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복지사1급시험대비 노인복지론 핵심요약 총정리 합격보장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사회복지사1급시험대비 노인복지론 핵심요약 총정리 합격보장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살고 싶다
연 령
구 분
3 F
비 고
65-74
young-old
활기찬 활동
젊은 노인
75-84
old-old
약한 활동
중간 노인
85이상
oldest-old
깨지기 쉬운
최고령 노인
* 노인 성격의 유형
구 분
특 성
비율
의존형
타인의존, 욕망결여(수동적)
자원부족(물질·정신적·육체적)

공격형
실패/불만 - 타인에게 투사
매사에 실망, 비관적
사회적응 곤란
자책형
자책하는 스타일
자살발생률 높다
원만형
모든 일에 적극적, 사회관계 원만
이해하고자 노력
과거반성 - 나머지생에 진취적 노력

* 노화(Aging)란?
: 성인기를 통해 우리 몸에 대한 신체적/생물학적 변화,지적 능력 및 정신 등 심리학적 변화, 인식·기대·지위 같은 사회적 변화를 포함하는 넓은 의미
* 노인의 개념정의 (Atchley, 1994)
① 역연령 (曆 年 齡)
: 출생 후 달력에 시간에 의한 연령. 일반적으로 65+
② 기능적 연령
: 개인의 신체적, 심리적 기능정도에 따라 노인으로 규정
③ 인생주기
: 각 인생주기의 역연령경계는 불명확하나 각 단계마다 보편적으로 일어나는 성향들이 있다
④ 개인의 지각에 의한 연령
: 개인적으로 스스로 노인이라고 여기는 나이를 중요시
* 일반적으로 생각하는 노인의 특성
① 자기중심적
② 보수적
③ 의심·질투
④ 융통성 결여
⑤ 도전의식 저하
⑥ 아는체 함
⑦ 과잉욕구
⑧ 의존성
* 노인에 대한 잘못된 고정관념
1) 노인의 다양성을 무시하고 노인을 일관되게 고정된 시각으로 판단하는 것은 잘못된 것이다.
2) 사회와해이론
: 퇴직으로 인해 역할 상실, 건강악화로 위기 경험 + 사회의 노인에 대한 부정적 시각 = 본인도 외부적 낙인 수용(사회적 와해증후군)
※해결책) 사회적 재건모델 : 봉사활동활성화, 일자리제공
3) 사람들의 인식조사
① Palmore (1977) - 노화사실인지척도 FAQ
② Miller & Dodder (1980) - FAQ 수정판
③ 한국(1999) - 노인 및 노화에 대한 인식조사
* 고정관념을 타파하기 위해서는
① 노인 스스로 적극적인 모습
② 세대간 교류 P, 전반적인 사회인식전환 필요
③ 대중매체의 역할 중요
* 노화에 대한 생리적 변화
① 피부 - 주름살 증가, 머리카락 수 감소, 백색모
피부세포 감소로 인해 온도유지기능 약화
② 골격 - 호르몬 감소, 골다공증
③ 심장/폐 - 폐활량 감소, 피를 뿜어내는 양 감소
심장박동 약화, 고혈압
④ 소화기관 - 치아약화, 소화분비액 감소, 변비
⑤ 비뇨기관 - (남) 전립선 확대, (여) 실금증
⑥ 생식기관 - (남) 발기부전, 정액량 감소 (여) 폐경, 질건조
* 노화의 심리적 측면
① 지능은 사람에 따라 차이
: James Birrer - 연령에 따라 정신능력이 감퇴하는 건 아니다. 지식은 증가하고 정보는 감소한다
② 중추신경 노화로 인해 행동 느려짐
: 사고율 낮다
* 노인고용 주장 이유 5가지
① 출근율 높다
② 사고율 낮다
③ 임금수준 낮다
④ 노동조합 가입 안 한다
⑤ 고령자고용촉진장려금 받을 수 있다
