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야 래 자 전 설 》
1. 구조의 분석
가. 순차적인 구조를 연구하는 방법론
나. 야래자 전설의 구조의 분석
〈7개의 모티핌〉
3. 역사의 연구
가. 야래자 설화의 전승권
나. 변체들의 변이 양상
다. 전승권의 설정
라. 설화에 반영된 혼속
마. 주변 민족들의 설화
참고문헌
1. 구조의 분석
가. 순차적인 구조를 연구하는 방법론
나. 야래자 전설의 구조의 분석
〈7개의 모티핌〉
3. 역사의 연구
가. 야래자 설화의 전승권
나. 변체들의 변이 양상
다. 전승권의 설정
라. 설화에 반영된 혼속
마. 주변 민족들의 설화
참고문헌
본문내용
《 야 래 자 전 설 》
야래자 설화 중 문헌 설화로 가장오래된 것은 , 고려 충렬왕 때 일연이 저술한 <삼국유사>실려있는 견훤조 이고, 이는 <고기>에서 인용된것이라고 한다.
옛날에 한 부자가 광주 북촌에 살고 있었다. 그에게는 딸이 하나 있었는데, 그 딸은 용모와 몸가짐이 매우 단정하였다. 하루는 그 딸이 아버지에게, “밤마다 자줏빛 옷을 입은 남자가 와서 관계를 하곤 합니다.” 하고 말하였다. 아버지는 “너는 긴 실에 바늘을 꿰어 그 남자의 옷에 꽂아 두어라.” 하니 딸은 그 말대로 하였다. 날이 밝자 그 실이 간 곳을 따라 찾아 보니, 바늘은 북쪽 담 밑에 있는 큰 지렁이의 허리에 꽂혀 있었다. 이로부터 태기가 있어 사내아이를 낳았다. 그 아이는 열 다섯 살이 되자,스스로 견훤이라 하였다.
경복 원년 임자에 이르러 왕이라 일컫고,완산군에 도읍을 정하였다. 나라를 다스린지 43년 청태 원년 갑오에 견훤의 세 아들 즉 신검, 용검, 양검이 반역하므로, 견훤은 고려 태조에게 항복하였다. 아들 금강이 즉위하여 천복 원년 병신에 고려 군사와 일선군에서 싸워서 패하니, 이로써 후백제는 아주 없어졌다.
처음에 견훤이 나서 포대기에 쌓여 있을 때, 아버지는 들에서 밭을 갈고 어머니는 아버지에게 밥을 갖다 주려고 아이를 수풀 아래에 놓아 두었더니, 호랑이가 와서 아이에게 젖을 먹였다. 마을 사람들은 이 말을 듣고 이상하게 여겼다. 아이가 장성하자 체격과 모습이 웅장하고 기이했으며, 뜻이 커서 남에게 얽매이지 않고 비범했다. 군인이 되어 서울로 들어 갔다가 서남의 해변으로 가서 변경을 지키는데, 창을 베개 삼아 적군을 지키니, 그의 기상은 사졸에 앞섰다. 그 공로로 그는 비장이 되었다.
당나라 소종 경복 원년은 신라 진성왕 재위 6년인데, 이 때 왕의 곁에는 총애를 받는 신하가 있어서 국권을 농간하니, 기강은 어지럽고 해이하였다. 거기에 기근이 겹치니 백성들은 떠돌아 다니고, 도적들은 벌떼처럼 일어났다. 이에 견훤은 남몰래 반역할 마음을 품고 서울의 서남쪽 주현들을 공격하니, 가는 곳마다 백성들이 호응하였다. 그리하여 한 달 동안에 무리가 오천이나 되었다. 견훤은 마침내 무진주를 습격하고 스스로 왕이 되었다.
