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범/법학] 영유아 교육과정 연구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사범/법학] 영유아 교육과정 연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유아교육과정 모형
1. 유아교육과정 모형의 개발: 역사적 분석
▪ 인간성과 자연성을 신성의 반영으로 보았던 프뢰벨의 교육에서 강조되는 원리
▪ 놀이에 대한 프뢰벨,듀이 vs 몬테소리의 입장
▪ 참고
2. DAP : 발달에 적절한 유아프로그램 실제
▪ DAP의 개정 배경
▪ DAP의 개정내용
▪ DAP의 한계

Ⅱ. DAP
- Developmentally Appropriate Practice In Early Childhood Programs REVISED EDITION 1997
1. 발달에 적합한 실제
▪ 발달에 적합한 실제의 정의
▪ 발달에 적합한 실제의 이론적 배경
2. Delopmentally Apprepriate Practice in Early Childhood Programs Serving Children from Birth through Age 8 (출생에서 8세 유아에게 제공되는 유아기 프로그램에서 DAP)
▪ NAEYC's commitment to children(아동에 대한 NAEYC의 서약)
▪ Statement of the position(입장에 관한 진술); 유아발달과 학습 원리
‣ 연령적 적합성
‣ 개별적 적합성Josh에게 친구들과 같은 정도로 일을 수행하기 바라는 것은 이 원리에 적합하지 않다.
‣ 사회ㆍ문화적 적합성
▪ Principles of child development and learning that inforem developmentally appropriate practice
(발달에 적합한 실제로 알려진 아동발달과 학습의 원리); 발달의 기본 원리
▪ Guidelines for dicisions about developmentally appropriate practice
(발달에 적합한 실제에 관한 의사결정을 위한 지침)
‣ 유아를 보호하는 공동체적 학습 환경 창조
‣ 유아 발달과 학습을 촉진하는 교수
‣ 교육내용과 전략이 모두 고려된 적절한 교육과정 구성
‣ 아동의 발달과 학습과정에 대한 평가
‣ 유아발달과 가족 간의 상호 호혜적 관계 확립
▪ Policies essential for achieving developmentally appropriate early childhood programs
(발달에 적합한 유아기 프로그램의 성취에 기초한 정책)

Ⅲ. The Project Approach
Ch. 13 The Project Approach: an Overview (개관)
1. WHAT IS A PROJECT? (프로젝트는 무엇인가?)
2. PROJECT WORK AND OTHER PARTS OF THE CURRICULUM (프로젝트 작업과 교육과정의 다른 부분들)
3. THEORETICAL RATIONALE FOR THE PROJECT APPROACH (프로젝트 접근법의 이론적 합리성)
▪ Four Types of Learning Goals (학습 목표의 4가지 타입)
▪ Implications for Practice (훈련을 위한 함축)
▪ Principles Related to the Acquisition of Knowledge (지식의 습득에 관련된 원리)
▪ Principles Related to the Acquisition of Skills (기술의 습득에 관련된 원리)
▪ Principles Related to Both Knowledge and Skills (지식과 기술에 관련된 원리)
▪ The Development of Social Competence (사회적 능력의 발달)
‣ Strengthening Desirable Dispositions (바람직한 성향 강화하기)
‣ Feelings Related to School Experiences (학교 경험에 관련된 감각)
4. IMPLEMENTING PROJECT WORK (프로젝트 작업 실행하기)
▪ Selecting Topics for Projects (프로젝트를 위한 주제 선정하기)
‣ Responding to Children's Interests (유아의 흥미에 반응하기)
‣ Exciting Children's Interest (유아의 흥미 자극하기)
▪ Diversity Concerns (다양성 관계)
‣ Diversity of Experience (경험의 다양성)
‣ Diversity of Culture and Background (문화와 배경의 다양성)
▪ Preparation for Participation in a Democratic Society (민주적 사회에 참여를 위한 준비)
▪ Criteria for Selecting Topics (주제선택의 기준)
5. PHASES OF PROJECT WORK (프로젝트 작업(과제)의 단계)
▪ Phase 1: Getting Started
▪ Phase 2: A Project in Progress
‣ Fieldwork
‣ Back in the Classroom
▪ Phase 3: Concluding a Project
6. A KINDERGARTEN PROJECT ON SHOES( 신발에 대한 유치원 프로젝트 )
▪ Phase 1: Getting Started
▪ Phase 2: Developing the Project
▪ Phase 3: Concluding the Project
‣ Commentary
7. Conclusion

본문내용

으려고 애쓰는, 실제 노력을 위해 쓰는, 그리고 흥미를 끄는 과업을 지속하는, 많은 다른 것은 대개 목표와 바람직한 교육적 결과의 목록에서 언급하는 그러한 성향을 더 강화할 것 같은 교육과정을 제안한다.
