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1장 교육사회학의 발달
제1장 교육사회학의 발달
<서론>
1. 한국교육 사회학의 전개
1) 초창기
2) 학교와 지역사회
3) 교육사회학의 부활
2. 유럽과 미국의 발전
1) 초창기의 성격
2) 학교에 대한 사회학적 연구 확대
3. 새로운 교육학 요청
제1장 교육사회학의 발달
<서론>
1. 한국교육 사회학의 전개
1) 초창기
2) 학교와 지역사회
3) 교육사회학의 부활
2. 유럽과 미국의 발전
1) 초창기의 성격
2) 학교에 대한 사회학적 연구 확대
3. 새로운 교육학 요청
본문내용
학적 연구 확대
가) 초기의 교육사회학
○ 뒤르껨(Emile Durkheim)
- 사회학 지향적 교육사회학의 기초를 놓음
- 뒤르껨은 교육에 관한 활동을 ① 교육에 관한 과학적 연구, ② 교육의 실제적 방법을 위한 교수학, ③ 교육의 실천적 활동으로 구분하는 것이 편리하다고 생각하였다.
- 교육현상을 기술설명하는 학문지향의 교육학과 교육실천을 위한 구체적 지침을 제공하는 실천지향의 교육학이 따로 존재
- 그는 사회구조의 한 부분으로서의 교육의 사회적 기능을 밝히는 것을 교육학 연구의 핵심으로 보았다.
- 교육사회학의 연구영역 : 교육을 “새로운 세대의 체계적 사회화”로 보았던 그는 교육의 목적이 사회체저를 개인에게 내면화시키는 데에 있다고 생각하였다.
① 교육에 관한 사회적 사실들과 그것들의 사회적 기능을 밝히는 일.
② 교육과 사회 및 문화 변화 간의 관계를 밝히는 일.
③ 교육체제의 여러유형을 비교문화적 및 비교학적으로 연구하는 일.
④ 살아 있는 사회체제로서의 학급과 학교를 탐구하는 일.
○ 앤젤(Robert. C. Angell) : 실천지향적 교육사회학이 지배하던 1920년대에 “교육사회학은 순수 사회과학의 한 영역”이라고 내세웠다.
○ 윌러(Willard Waller) : 「가르침의 사회학」이라는 저서 출판.(학교의 구조와 문화를 분석)
나) 2차 대전 이후
○ 미국, 영국을 중심으로 교육이 사회 연구 영역으로 급성장함.
○ 미국 교육사회학의 연구 경향 - 브루코버(Brookover)가 미국의 연구동향을 분석한 바에 따르면 70년대 중반까지 크게 세 가지로 나누어진다.
① 2차 대전 직후 : 학생 성적과 태도 형성에 미치는 가족, 이웃, 사회의 영향 규명하는 연구에 집중도었어며, 사회심리학적 접근을 통하여 학생의 자아개념, 가치관, 세계관의 형성과정을 설명하는 연구가 많이 나옴.
② 1950년대 ~ 1960년대 초 : 교육의 사회적 기능 규명. 발전교육에 관한 연구가 주종을 이룸.
③ 1960년대 : 사회 조직체로서의 학교에 관한 연구
다) 이론적 동향
○ 기능주의 이론 비판 및 갈등이론 등장(1970년대)
- 교육은 가치로운 문화전수보다는 편협한 주장과 왜곡된 지식을 주입시키고, 능력을 근거로 한 선발보다는 사회경제적 배경에 의하여 크게 좌우되는 학력의 불평등 분배를 용인하고 있다는 주장이 나타났으며 이러한 현상은 사회를 구성집단간의 경쟁과 갈등관계로 보는 갈등이론으로 정확히 설명할 수 있다고 내세웠다.
○ 1980년대 후반에 들어서서는 양대 이론의 한계를 극복하려는 노력이 나타남.
○ 두 이론은 교육을 도구적 기능으로 파악한다는 점에서 일치. 그러나 교육연구는 교육을 사회구조적 조건에 따라 결정되는 한낱 수동적 도구로 보지 않으며, 따라서 주체적 의지를 가지고 역사적 사회적 조건과 교섭하면서 구성원 상호간에 협력, 경쟁, 갈등, 타협하는 살아 있는 실체로서의 교육을 이해하고 설명하는 작업이 되는 것이다. 이러한 관점은 베버(Max Weber)의 사회이론에 기초를 두고 현상학과 해석학
가) 초기의 교육사회학
○ 뒤르껨(Emile Durkheim)
- 사회학 지향적 교육사회학의 기초를 놓음
- 뒤르껨은 교육에 관한 활동을 ① 교육에 관한 과학적 연구, ② 교육의 실제적 방법을 위한 교수학, ③ 교육의 실천적 활동으로 구분하는 것이 편리하다고 생각하였다.
- 교육현상을 기술설명하는 학문지향의 교육학과 교육실천을 위한 구체적 지침을 제공하는 실천지향의 교육학이 따로 존재
- 그는 사회구조의 한 부분으로서의 교육의 사회적 기능을 밝히는 것을 교육학 연구의 핵심으로 보았다.
