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집단지도(group work)의 정의
사회사업실천의 필요성
집단사회사업의 유용성
프로그램의 성격
지지집단의 특성
프로그램의 내용 및 세부 목차 (회기 별 목적과 목표)
사회사업실천의 필요성
집단사회사업의 유용성
프로그램의 성격
지지집단의 특성
프로그램의 내용 및 세부 목차 (회기 별 목적과 목표)
본문내용
m대 재학 중인 일본인 유학생의 한국어능력 향상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
요 약
모국어가 아닌 외국어로 생활해야하는 유학생들의 언어에 대한 부담감과 그로 인한 학업능력 및 학업성취에 방해요인이 되는 문제들을 찾아 규명하고 해결 방안을 찾는다.
1. 집단지도(group work)의 정의
사회사업방법 가운데 하나로서 전문가에 의한 의도적인 집단과정과 경험을 통해 개인의 사회적 기능수행을 향상케 하며 또한 개인 집단 지역사회의 당면 문제들에 대해 보다 효과적으로 대처해 나갈 수 있도록 도움을 주는 방법(남세진 조흥식, 1997)
2. m대 재학중인 유학생 위한 집단사회사업
m대 재학중인 유학생 위한 사회사업실천의 필요성
외국인 유학생이 급증하는 사회에서 그들의 문제는 그들 스스로 해결할 문제만은 아니다. 유학생들이 자국의 학생들과 경쟁하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다. 이로인해 유학생들은 학업성취향상에 많은 고민을 하고있다. 이러한 문제를 스스로 해결하지 못한 유학생은 방황을 하거나 학업을 도중에 포기하는 사태에 이른다. 특히 m대학교는 외국인 유학생 비율이 국내1위 아시아 13위를 차지한다. 그만큼 외국인 유학생이 많이 때문에 그들의 문제에 대해 관심을 가질 필요가 있다.
m대 재학중인 유학생 위한 집단사회사업의 유용성
▷ 집단을 통해 학업 성취도가 낮은 유학생들은 자신과 타인이 공통된 문제를 가지고 있다는것을 깨닫고 그 과정을 통해 위안을 받으며 고립감을 덜 느낄 수 있다. 바로 그 자체가 치료적 요소로 작용한다.
▷ 유학생들이 상호지지를 경험함으로써 정서적 안정과 사회기술에 대한 자신감을 갖게 됨.
▷ 집단 성원들 속에서 지지와 사회적 기술을 학습하며 개인적 성장이 촉진됨.
프로그램의 성격
▷ 지지집단을 활용한 프로그램
집단사회사업에서 집단은 여러 가지 유형이 있으나, Toseland와 Rivas(1995)에 의하면 크게 치료집단과 과업집단으로 나누어지며 치료집단은 목적에 따라 지지집단 교육집단 성장집단 치유집단 사회화집단으로 나누어진다. 지지집단의 특성은 다음과 같다.
지 지 집 단
목적
스트레스 대처원조 및 현재의 대처능력 향상
리더쉽
상호원조와 감정이입적인 이해의 촉진자
초점
스트레스 대처능력 및 의사소통과 상호원조
결속
공유된 스트레스 경험이나 낙인
구성
공유된 생활경험에 기초
의사소통
정보, 경험, 대처전략을 많이 공유, 잦은 자기표현
집단례
이혼가정의 자녀집단, 암환자와 가족의 집단, 편부모집단, 자살한 가족성원을 둔 사람들의 집단
▷ 프로그램이 기반한 개념적 모형(Rossi, Freeman & Lipsey, 1999)
워크
요 약
모국어가 아닌 외국어로 생활해야하는 유학생들의 언어에 대한 부담감과 그로 인한 학업능력 및 학업성취에 방해요인이 되는 문제들을 찾아 규명하고 해결 방안을 찾는다.
1. 집단지도(group work)의 정의
사회사업방법 가운데 하나로서 전문가에 의한 의도적인 집단과정과 경험을 통해 개인의 사회적 기능수행을 향상케 하며 또한 개인 집단 지역사회의 당면 문제들에 대해 보다 효과적으로 대처해 나갈 수 있도록 도움을 주는 방법(남세진 조흥식, 1997)
2. m대 재학중인 유학생 위한 집단사회사업
m대 재학중인 유학생 위한 사회사업실천의 필요성
외국인 유학생이 급증하는 사회에서 그들의 문제는 그들 스스로 해결할 문제만은 아니다. 유학생들이 자국의 학생들과 경쟁하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다. 이로인해 유학생들은 학업성취향상에 많은 고민을 하고있다. 이러한 문제를 스스로 해결하지 못한 유학생은 방황을 하거나 학업을 도중에 포기하는 사태에 이른다. 특히 m대학교는 외국인 유학생 비율이 국내1위 아시아 13위를 차지한다. 그만큼 외국인 유학생이 많이 때문에 그들의 문제에 대해 관심을 가질 필요가 있다.
m대 재학중인 유학생 위한 집단사회사업의 유용성
▷ 집단을 통해 학업 성취도가 낮은 유학생들은 자신과 타인이 공통된 문제를 가지고 있다는것을 깨닫고 그 과정을 통해 위안을 받으며 고립감을 덜 느낄 수 있다. 바로 그 자체가 치료적 요소로 작용한다.
▷ 유학생들이 상호지지를 경험함으로써 정서적 안정과 사회기술에 대한 자신감을 갖게 됨.
▷ 집단 성원들 속에서 지지와 사회적 기술을 학습하며 개인적 성장이 촉진됨.
프로그램의 성격
▷ 지지집단을 활용한 프로그램
집단사회사업에서 집단은 여러 가지 유형이 있으나, Toseland와 Rivas(1995)에 의하면 크게 치료집단과 과업집단으로 나누어지며 치료집단은 목적에 따라 지지집단 교육집단 성장집단 치유집단 사회화집단으로 나누어진다. 지지집단의 특성은 다음과 같다.
지 지 집 단
목적
스트레스 대처원조 및 현재의 대처능력 향상
리더쉽
상호원조와 감정이입적인 이해의 촉진자
초점
스트레스 대처능력 및 의사소통과 상호원조
결속
공유된 스트레스 경험이나 낙인
구성
공유된 생활경험에 기초
의사소통
정보, 경험, 대처전략을 많이 공유, 잦은 자기표현
집단례
이혼가정의 자녀집단, 암환자와 가족의 집단, 편부모집단, 자살한 가족성원을 둔 사람들의 집단
▷ 프로그램이 기반한 개념적 모형(Rossi, Freeman & Lipsey, 1999)
워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