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K-WAB ( 한국판-웨스턴 실어증검사 )
Ⅰ. 배경 및 목적
1. 배경
2. 목적
3. 필요성
Ⅱ. 검사도구의 구성
1. 검사구성
2. 검사 방법
3. 점수산정 방법
Ⅲ. K-WAB실시 및 채점방법
1. 스스로 말하기 : 총 20점 (내용전달: 10점, 유창성: 10점)
2. 알아듣기 : 총 200점
2-1. 예-아니오 검사 : 총 60점
2-2 청각적 낱말인지 : 총 60점
2-3 명령이행 : 총 80점
3. 따라 말하기 : 총 100점
4. 이름대기 : 총 100점
4-1. 물건이름대기 : 총 60점
4-2 통제단어연상 : 총 20점
4-3 문장완성 : 총 10점
4-4 문장응답 : 총 10 점
5. 읽기 : 총 100점
5-1 문장독해 : 총 52점
5-2 글 명령 : 총 20점
5-3 단어-실물 짝짓기 : 총 6점
5-4 단어-그림 짝짓기 : 총 6점
5-5 그림-단어 짝짓기 : 총 6점
5-6 단어식별 : 총 4점
5-5 자음 + 모음 ‘ㅏ’ 식별 : 총 6점
6. 쓰기 : 총 100점
6-1 성명, 주소 쓰기 (스스로 쓰기) : 총 6점
6-2. 글로 그림묘사 (스스로 쓰기) : 총 36점
6-3 자모, 숫자 (스스로 쓰기) : 총 22점
6-4 문장 받아쓰기 : 총 10점
6-5 단어 받아쓰기 (또는 실물보고 단어 써보기) : 청 10점
6-6 한글 음절과 숫자 받아쓰기 : 총 6점
6-7 문장 베끼기 : 총 10점
7 .동작 : 총 60점
8. 구성 시-공간 계산 : 총 100점
8-1 그림 그리기 : 총 30점
8-2 토막짜기 ; 총 9점
8-3 계산 ; 총 24점
8-4 Reven's Colored Progressive Matrices(RCPM) ; 총 37점
Ⅰ. 배경 및 목적
1. 배경
2. 목적
3. 필요성
Ⅱ. 검사도구의 구성
1. 검사구성
2. 검사 방법
3. 점수산정 방법
Ⅲ. K-WAB실시 및 채점방법
1. 스스로 말하기 : 총 20점 (내용전달: 10점, 유창성: 10점)
2. 알아듣기 : 총 200점
2-1. 예-아니오 검사 : 총 60점
2-2 청각적 낱말인지 : 총 60점
2-3 명령이행 : 총 80점
3. 따라 말하기 : 총 100점
4. 이름대기 : 총 100점
4-1. 물건이름대기 : 총 60점
4-2 통제단어연상 : 총 20점
4-3 문장완성 : 총 10점
4-4 문장응답 : 총 10 점
5. 읽기 : 총 100점
5-1 문장독해 : 총 52점
5-2 글 명령 : 총 20점
5-3 단어-실물 짝짓기 : 총 6점
5-4 단어-그림 짝짓기 : 총 6점
5-5 그림-단어 짝짓기 : 총 6점
5-6 단어식별 : 총 4점
5-5 자음 + 모음 ‘ㅏ’ 식별 : 총 6점
6. 쓰기 : 총 100점
6-1 성명, 주소 쓰기 (스스로 쓰기) : 총 6점
6-2. 글로 그림묘사 (스스로 쓰기) : 총 36점
6-3 자모, 숫자 (스스로 쓰기) : 총 22점
6-4 문장 받아쓰기 : 총 10점
6-5 단어 받아쓰기 (또는 실물보고 단어 써보기) : 청 10점
6-6 한글 음절과 숫자 받아쓰기 : 총 6점
6-7 문장 베끼기 : 총 10점
7 .동작 : 총 60점
8. 구성 시-공간 계산 : 총 100점
8-1 그림 그리기 : 총 30점
8-2 토막짜기 ; 총 9점
8-3 계산 ; 총 24점
8-4 Reven's Colored Progressive Matrices(RCPM) ; 총 37점
본문내용
현재 국내에서 거의 이루어지지 않은 실정이어서, WAB을 한국어를 사용하는 대상에 준하여 표준화한 한국판 웨스턴 실어증 검사(Korean-The Western Aphasia Bettary, K-WAB)을 소개하고자 한다.
