있다.
⇒심리적 요인으로 인한 것이 많으므로 심리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담하고 심리치료, 집단치료 및 가족치료를 실시한다.
※참고문헌
아동건강간호학 강희경외 16인 정담(2000)
가출청소년의 이해 김향초 학지사(1998)
청소년자살예방론 최병목 홍익사(2002)
청년심리학 장휘숙 학지사(1999)
http://www.youth.co.kr - 청소년세계
http://www.maria.peacent.or.kr/si4.htm - 가출예방
http://210.179.120.1/dangsun.htm - 흡연예방
② 핵가족내의 결손가정이 증가하고 있는데 결손가정의 경우는 더욱 자녀교육이 어렵다.
③ 부부사이의 폭력과 자녀에 대한 학대를 들 수 있는데 이런 폭력적인 장면을 보고 자란 아동의 경우 대화보다는 폭력으로서 자신들의 문제를 해결하는 경향이 있으며 결국 학교에 가서도 폭력을 정당화하는 성향이 크다고 말할 수 있다.
④ 학교폭력에 대한 부모의 인식부족 : 자신의 아이가 단지 공부만 잘 하면 된다는 의식을 가지고 있다. 그로 인하여 인격형성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고 공부에서 소외된 대다수의 학생들이 반발심에서 폭력을 행사하고 있음에도 내아이는 아니겠지 하는 생각과 자신의 아이만을 무조건 믿은 나머지 친구 탓으로 돌리려는 이기적인 태도를 종종 볼 수 있다.
⑵ 학교에서의 원인
① 입시위주의 교육 제도와 교사들의 태도 : 현재 학교에서 행해지고 있는 지식편중의 교육제도와 학생개개인의 개성을 무시하는 획일적인 진로지도는 많은 학생들에게 부담적으로 작용한다. 또한 학교에서의 인성교육의 부재는 원만한 인격형성을 이루지 못하게 하고 그로 인한 스트레스를 폭력적인 방법으로 해소하고 있다.
② 교실 내에서 행해지는 교사의 체벌이 합당한 방법으로 이루어지기 보다는 감정 폭발적인 방법으로 전해지기 때문에 학생들은 경우에 따라서 정신적인 피해를 입을 수도 있으며 무의식 중에 교사의 폭력을 모방하게되며 폭력을 정당화시키는데 작용한다.
⑶ 사회적인 문제
아동이나 청소년들은 TV나 기타 대중 매체와 많이 관련되어 있으며 이들 대중매체들은 정신적인 면이나 행동적인 면에서 청소년에게 영향을 미친다.
7.식이장애
1)비만
비만증은 과잉 지방의 축적으로 청년기에 한정된 질병은 아니지만 일생 중 청소년기에 최대의 중요성을 가진다. 유아기엔 비만증이 거의 항상 일시적이며 장기적인 중요성은 없다. 그러나 학령기에 있어 과잉지방의 축적은 어린이에게 이후에 미칠 영향을 고려하여 신중이 다루어져야 한다. 그러나 비만증이 주는 가장 큰 신체적 충격은 청년기에 이르러 그것이 운동과 사회적 활동에 참여하는 것을 방해하고 더 나아가 그의 체격이 정상인으로부터 이탈된 데 대해 걱정하기 시작함으로써 보통 나타난다.
비만증의 원인은 다음과 같다.
①과도한 음식 섭취 : 단순 과식으로 장기간 열량 섭취 과다에 의한다.
만한 소아가 동료들보다 먹는 음식이 다르거나 음식 을 더 먹거나, 탄수화물을 더 먹는 것이 아니다. 식욕은 심리적 원인, 뇌하수체 등 뇌병변, 고인슐 린혈증등에서 증가한다.
②유전적 소인 : 가족적으로 호발하는 경향이 있다.
③사회 경제적 요인 : 비만은 도시에 흔하며 부모의 비만,고소득,고학력,핵 가족,비활동적인 성향과 연관이 있다. TV를 보는 시 간이 길면 소아비만도 증가하는데 단순히 앉아 있는 것 뿐 아니라 TV에서 나오는 음식광고를 보고 사 먹게 되기 때문이다.