<고기>라는 책은 현존하는 책이 아니어서 어떤 종류의 책이었는 지는 알수 없지만 , <삼국사기>인용된 <고기>의 중요한 내용은 고구려 백제에 제사에 관한 내용도 있기는 하지만 신라의 왕들이 행한 행사의 연대를 기술한 것이 주종을 이루고 있고, <삼국유사>에 인용되는 내용들이 1)신화적인 성격의 이야기와 2)왕력에 대한 이야기 3)불교적인 이야기를 가지는 것으로 미루어 보아 신화적인 설화를 집대성하면서 신라 중심의 편년채로 된<고기>라는 역사 책이 있었다는 것을 추측할 수 있고. 이 책에서 인용된 야래자 설화의 유형에 속하는 견
야래자 설화 중 문헌 설화로 가장오래된 것은 , 고려 충렬왕 때 일연이 저술한 <삼국유사>실려있는 견훤조 이고, 이는 <고기>에서 인용된것이라고 한다.
옛날에 한 부자가 광주 북촌에 살고 있었다. 그에게는 딸이 하나 있었는데, 그 딸은 용모와 몸가짐이 매우 단정하였다. 하루는 그 딸이 아버지에게, “밤마다 자줏빛 옷을 입은 남자가 와서 관계를 하곤 합니다.” 하고 말하였다. 아버지는 “너는 긴 실에 바늘을 꿰어 그 남자의 옷에 꽂아 두어라.” 하니 딸은 그 말대로 하였다. 날이 밝자 그 실이 간 곳을 따라 찾아 보니, 바늘은 북쪽 담 밑에 있는 큰 지렁이의 허리에 꽂혀 있었다. 이로부터 태기가 있어 사내아이를 낳았다. 그 아이는 열 다섯 살이 되자,스스로 견훤이라 하였다.
경복 원년 임자에 이르러 왕이라 일컫고,완산군에 도읍을 정하였다. 나라를 다스린지 43년 청태 원년 갑오에 견훤의 세 아들 즉 신검, 용검, 양검이 반역하므로, 견훤은 고려 태조에게 항복하였다. 아들 금강이 즉위하여 천복 원년 병신에 고려 군사와 일선군에서 싸워서 패하니, 이로써 후백제는 아주 없어졌다.
처음에 견훤이 나서 포대기에 쌓여 있을 때, 아버지는 들에서 밭을 갈고 어머니는 아버지에게 밥을 갖다 주려고 아이를 수풀 아래에 놓아 두었더니, 호랑이가 와서 아이에게 젖을 먹였다. 마을 사람들은 이 말을 듣고 이상하게 여겼다. 아이가 장성하자 체격과 모습이 웅장하고 기이했으며, 뜻이 커서 남에게 얽매이지 않고 비범했다. 군인이 되어 서울로 들어 갔다가 서남의 해변으로 가서 변경을 지키는데, 창을 베개 삼아 적군을 지키니, 그의 기상은 사졸에 앞섰다. 그 공로로 그는 비장이 되었다.
당나라 소종 경복 원년은 신라 진성왕 재위 6년인데, 이 때 왕의 곁에는 총애를 받는 신하가 있어서 국권을 농간하니, 기강은 어지럽고 해이하였다. 거기에 기근이 겹치니 백성들은 떠돌아 다니고, 도적들은 벌떼처럼 일어났다. 이에 견훤은 남몰래 반역할 마음을 품고 서울의 서남쪽 주현들을 공격하니, 가는 곳마다 백성들이 호응하였다. 그리하여 한 달 동안에 무리가 오천이나 되었다. 견훤은 마침내 무진주를 습격하고 스스로 왕이 되었다.
<고기>라는 책은 현존하는 책이 아니어서 어떤 종류의 책이었는 지는 알수 없지만 , <삼국사기>인용된 <고기>의 중요한 내용은 고구려 백제에 제사에 관한 내용도 있기는 하지만 신라의 왕들이 행한 행사의 연대를 기술한 것이 주종을 이루고 있고, <삼국유사>에 인용되는 내용들이 1)신화적인 성격의 이야기와 2)왕력에 대한 이야기 3)불교적인 이야기를 가지는 것으로 미루어 보아 신화적인 설화를 집대성하면서 신라 중심의 편년채로 된<고기>라는 역사 책이 있었다는 것을 추측할 수 있고. 이 책에서 인용된 야래자 설화의 유형에 속하는 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