2. 목적
실어증이 의심되는 환자는 정밀한 언어검사를 거쳐 말하기, 알아듣기, 읽기, 쓰기 등의 다양한 언어영역에서 어느 정도 언어활동이 가능한지를 파악하여 실어증의 유무판단과 심한 정도, 유형, 예후 등이 어떠한지를 알아본다.
3. 필요성
첫째, 표준화된 언어검사가 없이는 정확한 실어증 유무의 판단이 곤란하다. 둘째, 실어증 정도를 객관적으로 판정하기가 어렵다. 셋째, 언어병리학계 내. 학술적인 측면에서 볼 때에 국제적으로 객관성이 있는 자료를 제시 할 수 없어 국제경쟁력에 있어서 후진성을 면하지 못하고 있다.
Ⅱ. 검사도구의 구성
1. 검사구성
① 구어언어(Oral Language) : 스스로 말하기, 알아듣기, 이름대기, 따라말하기
② 문자언어(written Language) : 읽기 및 쓰기
③ 기타 인지기능 분야 : 동작, 구성 시-공간계산
하부검사
세부항목
하부검사
세부항목
구어언어
(Oral
Language)
스스로 말하기
내용전달
문자언어
(Written
Language)
읽기
문장독해
유창성
글명령
알아듣기
예-아니오 검사
단어-실물 짝짓기
청각적 낱말인지
단어-그림 짝짓기
명령이행
그림-단어 짝짓기
따라말하기
단어식별
이름대기
물건이름대기
자음+모음 ‘ㅏ’식별
통제단어연상
쓰기
성명, 주소쓰기
문장완성
글로 그림묘사 하기
문장응답
자모, 숫자 쓰기
기타
인지기능
동작
문장 받아쓰기
구성시-공간
계산
그림 그리기
단어 받아쓰기
토막짜기
한글음절과 숫자
받아쓰기
계산
문장 베끼기
RCPM
2. 검사 방법
1) 구어언어 (Oral Language)
(1)스스로 말하기
① 내용전달 : 환자에게 적당한 질문(기분상태, 가족관계등)을 하고 환자의 발화가 어느 정도의 내용전달이 가능한지 등을 판단한다.
② 유창성 : 그림자극을 보여주고 그림 속 상황을 설명하게 하고 발화의 유창성이 어떠 한지 판단한다.
(2)알아듣기
① 예-아니요 검사 : 일정한 질문을 한 후에 <예-아니요> 로만 대답하게 한다.
② 청각적 낱말인지 : 청각적으로 제시된 단일자극어에 해당하는 실물이나 자극카드 그 리고 사물들신체부위 등을 가리키게 한다.
③ 명령이행 : 문장자극에 대해 반응하도록 한다.
(3) 따라말하기 : 환자에게 길이와 복잡성이 다양한 자극어를 불러주고 그대로 따라 말 하도록 한다.
(4)이름대기
① 물건이름대기 : 20가지의 물건을 보여주고 각 물건의 이름을 말하도록 한다.
② 통제단어연상 : 1분의시간 내에 생각나는 동물이름을 모두 말해보도록 한다.
③ 문장완성 : 완성되지 않은 자극문장을 불러주어 환자가 문장의 뒤 부분을 완성하도 록 한다.
④ 문장응답 : 문장으로 이루어진 질문에 단어로 답하도록 한다.
2) 문자언어(Written Language)
(1)읽기
① 문장독해 : 문장자극을 읽고 사지선다형으로 제시된 답을 선택하게 한다.
② 글명령 : 동작이행이 쓰여 진 명령문을 읽은 다음 동작 수행을 한다.