④운동부족 : 특히 질병으로 장기간 침상에서 와병 중일 때 , 추운 지방, 비 만한 소아가 운동을 하면 전체 열량으로 소모는 증가하지만 비만한 체중으로 환산하면 비만하지 않은 소아의 열량소모 비율과 같다.
⇒특정 음식을 피하기보다는 보통 음식을 제한하는 방법을 권장한다.(식이 요법)
규칙적인 식사와 운동을 권장한다.
영양교육과 식이계획을 통해 지속적인 관리가 되도록 한다.
2)신경성 식욕부진
신경성 식욕부진은 뚜렷한 신체적 원인 없이 심각하게 체중이 감소되는 장기화된 질환을 뜻하며, 남자보다 여자 특히 16~18세의 여자에서 가장 많으며 가족력과 관계가 있다.
신경성 식욕부진에서 두드러진 심리적 측면은 날씬함에 대한 끊임없는 추구와 비만에 대한 두려움이며 1~2년 동안 기분장애와 행위변화가 선행된다. 월경시작이나 대인관계의 손상과 같은 전형적인 청소년기 위기에 의해 흔히 체중감소가 유발된다.
요즘은 날씬함에 대한 강조가 중요한 요인이다.
신경성 식욕부진은 두드러진 증상이 없기 때문에 조기발견이 어렵다. 피로나 짜증과 같이 미미한 증상을 호소하거나 복통, 월경불순 또는 과잉운동으로 인한 사고 등의 증상을 보이기도 한다.
한편 음식과 관련하여 몇가지 습관이 눈데 뛸 수 있는데 예를 들자면 숟가락에 입술을 대지 않고 음식을 먹는다던가 한입에 들어가는 음식의 무게를 재고 음식을 작게 썰어 접시 위에서 이리저리 굴린다든가 식사시간에 혼자서 중얼거리는 습관이다. 과잉운동, 몸무게 재기에 집착하기, 구토하기, 이뇨제나 하제 도는 식욕감퇴제 복용, 다른 사람의 식사행위에 대한 지나친 관심 등도 신경성 식욕부진과 관련 있다. 체중 감소가 현저해짐에 따라 아동은 무월경, 탈모현상, 피로, 변비, 저혈압, 부종 및 서맥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
⇒음식섭취 권장으로 영양상태를 향상시킨다.
⇒긍정적인 자아정체감 형성하도록 돕는다.
3)거식증
거식증은 다량의 음식을 빨리 먹은 후 토해내는 병이다. 환자는 자신이 이런 행동을 한다는 것을 알고 있으나 스스로 이것을 억제하지 못하는 것에 대하여 두려움을 갖고 있다.
거식증은 보통 청소년기에 시작되며 남자보다 여자에게 더 자주 나타난다. 거식증 환자는 대부분 정상체중을 유지하므로 증상이 쉽게 나타나지는 않는다. 거식증은 초기에는 서서히 시작하나 만성화되며 주로 2시간 이내에 고칼로리의 단음식을 많이 삼킨 후 손가락을 넣거나 과량의 하제를 먹고 음식물을 토해낸다. 거식증과 신경성 식욕부진이 공존하는 경우도 있다.
합병증으로는 칼륨부족으로 인한 심장마비, 경련성 결장염, 근육 강직성 경련, 치아손실 또는 충치, 고혈압, 식도 또는 위궤양 등이 있다.
⇒심리적 요인으로 인한 것이 많으므로 심리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담하고 심리치료, 집단치료 및 가족치료를 실시한다.
※참고문헌
아동건강간호학 강희경외 16인 정담(2000)
가출청소년의 이해 김향초 학지사(1998)
청소년자살예방론 최병목 홍익사(2002)
청년심리학 장휘숙 학지사(1999)
http://www.youth.co.kr - 청소년세계
http://www.maria.peacent.or.kr/si4.htm - 가출예방
http://210.179.120.1/dangsun.htm - 흡연예방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