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공본풀이 (제주도큰굿, 무가, 이공본(二公本)풀이, 구비문학연구)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이공본풀이 (제주도큰굿, 무가, 이공본(二公本)풀이, 구비문학연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무가의 개념과 성격

Ⅱ. 무가의 문학적 갈래 및 의의

Ⅲ. 이공본(二公本)풀이

Ⅳ. 이공본(二公本)풀이를 통해서 보는 제주도 큰굿

Ⅴ. 참고문헌

본문내용

것이라 할 수 있다. 이것은 아주 오랜 옛날, 우리 민족이 우주창조 및 인간사 일들을 관여하는 많은 신들이 실존(實存)한다고 믿고, 우리들 삶의 안전과 행복을 이들 신들에게 기원하기 위해 창조해내었던 바, 열두거리로 구성된 종합적인 신맞이 의식의 원래적 모습을 아직도 많이 간직하고 있기 때문이다. 현존하는 무속은 바로 이러한 고대적 제의의 잔존물이라 할 수 있는데, 무가 사설, 즉 언어적 사실로 미루어 볼 때 육지 쪽의 무속은 그 모습이 원래적 모습으로부터 많이 변해 있는데 반하여 제주도의 그것은 아직도 그 원형적 모습을 많이 간직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우리는 이것을 중시하여 우리의 고대적 문화양태를 연구할 수 있지 않을까 생각하는데, 제주도에 이처럼 고대의 종합적인 제의형태였던 큰굿이 비교적 원래의 모습을 많이 간직하며 남아 있게 된 것은 우선은 이곳에 세습무가 많아서, 그리고 굿을 하는 기회가 많아서였을 가능성이 있지만, 무엇보다 중요한 요인은 이곳이 섬이어서 문화접변이 적었던 데서 온 결과일 수 있다.
1) 큰굿 열두거리의 구조 및 포함되어 있는 신화들
ⅰ) 초감제 - 이 세상의 창조에 관여했던 신들의 업적을 기리는 동시에 무속제의에서 모셔지는 모든 신들을 제의하는 장소로 맞이하는 종합적인 신맞이제였다고 볼 수 있다. 여기에서는 <베포도업침>이라는 신화가 불리워졌는데, 이것은 붙어있던 하늘과 땅의 분리, 생명체의 탄생, 해 달 별들의 생성과 조정, 신들의 이승과 저승차지시합, 인간 세상의 문화가 마련되는 내용 등을 담고 있어 명실공히 우리민족의 천지창생(天地蒼生) 신화라 할 수 있다. 베포도업침 중 해와 달의 수를 조정하는 내용이나 신들의 이승과 저승차지 시합에는 일부 서사적 줄거리를 담고 있는 내용이 있는데, 이 부분은 <천지왕본풀이>라는 신화로 알려져 있기도 하다.
ⅱ) 불도맞이제 - 인간을 탄생시키고 양육하는 불도신, 즉 생불신과 아기의 질병을 일으키는 저승할망, 그리고 마마를 앓게 하는 대별상신을 맞아 행하는 제의인 [불도맞이제]에서는 <생불할망본풀이>와 <마누라본풀이>라는 신화가 불리운다. 이 두 본풀이 중 전자는 생불신이 되기 위해 산육신인 생불할망과 질병신인 저승할망이 서로 경쟁하는 내용이 주를 이루고, 후자는 생불신과 마마신과의 경쟁이 중심을 이루고 있다.
ⅲ) 초공맞이제 - 무조신(巫祖神)인 초공신을 맞아 행하는 제의인 [초공맞이제]에서는 <초공본풀이>라는 신화가 불리운다. 초공본풀이는 쌍둥이 세 아들이 어떻게 하여 무악기와 제기, 그리고 무의식(巫儀式)을 만들어 최초의 굿을 행했는가를 알려주는 신화다.
ⅳ) 이공맞이제 - 인간의 생명을 조정하는 생명꽃들이 피어 있는 ‘서천꽃밭’에서 이 꽃들을 관장하는 신인 이공신들을 맞아 행하는 [이공맞이제]에서는 <이공본풀이>라는 신화가 불리운다.
ⅴ) 삼공맞이제 - 인간 한 평생의 행불행 및 운명을 관장하는 신인 전상신에 대한 제의인 [삼공맞이제]에서는 <삼공본풀이>라는 신화가 불리운다. 이 신화는 가난한 거지가 셋째딸을 낳은 후 부자가 되었는데, 이 딸을 내
  • 가격1,2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13.09.17
  • 저작시기2013.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7974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