③ 단어-실물 짝짓기 : 6가지 실물들과 6장의 단어자극 카드를 각각 짝짓게 한다.
④ 단어-그림 짝짓기 : 6장의 카드에 각각 적힌 단어들에 해당하는 그림을 짝짓게 한다
⑤ 그림-단어 짝짓기 : 6장의 그림카드에 해당하는 단어를 짝짓게 한다.
⑥ 단어식별 : 불러주는 단어를 자극카드에서 고르게 한다.
⑦ 자음+모음 ‘ㅏ’식별 : 여러 가지 초성과 모음 ‘ㅏ’로 구성된 단음절을 보여주고 자극 카드에서 일치하는 음절을 고르게 한다.
(2)쓰기
성명 및 주소쓰기, 글로 그림 묘사하기, 자모 및 숫자 쓰기, 문장 받아쓰기, 단어받아쓰 기, 한글음절과 숫자 받아쓰기, 문장 베껴쓰기로 구성되어 있다.
(3)기타 인지 기능
① 동작 : 상지동작, 얼굴동작, 도구사용동작, 복잡한 행동동작을 검사한다.
② 구성시-공간계산 : 그림 그리기, 토막짜기, 계산,
RCPM(Raven\'s Colorde Progressive Matrices)을 포함한다.
3. 점수산정 방법
1) 실어증 지수(Aphasia Quotient, 이하 AQ)
: 스스로 말하기, 알아듣기, 따라 말하기, 이름대기 반영 됨.
2)피질지수(Cortical Quotient, 이하 CQ)
: AQ산정에 필요한 4가지 하부검사 외에 읽기,쓰기, 동작, 구성시-공간계산 포함 됨
3)언어지수(Language Quotient, 이하 LQ)
: AQ산정에 필요한 4가지 하부검사의 점수에 읽기, 쓰기 점수가 추가
Ⅲ. K-WAB실시 및 채점방법
1. 스스로 말하기 : 총 20점 (내용전달: 10점, 유창성: 10점)
1) 검사방법
(1) 환자에게 여섯 가지 질문들을 한 후, 환자 발화를 상세히 기록하거나 녹음한다.
(2) 필요한 경우, 적당한 다른 질문으로 대치하여도 무방하며, 되도록 한 환자 스스로 자 발적인 발화를 할 수 있도록 유도한다.
점수
대화 및 『해변가』과제에서의 내용전달
0
내용전달이 전혀 안됨
1
불충분한 대답(예: 성만 대고 이름을 말하지 않는 경우)
2
첫 6개의 항목 중 올바른 항목이 1개일 뿐일 때
3
첫 6개의 항목 중 올바른 항목이 2개
4
첫 6개의 항목 중 올바른 항목이 3개
5
첫 6개의 항목 중 올바른 항목이 3개인 동시에, 약간의 그림설명이 가능한경우
6
첫 6개의 항목 중 올바른 항목이 4개인 동시에, 약간의 그림설명이 가능한경우
7
첫 6개의 항목 중 올바른 항목이 4개인 동시에, 그림 설명시 사물 및 인물에 관한 언급이 적어도 6개 이상인 경우
8
첫 6개의 항목 중 올바른 항목이 5개이며, 그림설명이 불충분한 경우
(음소착어는 올바른 반응으로 간주할 것.)
9
첫 6개의 항목 중 모두 올바른 반응. 거의 완전한 그림설명을 보이며, 사물,
인물, 행동에 관한 언급이 적어도 10개 이상인 경우
10
첫 6개의 항목들에 모두 올바른 반응. 문장 길이와 복잡성이 정상이고, 그림에 나와있는 사물, 인물 및 동작을 모두 언급하는 등 그림 설명이 완벽한경우
(3) 상황에
2. 목적
실어증이 의심되는 환자는 정밀한 언어검사를 거쳐 말하기, 알아듣기, 읽기, 쓰기 등의 다양한 언어영역에서 어느 정도 언어활동이 가능한지를 파악하여 실어증의 유무판단과 심한 정도, 유형, 예후 등이 어떠한지를 알아본다.
