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확대에 적절하게 대응할 수 있는 경로를 막음.
도시의 직인 출신 수공업자들 가운데 일부는 도시 수공업의 길드적 규제에서 벗어나 더 자유로운 농촌지역으로 진출하여 수공업 생산에 종사, 이 ‘도시 탈출’은 수공업 활동의 중심이 도시에서 농촌으로 이동하였음을 뜻함.
b. 국제무역의 활성화와 더불어 농촌 내부에서 나타난 농업 - 공업의 지역적 전문화
: 17체기 유럽의 여러 지역에서 모직물 공업을 중심으로 반농 · 반공의 농촌 공업이 성장했음 → 근래는 이런 현상은 ‘원산업화’로 이해함
- 농촌 공업은 지역적 특성에서 비롯하는 경우가 많았음
(ex. 비옥한 지역 - 농업생산이 발전, 한계지 경작에 의존하는 지역 - 가축 사육 과 농촌 공업을 결합)
- 원산업 활동은 농촌 사회의 인구 동태에 변화를 가져왔음.
(농촌 공업이 발전할수록 더 많은 보조 노동력이 필요했음)
- 농촌 공업의 발전에는 원료 공급과 제품 판매의 유통망이 중요했는데, 이것은 주 로 도시 상인들이 제공할 수 있었음
- 농촌 공업의 전형적인 형태는 선대제 도시 상인들이 원료를 공급하고 제품을 거두어 들이는 방식
방식을 취하였음 (ex. 영국 모직물 공업)
⇒ 17,18세기의 공업에서 생산의 주된 조직자는 선대상인이라고 할 수 있음
선대제와 매뉴팩처와의 관계
영국의 모직물 공업에서 조차 선대제와 매뉴팩처는 대립적이지 않음.
실제로 농촌의 매뉴팩처 경영자는 집중적인 작업장을 경영하는 한편, 일부 공정은 주 변의 가내수공업자에게 선대제적 방식으로 맡김. 매뉴팩처적 집중과 선대제적 분산은 경우에 따라서는 공생관계였던 것임.
자본주의론의 전망
- 근래의 역사학은 근대 자본주의의 발전과정에서 결정적인 계기로 간주해온 여러 역사적 현상들에 대한 철저한 재검토를 요구하고 있음.
(ex. 자본주의 발전에 관한 브로델과 월러스틴의 거시역사학적 설명이건, 또는 영국 경 제사와 같이 한 나라에 국한된 실증적인 연구이건 우리가 그동안 지녀왔던 인식틀 자체 를 비판 대상으로 삼음.)
- 역사연구가 한층 더 정교해지고 기존 사료의 재해석과 새로운 사료에 대한 철저한 분석 이 이루어질수록 역사적 자본주의를 설명해온 정통적인 해석은 상당한 수정을 거쳐야 할 것이다. 자본주의 발전사는 얼마 후에는 상당 부분 재구성될지도 모른다. 그렇다고 하더 라도 기존의 정통적인 설명틀(ex. 자본주의 발전에 관한 마르크스의 단편들과 그의 분석 방법)은 전면적으로 부정하지는 않을 것이다.
도시의 직인 출신 수공업자들 가운데 일부는 도시 수공업의 길드적 규제에서 벗어나 더 자유로운 농촌지역으로 진출하여 수공업 생산에 종사, 이 ‘도시 탈출’은 수공업 활동의 중심이 도시에서 농촌으로 이동하였음을 뜻함.
b. 국제무역의 활성화와 더불어 농촌 내부에서 나타난 농업 - 공업의 지역적 전문화
: 17체기 유럽의 여러 지역에서 모직물 공업을 중심으로 반농 · 반공의 농촌 공업이 성장했음 → 근래는 이런 현상은 ‘원산업화’로 이해함
- 농촌 공업은 지역적 특성에서 비롯하는 경우가 많았음
(ex. 비옥한 지역 - 농업생산이 발전, 한계지 경작에 의존하는 지역 - 가축 사육 과 농촌 공업을 결합)
- 원산업 활동은 농촌 사회의 인구 동태에 변화를 가져왔음.
(농촌 공업이 발전할수록 더 많은 보조 노동력이 필요했음)
- 농촌 공업의 발전에는 원료 공급과 제품 판매의 유통망이 중요했는데, 이것은 주 로 도시 상인들이 제공할 수 있었음
- 농촌 공업의 전형적인 형태는 선대제 도시 상인들이 원료를 공급하고 제품을 거두어 들이는 방식
방식을 취하였음 (ex. 영국 모직물 공업)
⇒ 17,18세기의 공업에서 생산의 주된 조직자는 선대상인이라고 할 수 있음
선대제와 매뉴팩처와의 관계
영국의 모직물 공업에서 조차 선대제와 매뉴팩처는 대립적이지 않음.
실제로 농촌의 매뉴팩처 경영자는 집중적인 작업장을 경영하는 한편, 일부 공정은 주 변의 가내수공업자에게 선대제적 방식으로 맡김. 매뉴팩처적 집중과 선대제적 분산은 경우에 따라서는 공생관계였던 것임.
자본주의론의 전망
- 근래의 역사학은 근대 자본주의의 발전과정에서 결정적인 계기로 간주해온 여러 역사적 현상들에 대한 철저한 재검토를 요구하고 있음.
(ex. 자본주의 발전에 관한 브로델과 월러스틴의 거시역사학적 설명이건, 또는 영국 경 제사와 같이 한 나라에 국한된 실증적인 연구이건 우리가 그동안 지녀왔던 인식틀 자체 를 비판 대상으로 삼음.)
- 역사연구가 한층 더 정교해지고 기존 사료의 재해석과 새로운 사료에 대한 철저한 분석 이 이루어질수록 역사적 자본주의를 설명해온 정통적인 해석은 상당한 수정을 거쳐야 할 것이다. 자본주의 발전사는 얼마 후에는 상당 부분 재구성될지도 모른다. 그렇다고 하더 라도 기존의 정통적인 설명틀(ex. 자본주의 발전에 관한 마르크스의 단편들과 그의 분석 방법)은 전면적으로 부정하지는 않을 것이다.
소개글