* 세계의 노인인구 동향
① 노인인구는 꾸준히 늘어나는 추세
② 선진국은 노인인구 비율이 높다. 개도국은 고령화 속도 빠르다
③ 노인인구 증가 원인
: 양질의 음식물, 철저한 위생관리, 공주위생발달, 의학발달
④ 2010년 이후 고령후기노인(80+) 증가문제가 전 세계적으로 심각할 것
⑤ 평균수명 증가하고 있다
⑥ 건강하게 오래 사는 것에 대한 관심증대
: 건강기대여명 - 병 없고, 기능장애 없이 활동적으로 살수 있는 평균 수명을 지표화 한 것
* 장수이론 (Theory of longivity)
① 구약 - 체온 발산 방지, 젊은 여인과 동침
② 르네상스 - 젊은 여인의 젖, 피를 받는 것
③ 19C 말 - 메치니코프 ‘생명연장’ 논문
④ Masaro Yu - 칼로리 과잉섭취는 노화촉진
⑤ TIME(1997) - 비타민 이론, 항생제, 백신
⑥ 유전적 요인 - 당뇨, 혈압, 암, 갑상선
⑦ 환경적 요인 - 음식, 환경오염, 적당한 운동, 운동
의사의 진료
* 우리나라 노인의 사회인구학적 특성
① 노인 인구 증가 - 고령화 사회
② 인구고령화 빠르게 진전
③ 평균 수명 증가
④ 농촌 지역의 노인 인구 비율이 높다
: 전남>충남>경북>전북
- 넓은 농촌지역 포함, 날씨 온화하다는 추측
⑤ 여성이 성비 높다
: 고령일수록 성비불균형 심화
⑥ 60세 이상 남자노인의 유배우자율이 훨씬 높다
연도
노인인구비율
평균수명
국가
고령화속도
1960
2.9
52.4
미국
71
1970
3.1
63.2
스웨덴
85
1980
3.8
65.8
프랑스
115
1990
5.1
71.6
영국
47
2000
7.1
74.9
일본
24
2020
13.2
78.1
한국
22
* 우리나라 노인의 특징
① 유병장수 하는 고령후기 노인 증가
② 노인인구 부양할 가족 부양자 감소
③ 여자 노인 多, 혼자 살아가는 비율 높음
④ 고령화 속도 빠르다
* 노인인구 부양지수
: 전체 인구 중 생산연령 인구와 노인인구와의 비율
노인부양지수 = 노인인구수(65+) × 100
생산연령인구(15-64)
※ 높을수록 고령화, 출산인구 감소 시 부양지수 증가
* 유년부양비
유년부양지수 = 0-14인구 × 100
15-64인구
* 전체인구 부양지수
: 유년인구수 +노년인구수 × 100
경제활동인구수
연 도
1970
1980
1990
2000
2010
2020
노인부양지수
5.7
6.1
7.2
10.0
14.2
18.9
연 도
유년부양비
비 교
노년부양비
1960
77.3
>
5.3
2025
24.3
=
24.3
2030
24.8
<
28.8
※ 노년 부양비 높은 이유 - 출산율 감소, 노인인구 증가
(세대간 형평성 문제 등장)
* 노인인구 부양지수 증가의 의미
① 재정지출 증가 - 교육비 감소, 사회보장 급여 증가
② 정치적으로 이익집단으로 등장
③ 사회적으로 노인세대 vs 젊은세대 갈등
④ 인구학적으로 이민정책 필요
* 노인문제의 등장 (현대화 이론)
① 평균 수명의 증가는 세대간 경쟁과 퇴직 초래
② 경제발전으로 인해 노인의 직업은 시대에 뒤떨어짐
③ 도시화에 따라 인구이동과 연령, 사회경제적 지위에 따라 사회분리

추천자료

  • 가격2,000
  • 페이지수13페이지
  • 등록일2013.09.06
  • 저작시기2013.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7770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