3. 필요성
첫째, 표준화된 언어검사가 없이는 정확한 실어증 유무의 판단이 곤란하다. 둘째, 실어증 정도를 객관적으로 판정하기가 어렵다. 셋째, 언어병리학계 내. 학술적인 측면에서 볼 때에 국제적으로 객관성이 있는 자료를 제시 할 수 없어 국제경쟁력에 있어서 후진성을 면하지 못하고 있다.
Ⅱ. 검사도구의 구성
1. 검사구성
① 구어언어(Oral Language) : 스스로 말하기, 알아듣기, 이름대기, 따라말하기
② 문자언어(written Language) : 읽기 및 쓰기
③ 기타 인지기능 분야 : 동작, 구성 시-공간계산
하부검사
세부항목
하부검사
세부항목
구어언어
(Oral
Language)
스스로 말하기
내용전달
문자언어
(Written
Language)
읽기
문장독해
유창성
글명령
알아듣기
예-아니오 검사
단어-실물 짝짓기
청각적 낱말인지
단어-그림 짝짓기
명령이행
그림-단어 짝짓기
따라말하기
단어식별
이름대기
물건이름대기
자음+모음 ‘ㅏ’식별
통제단어연상
쓰기
성명, 주소쓰기
문장완성
글로 그림묘사 하기
문장응답
자모, 숫자 쓰기
기타
인지기능
동작
문장 받아쓰기
구성시-공간
계산
그림 그리기
단어 받아쓰기
토막짜기
한글음절과 숫자
받아쓰기
계산
문장 베끼기
RCPM
2. 검사 방법
1) 구어언어 (Oral Language)
(1)스스로 말하기
① 내용전달 : 환자에게 적당한 질문(기분상태, 가족관계등)을 하고 환자의 발화가 어느 정도의 내용전달이 가능한지 등을 판단한다.
② 유창성 : 그림자극을 보여주고 그림 속 상황을 설명하게 하고 발화의 유창성이 어떠 한지 판단한다.
(2)알아듣기
① 예-아니요 검사 : 일정한 질문을 한 후에 <예-아니요> 로만 대답하게 한다.
② 청각적 낱말인지 : 청각적으로 제시된 단일자극어에 해당하는 실물이나 자극카드 그 리고 사물들신체부위 등을 가리키게 한다.
③ 명령이행 : 문장자극에 대해 반응하도록 한다.
(3) 따라말하기 : 환자에게 길이와 복잡성이 다양한 자극어를 불러주고 그대로 따라 말 하도록 한다.
(4)이름대기
① 물건이름대기 : 20가지의 물건을 보여주고 각 물건의 이름을 말하도록 한다.
② 통제단어연상 : 1분의시간 내에 생각나는 동물이름을 모두 말해보도록 한다.
③ 문장완성 : 완성되지 않은 자극문장을 불러주어 환자가 문장의 뒤 부분을 완성하도 록 한다.
④ 문장응답 : 문장으로 이루어진 질문에 단어로 답하도록 한다.
2) 문자언어(Written Language)
(1)읽기
① 문장독해 : 문장자극을 읽고 사지선다형으로 제시된 답을 선택하게 한다.
② 글명령 : 동작이행이 쓰여 진 명령문을 읽은 다음 동작 수행을 한다.
③ 단어-실물 짝짓기 : 6가지 실물들과 6장의 단어자극 카드를 각각 짝짓게 한다.
④ 단어-그림 짝짓기 : 6장의 카드에 각각 적힌 단어들에 해당하는 그림을 짝짓게 한다
⑤ 그림-단어 짝짓기 : 6장의 그림카드에 해당하는 단어를 짝짓게 한다.
⑥ 단어식별 : 불러주는 단어를 자극카드에서 고르게 한다.
⑦ 자음+모음 ‘ㅏ’식별 : 여러 가지 초성과 모음 ‘ㅏ’로 구성된 단음절을 보여주고 자극 카드에서 일치하는 음절을 고르게 한다.