Feelings Related to School Experiences (학교 경험에 관련된 감각)
성향과 같이, 감각은 직접적으로 가르칠 수 없다; 감각은 상호작용과 그들을 불러일으키는 활동의 맥락에서 경험되고 강화되거나 약화된다. 그러나 교육과정이 학습 과제(예-작업북을 통한 훈련과 연습, 파닉스 수업)의 좁은 범위에 맞춰져있을 때, 높은 비율의 학습자들은 과업을 효과적으로 수행하지 못할 것이고 감정능력을 발달시키는 것이 저해될 것이다. 프로젝트 작업의 포함은 학급의 모든 유아들이 감각 능력을 강화시킬 수 있고 집단의 노력에 기여할 수 있는 의미 있는 일을 발견하는 것과 같은 과업 종류의 다양성과 어려움의 수준이 증가한다.
요약해서 기본 교육과 유아교육과정으로 프로젝트 작업을 설립한다면 학습목표의 4가지 범주를 다루고 어린 유아의 발달과 학습의 현재 지식에서 파생된 실행의 원리를 적용할 수 있게 된다.
4. IMPLEMENTING PROJECT WORK
(프로젝트 작업 실행하기)
이전에 정의된 대로, 프로젝트는 일반적으로 전체학급의 소집단 또는 개별적으로 시작된 주제에 대한 조사로 확장된다. 교사는 유아들이 프로젝트 작업에서 경험될 때까지 가능한 프로젝트 주제를 제안하는 것은 좋은 아이디어다. 유아들의 지식을 기초로 하여, 교사는 잠재적인 관심 주제를 지명할 수 있고 주제와 관련된 토의를 기초로 주제를 선택할 수 있다. 게다가, 주나 지역 교육과정을 기반으로 주제를 제안하는 것과 유아들이 깊이 있게 조사하고 싶은 주제의 방향에 대한 토의를 통해 유아들을 참여시키는 것은 좋은 아이디어이다.
Selecting Topics for Projects (프로젝트를 위한 주제 선정하기)
매우 큰 범위에서, 프로젝트 작업의 이익은 조사된 주제와 관련이 있다. 가능한 주제의 수는 너무 방대해서 선정과정의 방법을 제안한다. 교사는 궁극적으로 주제가 유아들의 시간, 활동력(energy), 학교의 자원으로 가치가 있는지를 판단하기 위한 책임이 있다. 게다가, 좋은 프로젝트 작업을 지지하기 위해서, 교사들은 종종 광범위한 준비, 공부, 그리고 탐색을 해야 한다. 따라서, 주제 선택은 교사와 교육과정을 정의한 사람들에 의해서 심각한 고려사항을 정당화 한다.
많은 요인들은 주제의 적합성에 기여한다. 많은 것들은 유아들의 특별한 집단 특성에 의존하고 교사의 지식과 경험은 주제와 주제 안에서 그 또는 그녀 자신의 흥미, 사용가능한 지역적 자원, 학교와 지역사회 그리고 모든 것들의 다양한 조화(mix)와 관련되어 있다.