- 교육사회학의 연구영역 : 교육을 “새로운 세대의 체계적 사회화”로 보았던 그는 교육의 목적이 사회체저를 개인에게 내면화시키는 데에 있다고 생각하였다.
① 교육에 관한 사회적 사실들과 그것들의 사회적 기능을 밝히는 일.
② 교육과 사회 및 문화 변화 간의 관계를 밝히는 일.
③ 교육체제의 여러유형을 비교문화적 및 비교학적으로 연구하는 일.
④ 살아 있는 사회체제로서의 학급과 학교를 탐구하는 일.
○ 앤젤(Robert. C. Angell) : 실천지향적 교육사회학이 지배하던 1920년대에 “교육사회학은 순수 사회과학의 한 영역”이라고 내세웠다.
○ 윌러(Willard Waller) : 「가르침의 사회학」이라는 저서 출판.(학교의 구조와 문화를 분석)
나) 2차 대전 이후
○ 미국, 영국을 중심으로 교육이 사회 연구 영역으로 급성장함.
○ 미국 교육사회학의 연구 경향 - 브루코버(Brookover)가 미국의 연구동향을 분석한 바에 따르면 70년대 중반까지 크게 세 가지로 나누어진다.
① 2차 대전 직후 : 학생 성적과 태도 형성에 미치는 가족, 이웃, 사회의 영향 규명하는 연구에 집중도었어며, 사회심리학적 접근을 통하여 학생의 자아개념, 가치관, 세계관의 형성과정을 설명하는 연구가 많이 나옴.
② 1950년대 ~ 1960년대 초 : 교육의 사회적 기능 규명. 발전교육에 관한 연구가 주종을 이룸.
③ 1960년대 : 사회 조직체로서의 학교에 관한 연구
다) 이론적 동향
○ 기능주의 이론 비판 및 갈등이론 등장(1970년대)
- 교육은 가치로운 문화전수보다는 편협한 주장과 왜곡된 지식을 주입시키고, 능력을 근거로 한 선발보다는 사회경제적 배경에 의하여 크게 좌우되는 학력의 불평등 분배를 용인하고 있다는 주장이 나타났으며 이러한 현상은 사회를 구성집단간의 경쟁과 갈등관계로 보는 갈등이론으로 정확히 설명할 수 있다고 내세웠다.
○ 1980년대 후반에 들어서서는 양대 이론의 한계를 극복하려는 노력이 나타남.
○ 두 이론은 교육을 도구적 기능으로 파악한다는 점에서 일치. 그러나 교육연구는 교육을 사회구조적 조건에 따라 결정되는 한낱 수동적 도구로 보지 않으며, 따라서 주체적 의지를 가지고 역사적 사회적 조건과 교섭하면서 구성원 상호간에 협력, 경쟁, 갈등, 타협하는 살아 있는 실체로서의 교육을 이해하고 설명하는 작업이 되는 것이다. 이러한 관점은 베버(Max Weber)의 사회이론에 기초를 두고 현상학과 해석학
추천자료
중학교(중등) 사회교육(사회과)의 교육과정변천과 목표, 중학교(중등) 사회교육(사회과)의 실...
중등(중학교) 사회과(사회교육) 심화보충형수준별교육과정, 중등(중학교) 사회과(사회교육) ...
중학교(중등) 사회과(사회교육)의 성격과 교육목표, 중학교(중등) 사회과(사회교육)의 기본내...
초등학교 6학년 사회과(사회과교육)의 목표와 실태, 초등학교 6학년 사회과(사회과교육)의 내...
사회과(사회수업, 사회교육)의 정의, 사회과(사회수업, 사회교육)의 성격, 사회과(사회수업, ...
[통일교육][사회통일교육][남북통일교육][남북관계]통일교육의 정의, 통일교육의 중요성, 사...
성인학습(성인교육, 사회교육)의 성격, 성인학습(성인교육, 사회교육)의 원리, 성인학습(성인...
[평생학습][평생교육]평생학습(평생교육)의 정의, 평생학습(평생교육)의 중요성, 평생학습(평...
평생교육(평생학습)의 정의와 기본방향, 평생교육(평생학습)의 성격, 지역사회평생교육(지역...
[생활기술, 지역사회중심교육, 사회적응력교육, 전환교육, 경제교육]생활기술의 정의, 생활기...
[평생교육방법론 平生敎育方法論] <사회교육평가와 프로그램의 홍보> 사회교육평가와 사회교...
[평생교육방법론] <사회교육프로그램 개발> 사회교육프로그램 개발의 개념, 요구분석(Need As...
[교육사회학] 기능주의 교육이론, 갈등주의 교육이론, 신교육사회학 교육이론의 이론적 특...
[교육과 사회사상 敎育 社會思想] 학교지식의 사회성에 관한 논의(영(Young)을 중심으로) -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