(2)쓰기
성명 및 주소쓰기, 글로 그림 묘사하기, 자모 및 숫자 쓰기, 문장 받아쓰기, 단어받아쓰 기, 한글음절과 숫자 받아쓰기, 문장 베껴쓰기로 구성되어 있다.
(3)기타 인지 기능
① 동작 : 상지동작, 얼굴동작, 도구사용동작, 복잡한 행동동작을 검사한다.
② 구성시-공간계산 : 그림 그리기, 토막짜기, 계산,
RCPM(Raven\'s Colorde Progressive Matrices)을 포함한다.
3. 점수산정 방법
1) 실어증 지수(Aphasia Quotient, 이하 AQ)
: 스스로 말하기, 알아듣기, 따라 말하기, 이름대기 반영 됨.
2)피질지수(Cortical Quotient, 이하 CQ)
: AQ산정에 필요한 4가지 하부검사 외에 읽기,쓰기, 동작, 구성시-공간계산 포함 됨
3)언어지수(Language Quotient, 이하 LQ)
: AQ산정에 필요한 4가지 하부검사의 점수에 읽기, 쓰기 점수가 추가
Ⅲ. K-WAB실시 및 채점방법
1. 스스로 말하기 : 총 20점 (내용전달: 10점, 유창성: 10점)
1) 검사방법
(1) 환자에게 여섯 가지 질문들을 한 후, 환자 발화를 상세히 기록하거나 녹음한다.
(2) 필요한 경우, 적당한 다른 질문으로 대치하여도 무방하며, 되도록 한 환자 스스로 자 발적인 발화를 할 수 있도록 유도한다.
점수
대화 및 『해변가』과제에서의 내용전달
0
내용전달이 전혀 안됨
1
불충분한 대답(예: 성만 대고 이름을 말하지 않는 경우)
2
첫 6개의 항목 중 올바른 항목이 1개일 뿐일 때
3
첫 6개의 항목 중 올바른 항목이 2개
4
첫 6개의 항목 중 올바른 항목이 3개
5
첫 6개의 항목 중 올바른 항목이 3개인 동시에, 약간의 그림설명이 가능한경우
6
첫 6개의 항목 중 올바른 항목이 4개인 동시에, 약간의 그림설명이 가능한경우
7
첫 6개의 항목 중 올바른 항목이 4개인 동시에, 그림 설명시 사물 및 인물에 관한 언급이 적어도 6개 이상인 경우
8
첫 6개의 항목 중 올바른 항목이 5개이며, 그림설명이 불충분한 경우
(음소착어는 올바른 반응으로 간주할 것.)
9
첫 6개의 항목 중 모두 올바른 반응. 거의 완전한 그림설명을 보이며, 사물,
인물, 행동에 관한 언급이 적어도 10개 이상인 경우
10
첫 6개의 항목들에 모두 올바른 반응. 문장 길이와 복잡성이 정상이고, 그림에 나와있는 사물, 인물 및 동작을 모두 언급하는 등 그림 설명이 완벽한경우
(3) 상황에
키워드
추천자료
[인문과학] 표준화 검사
취학전 아동의 수용언어 및 표현언어 발달 척도
[과외]중학 체육 1-1학기 기말 예상문제 08
[논술][논술문][논술의 개념][논술의 특징][논술문제의 유형][논술 작성 과정]논술의 개념, ...
Holland 진로 및 적성 탐색 검사
주입식 교육관과 성장식 교육관(자연주의 교육관, 진보주의 교육관, 실존주의 교육관)을 비교...
CIS-A(Community Integration Skills - Assessment) 지역사회적응검사
장애진단평가도구 KDIAL-3
심리평가의 정의와 목적(심리검사법, 면담법, 행동평가법)
투사적 검사(로르샤하 검사, 주제통각검사, 투사적 그림, 문장완성검사)
SCT검사 (문장완성검사) & KFD검사(동적 가족화 검사) & HTP검사
아동용 지능검사 [K-WISC-Ⅲ & K-WPPSI & KISC]
공공기관에서 주관하는 심리검사는 어떻게 신뢰도를 파악할 것인가
논술교육의 문제점 및 바람직한 방향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