Responding to Children\'s Interests (유아의 흥미에 반응하기)
교사들은 때때로 유아들 내에서 유아들의 표현되거나 생각된 흥미를 기초로 하여 프로젝트 주제를 선택한다. 그러나 개인적, 집단적 또는 전체 학급의 흥미는 주제 선택에서 잠재적인 함정(pitfall)이 나타난다. 실제로, 25명 유아들이 정(p한 학급에서 가능한 흥미의 수는 잠재적으로 너무 많아서 1년 내에 프로젝트 작업을 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따라서, 교사들은 유아들의 흥미가 가치 정(p것인지 결정하기 위한 기한 학필요하다. 게다가, 유아들은 한 주제에 관심 있다고 말했을 때 유아들의 인 가 무엇인지 명백하지 않다. 흥미는 유아의 전체 학습에 있어 상대적으로 낮은 가치일 수 있다(예-영화 노출에 의해 자극된 타이타닉이나 해적에 관한 흥미). 몇몇 흥미는 사고, 환상, 덧없는 걱정, 공포증, 신, 또는 교사가 기뻐하는 것을 원하는 유아에 의해 지명된 주제를 지나칠 수 있다.
게다가, 개별적 또는 집단이 주어진 주제에 대해 흥미를 표현한 사실은(예-공룡) 교사가 그 주제 안에서 반드시 흥미를 지지하고 강화시켜야 하는 의미가 없다. (예-유아들의 해적에 대한 디즈니의 영화에 열렬한 반응 해적을 포함한 자발적인 가상놀이의 기회, 유아의 반응에대한 토론 그러한 흥미는 해적 주제의 깊이 있는 공부가 그들 최고의 발달적, 교육적, 또는 심지어 도덕적 관심을 포함하지 않음) 우리는 주제 주변에서 유아가 시작한 자발적인 놀이의 기회를 제공하는 것과 교사가 그들의 놀이 주변에서 주제를 조사하는 장래의 일을 고려한 노력을 조직하기에 시간과 에너지를 투자하기 사이에서 그리고 그것에 관하여 근거보다 더 커다란 가치 있는 주제에 따라 구별하기에 도움이 된다고 제안한다.
우리는 성인이 유아의 흥미를 교육하기 위한 상당한 책임을 가지고 있다고 제안한다. 주제에서 교사의 실제와 깊은 흥미에 대한 유아들의 인식(예-6주 동안 자연환경의 변화)은 교사를 존경하고 우러러보는 유아들 사이에서 주제에 대한 어느 정도의 관심이 생기게 된다. 이런 식으로, 성인은 유아들의 흥미를 교육하기 위한 책임을 가져야 한다.
Exciting Children\'s Interest (유아의 흥미 자극하기)
때때로 교사들은, 그룹의 마지못해하는 또는 무관심한 구성원인 아이들의 흥미를 사로잡을 희망 속에 색다른 그리고 매혹적인 주제를 선택한다. (예-이국적인 것, 상상적인 것) 그러나, 전 세계의 많은 교사들과 함께 작업하는(일하는) 우리의 경험은, 어린 아이들이 옥수수 밭이든 사과 과수원이든 또는 근처의 자전거 가게든, 그들 자신의 당면한 자연 환경의 세밀한 관찰과 학습의 경험에 의해 마찬가지로 매혹되고 호기심이 북돋워질 수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 만약 주제(토픽)가 이국적이고 따라서 멀리 떨어진 것이라면, 아이들이 그 프로젝트의 방향과 설계에 기여하는 것은 어렵다. 프로젝트 작업은 수행되는 작업에 대한 책임을 받아들이는 것과 마찬가지로, 대답되어야 되는 질문들과 연구의 방향을 설정하는데 주도권을 잡도록 아이들이 격려되는 교과과정의 일부이 경험훌륭한 프로젝트 작업에서, 아이들은 그들이 현장 견학을 하기 전에 그들이 발견할 것에 대한 예측을 할 때, 방문 전문가가 줄 그들의 질문들에 대한 답을 그들이 예측할 때, 또는 조사 하에 있 현
  • 가격3,400
  • 페이지수33페이지
  • 등록일2013.09.20
  • 저작시기2013.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8014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